법학연구총서

국제자본시장법시론.jpg





<서  문>


  자본시장 국제화의 심화에 따라 국제적인 자본시장 불법행위가 빈발하고 그 준거법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이 책은 자본시장 불법행위의 한 유형인 투자설명서 부실표시에 따르는 민사책임, 즉 투자설명서책임의 준거법 결정원칙에 관한 것이다. 자본시장저촉법 내지 국제자본시장법의 전체상이 아니라 일단 그 영역에 속하는 대표적인 주제만을 취급하고 있기에 제목에 시론이라는 말을 붙였다.

  국제적 증권공모발행의 경우 투자설명서책임의 준거법은 시장지에 주목하여 결정할 수밖에 없다. 원칙적으로 시장지는 발행인이 관할당국에 투자설명서를 제출하고 발행인, 인수인 등이 투자자에 대한 청약의 권유를 위하여 투자설명서를 사용교부한 공모지를 의미함과 동시에, 부실표시 없는 투자설명서를 작성교부할 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이행하지 않은 공모신고의무지를 의미한다. 행동지법으로서의 시장지법의 일원적 적용을 위하여 불법행위지의 의미에 관한 행동지-결과발생지 이원주의와 불법행위지원칙에 우선하는 당사자자치원칙, 종속적 연결원칙, 공통상거소지원칙은 국제사법상 일반예외조항(8)을 동태적으로 운영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자본시장법상 역외적용조항(2)은 민사책임, 형사처벌, 행정제재의 삼자에 대하여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그중 투자설명서책임과 같은 민사책임의 맥락에서는 국제사법에 대한 특칙으로 기능할 수 없다. 이 책은 위와 같은 논지의 필자의 법학박사학위논문인 국제적 증권공모발행에서 투자설명서 부실표시책임의 연구 준거법 결정원칙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8)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필자의 학위논문이 출간될 수 있도록 법학연구총서로 선정해주신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에 감사드린다.

  그동안 부족한 필자를 국제거래법학과 국제사법학의 웅숭깊은 세계로 인도해주시고 학위논문 준비과정에서 아낌없이 은혜를 베풀어주신 석광현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국제거래법학과 국제사법학이 그 존재의의를 확인받기 위한 인정투쟁마저 불사하여야 하고 그 연구의 전통을 확립하고 있지 못한 척박한 우리 현실에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방법론상 고민에 직면할 때마다 선생님의 글을 전범으로 삼을 수 있다는 것은 큰 행운임을 실감한다. 학위논문 심사과정에서 귀중한 조언을 주신 정순섭 교수님, 최봉경 교수님, 송옥렬 교수님, 천창민 교수님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부족한 필자를 동료로 받아주신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님들의 후의도 잊을 수 없다. 필자를 낳아 길러주신 부모님의 은혜를 가슴 깊이 새기면서 앞으로 더욱 정진할 것을 다짐한다. 이 책을 사랑하는 부모님께 바친다.


 

20215

왕십리 연구실에서

이 종 혁




<목  차>



1장 서 론 


1절 연구의 목적 

2절 연구의 범위 

3절 연구의 방법 

4절 본서의 구성 

 


2장 투자설명서책임의 기초이론 


1절 논의의 순서 


2절 투자설명서책임의 개념 


. 기본개념 

1. 투자설명서의 개념 

2. 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 

3. 투자설명서 부실표시의 개념 


. 투자설명서책임의 구체적 분석 

1. 개 관 

2. 청구권자 

3. 배상책임자 

4. 발생사유 

5. 면책사유 

6. 손해배상액의 추정 

7. 인과관계 

8. 집단소송에 의한 구제 

9. 종합적 정리 


. 구별개념 

1. 증권신고서 부실표시책임 

2. 부정거래행위에 대한 민사책임 

3. 투자자보호의무 위반책임 

4. 유럽연합의 투자설명서 역내통용체계 


3절 투자설명서책임의 목적과 이론적 근거


. 목 적 

1. 투자자 보호 

2. 자본시장 질서유지 


. 이론적 근거 

1. 사적 집행 이론 

2. 시장사기 이론 


4절 투자설명서책임의 성질결정 


. 서 설 


. 투자설명서책임의 법적 성질 

1. 독일에서의 논의 

2. 한국에서의 논의 

3. 당사자별 투자자와의 계약관계 존재 여부 검토 

4. 준거법 결정원칙에의 함의 


. 투자설명서책임의 저촉법상 성질결정 

1. 성질결정의 의의 

2. 성질결정의 준거법 

3. 투자설명서책임의 성질결정 


. 논의의 정리 

 


3장 투자설명서책임의 준거법 결정원칙의 검토 


1절 논의의 전제 - 자본시장법 제2조의 저촉규범성 여부 


2절 불법행위의 준거법 결정규칙에 의한 해결 


. 서 언 


. 로마규정과 우리 국제사법의 비교법적 검토 

1. 로마규정 적용제외대상 해당 여부 

2. 해석론상 독립적 연결대상 인정 여부

3. 불법행위의 준거법 결정규칙 

4. 순전한 재산적 손해의 특수성

5. 인터넷상 불법행위의 특수성 


. 투자설명서책임에서 불법행위지의 구체적 검토 

1. 서 설 

2. 송금계좌 소재지 

3. 투자자 재산중심지 

4. 투자자 상거소지 

5. 시장지 

6. 발행인 등 영업소 소재지 

7. 행동지-결과발생지 결합유형의 검토 


. 결 어 


3절 예외조항을 통한 준거법 지정에 의한 해결 


. 서 언 


. 로마규정과 우리 국제사법의 비교법적 검토 

1. 예외조항의 의의와 적용요건 

2. 종속적 연결원칙의 의의와 적용요건 

3. 독일 하급심 법원의 판결 검토 


. 투자설명서책임에서의 준거법 지정방안 검토 

1. 서 설 

2. 단계적 연결원칙의 교정 가능성 

3. 준거법 지정방안의 구체적 검토 


. 결 어 


4절 역외적용 법리와 준거법 결정원칙 간의 관계 


. 서 언 


. 미국 증권법상 발행공시규정의 역외적용 

1. 1933년법 제5조의 내용 

2. Regulation S의 내용과 특징 


. 사기금지조항의 역외적용에 관한 미국 판례의 검토 

1. 서 설 

2. 사기금지조항의 역외적용에 관한 종래 판례의 태도 

3. Morrison 판결의 분석 

4. Morrison 판결 이후의 변화 


. 역외적용규정의 의미와 준거법 결정원칙으로서의 기능 

1. 자본시장법 제2조의 의미 

2. 행정규제와 그 역외적용 

3. 형사처벌과 그 역외적용 

4. 투자설명서책임에서 역외적용규정의 보충적 기능 


. 투자설명서책임규정의 국제적 강행법규성 검토 

1. 서 설 

2. 로마규정과 우리 국제사법의 비교법적 검토 

3. 개별법역의 투자설명서책임규정의 검토 


. 결 어 


5절 독립적 연결대상으로의 입법에 의한 해결 


. 서 언 


. 스위스의 입법례 

1. 특별저촉규칙의 의의 

2. 스위스 국제사법 제156조의 연결규칙 

3. 평 가 


. 로마규정의 개정론 

1. 특칙 존재 여부 

2. 특칙 신설 필요성 

3. 독일국제사법협회의 로마규정 개정안 


. 우리 국제사법의 개정론 


6절 결 어 

 


4장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103 배기철, 『도시계획법과 지적-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경인문화사, 2022) file 248
102 임효준, 『매체환경 변화와 검열금지』(경인문화사, 2022) file 240
101 양태건, 『필리버스터의 역사와 이론』(경인문화사, 2021) file 179
100 이재홍, 『과잉금지원칙의 이론과 실무』(경인문화사, 2021) file 282
99 신지혜,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법적 책임』(경인문화사, 2021) file 187
98 장윤영, 『레옹 뒤기(Léon Duguit)의 공법 이론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1) file 215
97 강은경, 『문화예술과 국가의 관계 연구』(경인문화사, 2021) file 197
96 이창현, 『국제적 분쟁과 소송금지명령』(경인문화사, 2021) file 215
» 이종혁, 『국제자본시장법시론 - 국제적 증권공모발행에서 투자설명서 책임의 준거법 -』(경인문화사, 2021) 202
94 이형근, 『피의자 신문의 이론과 실제』(경인문화사, 2021) file 194
93 김은아, 『소유권유보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1) file 219
92 장보은, 『계속적 공급계약 연구』(경인문화사, 2020) file 229
91 김영주, 『도산절차와 미이행 쌍무계약』(경인문화사, 2020) file 209
90 박정난, 『사이버 명예훼손의 형사법적 연구』(경인문화사, 2020) file 234
89 최준규, 『계약해석의 방법에 관한 연구 - 계약해석의 규범적 성격을 중심으로 - 』(경인문화사, 2020) file 273
88 장승혁, 『사회보험과 사회연대』(경인문화사, 2020) file 234
87 정구진, 『사회통합을 위한 북한주민지원제도』(경인문화사, 2020) file 232
86 양진섭, 『친자관계의 결정』(경인문화사, 2020) file 224
85 이황희, 『애덤 스미스와 국가』(경인문화사, 2019) file 411
84 신혜원, 『저작재산권의 입법형성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364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