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연구총서

국제거래에 관한 분쟁해결절차의 경합_표지.jpg






<서 문>


  국제거래상 분쟁의 당사자들은 소송과 중재 등 법률적・경제적・전략적인 측면에서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분쟁해결절차와 법정지(法廷地)를 선택하고자 한다. 이러한 선택지는 당사자 사이에 상충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의 충돌로 인하여 분쟁해결절차의 경합이 발생한다. 이 책은 소송과 중재를 중심으로 국제거래에 있어서 분쟁해결절차의 경합이라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처하는 각국의 입법례를 정리하여 검토하며, 우리 현행법상 도출되는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이에 따라 이 책에서는 국제적 소송경합, 소송과 중재의 경합, 중재 상호간의 경합의 경우로 나누어 각 유형별로 문제되는 주요 쟁점들을 분석하고, 이와 체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소송유지명령(訴訟留止命令, anti-suit injunction)에 관하여도 살펴본다. 

  국제적 소송경합은 최근 국내외에서 주목 받는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우선 국내적으로는 개정 국제사법에 새로 도입된 국제적 소송경합(제11조)과 법원의 결정에 의한 국제재판관할권의 불행사(제12조)에 관한 규정들을 어떻게 해석・적용하여야 하는가가 실무상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한편 헤이그국제사법회의(HCCH)는 현재 이른바 ‘관할프로젝트(Jurisdiction Project)’를 진행 중인데, 관할프로젝트는 각 회원국의 국내법상 국제재판관할을 존중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면서 그 상호간의 저촉을 해소할 적절한 규칙을 모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관할프로젝트는 사실상 국제적 소송경합에 관한 규칙을 마련하는 방향으로 귀결될 것이라 조심스럽게 예상해 본다. 필자는 이 책이 개정 국제사법상 관련 규정들의 해석론을 정립하고, 우리나라가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회원국으로서 관할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협약안을 발전시켜 가는 데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소망한다.

  이 책은 필자가 2020년 취득한 법학박사학위 논문인 “국제적인 민사 및 상사분쟁 해결절차의 경합에 관한 연구–소송과 중재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년 8월)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이 책은 박사학위 취득으로부터 2년 가까이 지나서야 발간되는데, 이는 전적으로 필자의 게으름으로 인한 것이라 민망할 따름이다. 그 사이에 개정 국제사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어 시행되는 사정변경이 있음에 따라, 이 책 제4장 제1절의 ‘현행법상의 국제적 소송경합의 해결’ 부분은 구 법 하에서의 논의가 되어 버렸다. 필자가 편집 막바지에 이르러 이 부분을 전면 수정할 것을 고려하기도 하였으나, 오히려 2020년 당시 구 법 하에서의 고민들을 그대로 남기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그대로 두었다. 독자들께서 이를 감안하여 보아 주시기를 바라며, 그로 인한 불편에 대해 너그러운 이해를 구한다.

  필자가 국제거래법과 국제사법의 세계에 발을 들여 박사학위를 받고, 첫 저서를 낼 수 있게 된 것은 근본적으로 은사이신 석광현 교수님의 지도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필자는 석광현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이나 통찰뿐만 아니라, 학업에 대한 열정과 진지한 태도, 그리고 삶 자체에 있어서의 청렴하고 지조 있는 자세를 전범으로 삼으며 현재에 이르렀다. 교수님께서 올해 정년을 맞이하시게 된 것은 제자로서 아쉬운 일이나, 교수님의 정년을 축하드리며, 앞으로도 국제거래법학과 국제사법학의 거목으로서 필자를 비롯한 후학들에게 오래도록 커다란 그늘을 펼쳐 주시기를 감히 바라본다. 학위논문 심사 과정에서 귀중한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정선주 교수님, 김인호 교수님, 전원열 교수님, 그리고 최봉경 교수님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필자의 학위논문이 출간될 수 있도록 법학연구총서로 선정해 주신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이 책을 출판해주신 경인문화사와 편집담당자(유지혜 대리님)께도 감사드린다.

  필자가 이 책의 최종 편집 원고를 경인문화사에 전달한 날 필자의 딸 정원(貞遠)이 태어났다. 절묘하게도 이 책이 필자의 딸과 함께 태어나게 되는 것 같아 그 의미가 남다르다. 지난 열 달간 아이를 품어 무사히 낳고, 지금은 몸조리를 위해 애쓰고 있는 아내의 희생과 노력에 대하여, 아내에게 깊은 고마움과 애정의 마음을 지면을 빌려 전하고 싶다. 본래대로라면 이 책은 그동안 아들을 낳아 키우며 뒷바라지 하고, 늘 응원과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부모님께 바쳐야 할 것이다. 허나 필자가 박사학위를 받고 이 책을 내기까지 사이에 아내와 결혼하여 딸을 낳았으니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에 빠지게 되었다. 이 행복한 고민 끝에, 필자는 이 책은 사랑하고 존경하는 부모님께 바치되, 사랑하는 아내를 위해서는 훗날 다른 책을 내기로 다짐하며, 사랑하는 귀한 딸 정원이의 앞길에 늘 건강과 행복이 깃들기를 간절히 기원하면서 이 책의 서문을 마친다.



2022년 7월

이 필 복






<목  차>

 

1장 서론 


1절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연구의 출발점 

. 연구의 의의와 목적 

1. 분쟁 해결절차 경합을 관통하는 논리체계의 정립 

2. 최근의 국제적 동향 정리 및 소개 

3. 국내법의 합리적인 해석론 도출 

4. 바람직한 입법론의 검토 


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연구의 방법 

. 연구의 범위 


3절 이 책의 구성 

 


2장 국제적 소송경합에 관한 기본이론 


1절 국제적 소송경합 일반론 

. 국제적 소송경합의 개념 

1. 국제적 소송경합의 법적사실적 기초 

2. 국제적 소송경합을 규율하는 법원리의 발전 

3. 국제적 소송경합이라는 용어의 문제 

4. 국제적 소송경합의 유형 

. 국제적 소송경합과 기판력 

1. 국제적 소송경합과 기판력 

2. 관련 소송의 취급 

. 국제적 소송경합의 준거법 

1. 절차법에 관한 법정지법주의 

2. 국제적 소송경합에서 제기되는 문제 


2절 국제적 소송경합의 체계적 지위 

. 국제재판관할권 

1. 국제재판관할과 국제적 소송경합의 관계 

2. 국제재판관할합의와 국제적 소송경합의 관계 

. 외국판결의 승인 

1. 외국판결의 승인과 국제적 소송경합의 관계 

2. 모순저촉되는 판결의 해결 

 


3장 국제적 소송경합의 비교법적 검토 


1절 대륙법계 국가 

. 일본 

1. 일본의 민사소송법과 인사소송법 개정 

2. 국제적 소송경합에 관한 일본의 학설 

3. 국제재판관할규정 신설과 국제적 소송경합의 처리 

4. 민사소송법 제3조의9의 해석론 

. 중국 

1. 외국소송에 대한 원칙적인 규제소극 

2.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의 수용 

3. 중국의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 

. 독일 

1. 우선주의와 승인예측설 

2.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의 수용 여부 

. 프랑스 

1. 우선주의와 승인예측설 

2.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의 수용 여부 

. 스위스 

1. 우선주의와 승인예측설 

2.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의 수용 여부 


2절 보통법계 국가 

.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와 소송유지명령 

. 영국 

1.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의 두 가지 기능 

2. 영국의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 

. 미국 

1. 미국의 이원적 재판관할제도 

2. 미국의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 

3. 미국의 국제적 소송경합 해결 방법


3절 국제적 규범들 

. 유럽의 브뤼셀 체제 

1. 브뤼셀 협약 

2. 브뤼셀 규정 

3. 브뤼셀 recast 규정 

. ALI/UNIDROIT 원칙 

1. ALI/UNIDROIT 원칙의 목표 

2. 우선주의와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의 조화 

. 헤이그 재판협약 

1. 헤이그 재판협약의 규정 

2. 외국판결 승인집행 국면의 국제적 소송경합 규율 

3. 관할 프로젝트(Jurisdiction Project)의 개시 

 


4장 국내법상 국제적 소송경합의 해결 


1절 현행법상 국제적 소송경합의 해결 

. 국제적 소송경합 이론의 정립 

1. 학설의 논의 

2. 판례 

3. 검토 

. 현행법상 국제적 소송경합의 요건과 효과 

1. 국제적 소송경합의 요건 

2. 국제적 소송경합의 효과 

. 국제적 관련 소송의 취급 

1. 국제적 관련 소송에 관한 규율의 필요성 

2. 국제적 관련 소송의 규율 방법 


2절 개정 국제사법 해설 및 개선사항 검토 

. 개정 국제사법 제11 

1. 승인예측설과 부적절한 법정지 법리의 결합 

2. 임의적인 소송절차의 중지 

3. 소의 선후에 대한 특례 

. 개정 국제사법 제12 

1.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의 수용 

2. 예외적인 사정이 명백히 존재할 때 

3. 국재재판관할합의가 있는 경우의 예외 

. 개정 국제사법에 대한 개선사항 검토 

1. 개정 국제사법에 대한 평가 

2. 개정 국제사법의 개선사항 

 


5장 국제상사중재와 관련된 절차의 경합 


1절 중재절차와 소송절차의 경합 

. 중재절차와 소송절차 경합 해결의 이론적 체계 

1. 중재절차와 소송절차 경합의 특수성 

2. 중재판정부의 자기권한심사 

3. 중재판정부의 자기권한심사에 대한 법원의 통제 

4. 자기권한심사의 소극적 효과(negative effect) 

5. 자기권한심사의 소극적 효과에 관한 입법례 

. 우리 중재법상 중재절차와 소송절차 경합의 해결방안 

1. 중재절차와 소송절차 경합의 처리에 관한 준거법 

2. 국내의 논의 

3. 검토 


2절 중재절차 상호간의 경합 

. 중재절차 상호간의 경합에 관한 일반이론 

1. 중재절차 상호간의 경합이 발생하는 원인

2. 중재판정의 기판력 

3. 관련 사건(related disputes)의 경합 

. 우리 중재법상 중재절차 상호간 경합의 해결 방안 

1. 국제법협회(ILA) 국제상사중재위원회의 권고안 

2. 우리 중재법상 중재절차 상호간 경합의 처리 

3. 우리 중재법상 관련 사건 경합의 처리 

 


6장 소송유지명령과 중재유지명령 


1절 법원의 소송유지명령

. 소송유지명령 일반이론 

1. 소송유지명령의 개념과 기능 

2. 소송유지명령과 예양 

. 소송유지명령에 관한 입법례 

1. 영국의 소송유지명령 

2. 미국의 소송유지명령 

3. 브뤼셀 체제와 소송유지명령 

. 우리나라에서의 소송유지명령 

1. 소송유지명령과 예양의 원칙 

2. 소송유지명령 발령을 위한 요건 

3. 소송유지명령 발령의 효과 

4. 소송유지명령의 승인과 집행 


2절 중재판정부의 소송유지명령 

. 중재판정부의 소송유지명령 일반이론 

1. 중재와 관련된 유지명령 

2. 중재판정부의 소송유지명령 일반이론 

. 우리나라에서의 중재판정부의 소송유지명령 


3절 중재유지명령 



7장 결론 


1절 요약과 정리 

2절 향후의 과제 

 


[부록] 국제적 소송경합에 관한 주요 입법례 관련 자료 

● 일본 민사소송법 및 인사소송법(발췌) 

●  중국 민사소송법 및 2015년 사법해석(발췌) 

●  독일 민사소송법(발췌) 

●  프랑스 민사소송법(발췌) 

●  스위스 국제사법(발췌) 

●  브뤼셀 recast 규정(발췌) 

●  ALI/UNIDROIT 원칙(발췌) 

●  헤이그 재판협약(발췌) 

●  2022년 개정 국제사법(발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123 김신영, 『기업집단의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24) file 81
122 노미리,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바라본 Pillar 1 비판』(경인문화사, 2023) file 136
121 박진영, 『탈석탄의 법정책학: 삼부의 권한배분과 전환적 에너지법에 대한 법적 함의』(경인문화사, 2023) file 132
120 김동완,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경인문화사, 2023) file 178
119 김정현, 『부작위범의 인과관계』(경인문화사, 2023) file 195
118 유제민, 『독립규제위원회의 처분과 사법심사』(경인문화사, 2023) file 167
117 이명신,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경인문화사, 2023) file 171
116 김환권, 『임의제출물 압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3) file 186
115 정주미,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 부당성 판단 기준과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 –』(경인문화사, 2023) file 244
114 이진희, 『의약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경인문화사, 2023) file 175
113 박건우, 『토지보상법과 건축물-건축물 수용과 보상의 법적 쟁점-』(경인문화사, 2023) file 219
112 이철진, 『프랑스의 공무원 파업권』(경인문화사, 2023) file 221
111 박지혜, 『기후위기 시대의 기후・에너지법 - 공공선택이론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실패 사례 분석과 법・정책 대안의 모색 -』(경인문화사, 2022) file 210
110 손호영,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법원의 심사 기준 및 방법』(경인문화사, 2022) file 190
109 차정현, 『가상자산사업자의 실제소유자 확인제도』(경인문화사, 2022) file 234
108 김지희,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과 개인정보보호』(경인문화사, 2022) file 242
» 이필복, 『국제거래에 관한 분쟁해결절차의 경합 - 소송과 중재 -』(경인문화사, 2022) file 223
106 서자영,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2) file 250
105 김의석, 『법인 과세와 주주 과세의 통합』(경인문화사, 2022) file 261
104 임수민, 『채무면제계약의 보험성』(경인문화사, 2022) file 223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