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연구총서

115.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jpg

<서문>

  

  이 책은 20182월에 완성한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에 관한 연구라는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을 대폭 수정하고 보완한 것이다. 연구의 주제는 공정거래법 제45조 제1항 불공정거래행위의 부당성 판단기준과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에 관한 것이다.

  이 책에는 2020.12.29. 개정된 공정거래법 전부개정법(법률 제17799)의 내용과 최근의 법집행 사례를 추가하였고, 비교법으로 2022년 개정된 독인 부정경쟁방지법(UWG)의 내용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의 최근 법집행 동향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공정거래법상 부당성 요건의 독자성과 이익형량에 관한 내용의 일부는 수정 및 보완하여 정주미,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한 이익제공행위의 부당성 요건, 법과 기업 연구 제12권 제2, 2022.8.로 작성하였던 것을 이 책에 담았다.

  이 책의 문제의식은 첫째로,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요건인 행위 요건과 부당성 요건 중 후자의 판단기준과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있다. 둘째로, 동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판단을 위한 형량요소가 무엇이며, 형량이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있다.

  이 책의 특징은 첫째로, 불공정거래행위의 부당성 즉 공정거래저해성의 의미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양한 학설과 실무상 기준을 정리하면서, 개선방안으로 부당성 판단기준을 계약자유의 상당한 침해라는 불공정성으로 일원화할 것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시장지배적 지위남용행위와 불공정거래행위의 부당성 판단기준을 구분하여, 혼선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둘째로, 불공정성에 대한 독일과 미국의 이론적인 논의와 입법례를 검토하였다는 것이다. 셋째로, 이익형량에 관한 법철학적인 접근방법을 참고하여, 공정거래법상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방법론을 검토하면서, 불공정거래행위의 부당성 판단을 위한 형량요소가 무엇인지 밝히고, 판례의 종합적인 고려방식에서 벗어나 이익형량방법을 구조화할 것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필자는 2010년부터 경제법을 전업으로 공부하고 있다. 연구자의 길을 걸어가게 된 것은 하느님께 나아가는 여정이 되었고, 많은 은인들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이봉의 교수님께서는 2008시장경제와 법이라는 학부 수업에서 만나뵙게 된 인연으로, 지도교수님이 되어주셨다. 필자는 2020년부터 위 수업을 맡아 학생들에게 경제법을 소개해주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을 깊이 있게 심사해주시고 많은 조언을 해주신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홍대식 교수님과 명지대학교 법학과의 홍명수 교수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임용 교수님,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최난설헌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린다.

  이 책의 출간을 허락해주신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와 경인문화사, 헌신적인 사랑으로 키워주신 부모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35

정 주 미

 

<차례>

 

1장 서론

1절 문제제기 

. 불공정거래행위의 부당성 판단기준 

.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 

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연구의 범위 

. 연구의 방법 

 

2장 불공정거래행위의 의미 

1절 개념요소 

. 행위 요건

1. 법문에서 열거한 행위유형 

2. 열거주의의 채택 배경 

. 부당성 요건: 공정거래저해성 

2절 다른 법과의 구분 

. 불공정거래 특별법과의 구분 

1. 하도급법 및 유통 3법과의 구분 

2. 표시광고법과의 구분 

. 민법과의 구분 

1. 민법상의 불공정성 

2. 공정거래법의 독자성 

. 부정경쟁방지법과의 구분 

1. 부정경쟁방지법상의 부정경쟁 

2. 공정거래법의 독자성 

3절 독일법상 불공정성과 불공정 행위의 의미 

. 불공정성의 의미 

1. 질서자유주의 학파의 논의 

2. 목적-수단 논쟁에서의 논의 

. UWG상 불공정한 행위의 의미 

1. 1909년 법 개정 이후 양속 위반행위 

2. 2004년 법 개정 이후 불공정경쟁행위 

3. 2008년 법 개정 이후 불공정거래행위 

4절 미국법상 불공정성과 불공정 행위의 의미 

. 불공정성의 의미 

1. 성과경쟁과 사회정치적 가치를 보호하려는 견해 

2. 반론 

3. 독점자의 권리를 공정하게 보호하려는 견해 

. FTC법 제5조상 불공정한 행위의 의미 

1. 1914년 법 제정 이후 불공정한 경쟁방법 

2. 1938년 법 개정 이후 불공정하거나 기만적인 행위 

 

3장 불공정거래행위의 부당성 판단기준 

1절 공정거래법상 기준 

. 학설과 문리적 해석론 

1. 학설 

2. 문리적 해석론 

. 실무상 불공정성 기준 

1. 공정위의 불공정성 개념의 이원화 

2. 공정위의 불공정성 범위의 축소 

3. 판례의 계약자유의 침해 기준 

4. 계약자유 침해의 양상에 따른 판례의 분석 

. 실무상 경쟁제한성 기준 

1. 공정위 심사지침의 이원화된 기준 

2. 공정위 심사지침의 시장력 기준 

3. 판례가 경쟁제한성을 고려한 행위 유형 

.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행위와의 관계 

1. 학설 

2. 두 규정을 중복 적용한 예 

3. 두 규정의 부당성 판단기준이 구분되지 않음에 따른 혼선 

2절 독일 UWG상 기준 

. 불공정한 행위의 금지에 관한 일반조항의 기준 

1. 2004년 개정법상 불공정한 경쟁행위 

2. 2008년 개정법상 불공정거래행위 

3. 2015년 개정법상 불공정거래행위 

. 소비자 이익 침해행위에 관한 일반조항의 기준 

1. 2008년 개정법 제3조 제2항의 소비자 이익 침해행위 

2. 2015년 개정법 제3조 제2항의 소비자 이익 침해행위 

3. 2008년 개정법 이후 제3조 제3항 등 

. 불공정한 행위 규정의 기준 

1. 불공정한 행위 규정의 연혁 

2. 불공정한 행위 규정들과 일반조항의 관계 

3. 경쟁자 침해행위 

4. 거래상대방 침해행위 

5. 오인유발행위와 비교광고행위, 성가시게 하는 행위 

. 성과경쟁저해성 기준 

1. -성과경쟁행위 

2. 성과경쟁의 왜곡 행위 

3. -성과경쟁 개념에 대한 평가 

. 불법성 관련 기준 

1. 불법성의 의미 

2. 행위불법성이 높은 행위 

3. 결과불법성이 높은 행위 

3절 미국 FTC법 제5조상 기준 

. 불공정한 경쟁방법의 기준 

1. 1914년 법 제정 이후 기준 

2. 1980년대 기준 

3. 1990년대 이후 기준 

4. 2021년 이후 기준 

. 불공정하거나 기만적 행위의 기준 

1. 불공정한 행위의 기준 

2. 기만적인 행위의 기준 

4절 공정거래법의 개선 

. 비교법의 시사점 

1. UWG상 기준 

2. FTC법 제5조상 기준 

. 불공정성의 의미 

1. 계약자유의 상당한 침해 기준과 법의 근거 

2. 불공정거래행위로부터의 보호의 대상 

3. 계약자유의 침해의 양상 

4. 경쟁과의 관련성 

. 불공정성으로 부당성 판단기준의 일원화 

1. 일원화의 필요성 

2. 불공정거래행위 규정의 개선 

3.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행위의 판단기준의 개선 

 

4장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 

1절 공정거래법상 이익형량 

. 공정거래법상 이익형량의 의의 

1. 부당성 요건과 이익형량의 필요성 

2. 이익형량에 관한 법의 근거 

3. 금지행위별 부당성 요건과 이익형량 

. 불공정거래행위의 긍정적인 이익형량 요소 

1. 사업경영상 필요성 

2. 소비자후생 및 효율성 증대효과 

3. 공익 또는 국민경제적 차원의 효과 

. 불공정거래행위의 이익형량 방법 

1. 판례의 종합적 고려방식에 대한 문제제기 

2.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이익형량의 차이 

3. 시행령 [별표 2]의 부당성 요건의 이원화 

2절 독일 UWG상 이익형량 

. 이익형량의 의의와 형량요소 

. 이익형량방법론 

1. 법의 목적에 따른 형량의 원칙 

2. 거래의 유형에 따른 형량방법 

3. 이익침해 양상에 따른 형량방법 

3절 미국 FTC법 제5조상 이익형량

. 불공정한 경쟁방법의 이익형량 

. 불공정하거나 기만적인 행위의 이익형량 

4절 공정거래법의 개선 

. 비교법의 시사점 

. 불공정거래행위의 형량요소 

. 불공정거래행위의 이익형량 방법 

1. 이익형량의 구조화의 필요성 

2. 형량에 있어서 우선순위의 이익 

 

5장 결론 

1절 불공정성으로 부당성 판단기준의 일원화 

. 계약자유의 상당한 침해 측면의 불공정성 

. 불공정성으로 일원화의 필요성 

2절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의 구조화 

. 불공정한 행위의 형량요소 

. 이익형량의 구조화의 필요성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123 김신영, 『기업집단의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24) file 81
122 노미리,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바라본 Pillar 1 비판』(경인문화사, 2023) file 136
121 박진영, 『탈석탄의 법정책학: 삼부의 권한배분과 전환적 에너지법에 대한 법적 함의』(경인문화사, 2023) file 132
120 김동완,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경인문화사, 2023) file 178
119 김정현, 『부작위범의 인과관계』(경인문화사, 2023) file 195
118 유제민, 『독립규제위원회의 처분과 사법심사』(경인문화사, 2023) file 167
117 이명신,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경인문화사, 2023) file 171
116 김환권, 『임의제출물 압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3) file 186
» 정주미,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 부당성 판단 기준과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 –』(경인문화사, 2023) file 244
114 이진희, 『의약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경인문화사, 2023) file 175
113 박건우, 『토지보상법과 건축물-건축물 수용과 보상의 법적 쟁점-』(경인문화사, 2023) file 219
112 이철진, 『프랑스의 공무원 파업권』(경인문화사, 2023) file 221
111 박지혜, 『기후위기 시대의 기후・에너지법 - 공공선택이론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실패 사례 분석과 법・정책 대안의 모색 -』(경인문화사, 2022) file 210
110 손호영,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법원의 심사 기준 및 방법』(경인문화사, 2022) file 190
109 차정현, 『가상자산사업자의 실제소유자 확인제도』(경인문화사, 2022) file 234
108 김지희,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과 개인정보보호』(경인문화사, 2022) file 242
107 이필복, 『국제거래에 관한 분쟁해결절차의 경합 - 소송과 중재 -』(경인문화사, 2022) file 223
106 서자영,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2) file 250
105 김의석, 『법인 과세와 주주 과세의 통합』(경인문화사, 2022) file 261
104 임수민, 『채무면제계약의 보험성』(경인문화사, 2022) file 223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