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22.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바라본 Pillar 1 비판.jpg  


<머리말>

 

이 책은 올해 2월에 나온 저자의 서울대학교 법학박사 학위논문인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바라본 Pillar 1의 비판을 수정보완한 글입니다.

다국적 기업은 이전가격세제를 세원 잠식 및 소득이전(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이하 BEPS라고 한다)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BEPS란 다국적 기업이 국가 간 세법이 다른 점, 조세조약의 미비점 등을 이용하여 저세율 국가 또는 조세피난처로 소득을 이전함으로써 과세당국의 세수가 감소하거나 소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BEPS 현상은 디지털 경제화되면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전가격세제는 다국적 기업이 과세대상을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ction Plan 1(디지털 경제의 조세문제)의 후속 작업으로 Pillar 1Pillar 2가 제안되었습니다.

Pillar 1Action Plan 1의 핵심 축입니다. 이 글은 이전가격세제의 역사를 통해 독립기업원칙(arms length principle)과 공식배분법(formulary apportionment method)이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살펴본 후, Pillar 1의 성격과 내용을 분석하였습니다. 그리고, Pillar 1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전가격지침에 공식배분법을 전면으로 인정해야 하는 이유를 논증하고, Pillar 1을 대체할 Pillar 1보다 내용이 간단하고 명료한 공식배분법(3요소 공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전가격 문제는 다국적 기업을 바라보는 시각과 관련이 있고, 다국적 기업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개별기업 접근법(separate entity approach)그룹 접근법(group approach)이 있습니다. 현행 이전가격세제는 다국적 기업 그룹 내 기업 간 내부거래를 통해 조세를 회피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다국적 기업 그룹 내 각 기업을 독립 당사자로 보고 독립 당사자 간에 이루어졌을 거래를 기준으로 하여 이전가격을 산정합니다. , 현행 이전가격세제는 개별기업 접근법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는 독립기업원칙에 입각하여 설계되어 있습니다.

Transfer Pricing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Tax Administrations(이하 이전가격지침이라고 한다)에서 정하고 있는 정상가격 산출방법으로는 다국적 기업 그룹의 BEPS 현상을 해결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리하여 독립기업원칙의 대안으로 공식배분법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공식배분법은 다국적 기업 전체를 하나의 그룹으로 보는 그룹 접근법에 입각한 방법으로, 전 세계에 있는 개별 기업의 특수관계 기업들의 사업을 연결하여 소득을 계산한 다음 일정한 수식에 따라서 다국적 기업이 활동하는 국가에 소득을 분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디지털 경제에서는 동일한 장소와 시간이 아니더라도 생산요소의 유기적인 결합이 가능해지므로, 각 국가에 있는 기업들이 서로 다른 독립된 기업이라는 가정이 불가능해집니다. 그 결과 독립기업원칙의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Pillar 1이 나온 것입니다. Pillar 1Amount A, Amount B, 조세확실성으로 구성되고, 다국적 기업 그룹의 소득을 Amount A, Amount B로 나누어서 과세권을 배분합니다. 특히 Amount A는 매출액 기준과 수익성 기준을 충족하는 Amount A의 적용대상그룹의 초과이익을 구한 후에 이를 과세연계점(nexus)이 형성된 개별 시장 소재국에 공식을 사용해서 배분합니다. Amount A의 산정방법은 공식배분법의 정의에 부합하고, 공식배분법의 구성 요소인 과세단위, 과세대상소득, 배분 요소와 배분 공식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Amount A는 공식배분법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한편, 종래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보면, Pillar 1Amount A의 적용 범위가 너무 주관적이고 자의적으로 설정되었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단순히 매출액 기준과 수익성 기준으로 Amount A의 적용대상그룹을 한정하는 것은 이론상 형평에 맞지 않습니다. 모든 다국적 기업 그룹을 Amount A의 적용대상그룹으로 하는 것이 형평에 맞다고 할 것입니다. 이 외에도 Pillar 1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202310월 현재까지도 아직 Amount B에 관한 내용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를 보더라도 Pillar 1보다 간단하고 명료한 공식배분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향후 변화하는 국제조세 체제에 공식배분법적인 내용이 많이 도입될 것이라 예상됩니다. 이 글이 한국의 공식배분법에 관한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저자의 은사이신 이창희 지도교수님과 심사위원이셨던 윤지현 교수님, 송옥렬 교수님, 김정홍 박사님, 김석환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항상 저자에 대한 성원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부모님과 사랑하는 동생, 제부와도 이 책의 발간을 기념하고 싶습니다



<목차>


1장 서 론

1절 연구의 목적, 대상과 한계

. 연구의 목적

. 연구의 대상

. 연구의 한계 

2절 논의의 전개 순서

 

2장 이전가격세제: 독립기업원칙, 공식배분법, Pillar 1

1절 다국적 기업의 조세회피

. 다국적 기업의 BEPS 전략

. 이전가격세제

1. 이전가격세제의 역사적 의의

2. 독립기업원칙의 의미

3. 공식배분법의 의미

2절 독립기업원칙의 실패

. 독립기업원칙의 의미 변화

. 정상가격의 산출방법

1. 개관

2. 전통적인 거래 기반 방법

3. 거래이익방법

. 정상가격 산출방법의 이용 현황과 문제점

1. 정상가격 산출방법의 이용 현황

2. 정상가격 산출방법의 문제점

3. 소결

  

3장 공식배분법의 잔존과 부흥

1절 공식배분법의 잔존

2절 국내적 공식배분법

. 미국

1. 지방소득세 부과

2. 주 간 법인세 안분에 관한 모델 법률의 배포

. 호주

. 캐나다

. 중국

. 시사점

3절 국제적 공식배분법

. 미국의 논의: 캘리포니아주

1. 공식배분법의 적용 범위 확대: 원천이 미국 밖인 소득에 대한 과세

2. 공식배분법 확대 적용의 위법성이 문제 된 사례

3. 시사점

. EUCCTB/CCCTB 논의

1. 개관

2. CCTB/CCCTB의 적용대상과 연결과세표준 계산

3. CCTB/CCCTB의 주요 특징

4. CCCTB의 공식배분법

5. 시사점

. EUBEFIT 논의

1. 배경

2. 주요 내용: 단일 법인세 제도

3. 시사점

 

4BEPS 방지 프로젝트와 Pillar 1

1BEPS 방지 프로젝트

. 배경

. BEPS 방지 프로젝트의 주요 내용

1. 15개의 Action Plan

2. Action Plan별 구속력

2Pillar 1과 공식배분법

. 디지털 경제의 조세문제 논의의 추진 경과

. OECD 이전가격지침과 Pillar 1 모델규정의 관계

. Pillar 1의 내용

1. 통합접근법

2. Pillar 1의 과세권 배분 방법: 수정된 잔여이익분할법

3. Pillar 1의 구성

4. Amount A의 적용대상 업종의 확대 및 적용 기준

IV. Pillar 1의 국내 수용

1. 국내 세법의 제정 또는 개정

2. 조세조약

3. Pillar 1 수용의 경제적 효과

V. 소결: Pillar 1과 공식배분법

 

5장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본 Pillar 1 비판

1절 공식배분법을 인정해야 하는 이유

. 공식배분법에 대한 비판과 반론

1. 개관

2. 공식배분법에 대한 비판의 부당성

3. 공식배분법의 이점

. 소결

2Pillar 1의 문제점

. BEPS 방지 프로젝트의 목적 위배

1. 국제적 이중과세 위험

2. 가치 창출 개념의 모호성

. 주관적 적용범위의 자의성

. Amount A의 문제점

1. 사용자 참여 접근법의 이론상 문제점

2. 복잡한 매출귀속기준

3. 이중과세제거방법의 난해성

4. 초과이익으로 Amount A의 범위 제한

. Amount B의 문제점

1. 이중과세의 위험

2. 불분명한 Amount B의 적용대상

3Pillar 1을 대체할 공식배분법

. 공식배분법, 고정사업장, 과세연계점

1. 공식배분법과 고정사업장의 관계

2. 고정사업장에서 과세연계점으로

. 공식배분법의 설계

1. 공식배분법의 구성 요소

2. 과세단위

3. 과세대상소득

4. 배분 요소와 배분 공식

. 공식배분법으로 3요소 공식 제시

1. 공식배분법 도입에 관한 합의

2. 적용대상: 모든 다국적 기업 그룹

3. 세수의 배분

. Pillar 1에 대한 대안

1. 개선된 공식배분법의 도입 필요성

2. Graetz 공식 수정안

3. 3요소 공식

4. 소결: Pillar 1Graetz 공식 수정안3요소 공식 비교

. 결론

 4Pillar 1, Graetz 공식 수정안, 3요소 공식의 비교분석

 

6장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128 조경준, 『유동화신탁 소득의 과세에 관한 제도 설계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26
127 백숙종,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74
126 송영진, 『역외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과 대안』(경인문화사, 2024) file 79
125 이나래, 『스타트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적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58
124 김영석, 『국제도산에서 도산절차와 도산관련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42
123 김신영, 『기업집단의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24) file 248
» 노미리,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바라본 Pillar 1 비판』(경인문화사, 2023) file 250
121 박진영, 『탈석탄의 법정책학: 삼부의 권한배분과 전환적 에너지법에 대한 법적 함의』(경인문화사, 2023) file 251
120 김동완,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경인문화사, 2023) file 274
119 김정현, 『부작위범의 인과관계』(경인문화사, 2023) file 296
118 유제민, 『독립규제위원회의 처분과 사법심사』(경인문화사, 2023) file 249
117 이명신,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경인문화사, 2023) file 284
116 김환권, 『임의제출물 압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3) file 399
115 정주미,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 부당성 판단 기준과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 –』(경인문화사, 2023) file 537
114 이진희, 『의약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경인문화사, 2023) file 274
113 박건우, 『토지보상법과 건축물-건축물 수용과 보상의 법적 쟁점-』(경인문화사, 2023) file 323
112 이철진, 『프랑스의 공무원 파업권』(경인문화사, 2023) file 327
111 박지혜, 『기후위기 시대의 기후・에너지법 - 공공선택이론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실패 사례 분석과 법・정책 대안의 모색 -』(경인문화사, 2022) file 430
110 손호영,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법원의 심사 기준 및 방법』(경인문화사, 2022) file 272
109 차정현, 『가상자산사업자의 실제소유자 확인제도』(경인문화사, 2022) file 331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