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행정법학 차원에서 행정조직법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지금까지 부족했다. 사회적 문제가 점차 복잡ㆍ다양해지고 그에 내재한 위험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적정한 행정조직에 관한 법학적 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행정조직법에 관하여 연구 가능한 여러 주제 중 다수의 행정기관이 관련된 행정 운영에 관한 연구는 행정 내부에서 빈번히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실제를 파악하고 행정기관 간 분쟁 예방과 해결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연구 필요성이 인정된다고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다수 행정기관 관련 행정 운영에 관한 시론적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복수의 국가행정조직 간 관계에만 한정하여 논의를 하고, 지방행정조직과의 관계는 차후 연구과제로 삼는다. 먼저 다수의 국가행정기관 관련 행정 운영을 전제로 하고 있는 현행 법과 제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정부조직법」은 법률 차원에서 다수 행정기관 간 관련 조직ㆍ기능의 통합적 운영을 전제로 한 일반적 원칙과 규율 내용이 충분하지 못하고 상당수의 내용을 대통령령인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에 위임하고 있을 뿐이며, 해당 통칙에서도 직제 등 변경과 초과현원 재배치 등의 한정된 상황에 대하여 최소한의 사항만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수 행정기관 관련 행정 운영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정원에 관한 특별 제도로서 별도정원, 한시정원, 유동정원제, 임시정원 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다수 국가행정기관의 적정한 행정목적 실현을 위한 행정조직 원리인 ‘공화주의’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중심 가치인 ‘공존’과 ‘융합’, ‘실용’에 관해 검토하였다. 잦은 정부조직 개편에 따른 부처이기주의의 고착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가치로서 공존이 중요하고, 공존의 가치는 경쟁과 협력의 상호작용, 다양성의 인정을 가능하게 한다. 조직 통합ㆍ재구조화 과정에서의 물리적 결합, 공동 행정 목표의 실현을 위한 기능적 결속과 화학적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가치가 바로 융합이다. 공존과 융합의 가치는 모두 헌법상 공화주의 원리로부터 도출된다. 마지막으로 그 검토 결과를 근거로 실무에 적용 가능하고 유용한 실용적 관점에서, 다수 국가행정기관의 공존과 융합을 지향하고 실현할 수 있는 국가행정조직법제의 개선 방안으로서 「정부조직법」 과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의 체계정합성 개선, 다수 행정기관 관련 시 준수해야 할 조직ㆍ정원에 관한 일반 규정의 신설, 다수 행정기관 관련 행정 운영에 활용할 수 있는 조직ㆍ정원 제도의 개선, 조직ㆍ정원에 관한 내부공문, 업무지침, 매뉴얼 등의 규범화와 공개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설
II. 국가행정조직법령의 구성 체계와 다수 행정기관 관련 규범
III. 다수 행정기관의 행정 목적 실현을 위한 행정조직원리와 중심 가치
IV. 다수 행정기관 관련 행정의 적정한 운영을 실현하기 위한 국가행정조직법제의 개선방안
V. 결어


외국어초록

In-depth research 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law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so far. In a situation where social problem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diverse, and the risks and uncertainties inherent therein are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study from a legal perspective on the appropriat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o respond to the situation. Among the many topics that can be studied in relation to that study, legal research on administrative operations involving multiple administrative agencies is particularly necessary because i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frequent interactions within public administration and preventing and resolving disputes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This paper is a broad-brush study of administrative operations related to multiple administrative agencie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hile leaving the relationship with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s a future research topic. First,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laws and systems premised on administrative operations related to multipl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Next, it reviews republicanism as a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principle for realizing appropriate administrative purposes of multipl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coexistence and convergence as its central valu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review, this paper presents practical ways to improve the cent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egal system, aiming for and realizing the coexistence and convergence of multipl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공존과 융합을 지향하는 실용적 국가행정조직법제의 개선.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이은상, "공존과 융합을 지향하는 실용적 국가행정조직법제의 개선", 『유럽헌법연구』 제43호(유럽헌법학회, 2023.12) file
251 김재형, "공법과 사법의 대화", 『민사법학』 제105권(한국민사법학회, 2023.12) file
250 이재민, "'경제안보'의 법적 의미와 외연: 국제법적 측면을 중심으로", 『국제법학회논총』 제68권 제4호(대한국제법학회, 2023.12) file
249 김웅재, "형법제정 70주년과 형법의 오늘", 『형사법연구』 제35권 제4호(한국형사법학회, 2023.12) file
248 박상철, "유통법의 향후 10년 - 초연결성, 첨단물류, 소매자동화, 실감을 중심으로 -", 『유통법연구』 제10권 제2호(한국유통법학회, 2023.12) file
247 신윤진, "유럽인권재판소 '판단의 여지'(Margin of Appreciation) 독트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소수자 인권 보장과 지역인권재판소의 역할을 중심으로", 『인권연구』 제6권 제2호(한국인권학회, 2023.12) file
246 최봉경, "신종전형계약의 민법전 편입 방법론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제30권 제3호(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12) file
245 정선주, "민사소송법 제314조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려법학』 제111호(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12) file
244 최석환, "국제적 노동관계와 노동법의 적용", 『노동법논총』 제59호(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3.12) file
243 이재민, "국제경제협정에서 '비차별 원칙'의 공식적 포기인가? - '공급망 재편' 논의의 법적 함의", 『국제거래법연구』 제32권 제2호(국제거래법학회, 2023.12)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