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연구총서
형성권 연구.jpg



 

서 문



이 책은 필자의 박사학위논문의 주제였던 형성권에 대한 재검토를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모두 4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형성권 개념의 정립 과정을 다루고 있다. 형성권이라는 개념이 독일민법학에 생겨나 권리체계 안에 정립되는 과정이 고찰 대상이다. 굳이 이 부분을 재고하는 이유는 필자가 개념이나 체계 같은 법학의 기초 영역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2부에서는 형성의 소라는 제도가 독일 민사소송법학에 등장하는 배경을 다루고 있다. 이 부분은 형성권이 법률행위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소송을 통해서도 행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체법과 절차법의 연관성이라는 고전적인 문제를 되돌아보게 한다. 3부에서는 형성권의 양도성에 관한 독일 민법학상 논의를 다루고 있다. 도구개념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도 있는 형성권이라는 유개념을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변용시키려는 독일 법조계의 노력이 드러나는 부분으로, 로마법을 독일의 법으로 바꾸어 놓은 로마법의 현대적 관용이라는 것이 이렇기에 가능하였을 것이라는 단상을 남기는 부분이기도 하다. 4부에서는 독일 민법학상 개념인 형성권이라는 법 개념을 오늘날 우리 민법학에서 고찰하는 의미를 다루고 있다. 이 부분에 실은 2편의 논문은 그 의미 찾기를 위한 필자 나름대로의 시도에 해당한다.

원고를 넘기고 책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을 보고 있자니 넘겼던 원고의 무게가 책임의 무게로 변환되어 돌아오는 것 같다. 부디 이와같은 학자로서의 일상을 통해 필자의 사고가 넓고 깊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끝으로 필자를 법학자로 길러 주신 스승들께 이 책을 바친다.

 

 

20074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연구실에서





<차 례>

 


1부 형성권 개념의 정립 과정 

1장 형성권 관련 논의의 현황 

1. 형성권이란 

2. 독일 민법학상 형성권론 

3. 우리나라 민법학상 형성권론 

2장 형성권 개념의 기원 

1. 로마법 

2. 게르만법 

3. 독일 민법전 편찬 작업의 산물 

3Emil Seckel 이전의 형성권 관련 논의 

1. 형성권 관련 논의의 단초 

2. August Thon의 권능(Befugniss) 

3. Bernhard Windscheid의 제2 부류의 권리(Recht der zweiten Art) 

4. Ernst Immanuel Bekker의 소극적 권리(Negatives Recht) 

5. Ernst Zitelmann의 가능권(Recht des rechtlichen Könnens) 

6. Konrad Hellwig의 변동권(Recht auf Rechtsänderung) 

7. Carl Crome의 반권(Gegenrecht) 

8. Seckel 이전에 행해진 형성권 관련 논의의 종합 

4Emil Seckel의 형성권론 

1. Seckel의 형성권론 

2. 서론 부분 

3. .[형성권의 정의와 종류] 부분 

4. .[형성권의 성립] 부분 

5. .[형성권의 양도] 부분 

6. .[형성권의 소멸] 부분 

7. .[형성권의 행사] 부분 

8. Seckel의 형성권 개념에 대한 평가 

5Emil Seckel 이후의 형성권 관련 논의 

1. Seckel 이후의 형성권 이론사 개요 

2. Andreas von Tuhr 

3. Ludwig Enneccerus 

4. Josef Fenkart 

5. Eduard Bötticher 

6. Klaus Adomeit 

6장 오늘날의 형성권 개념 

1. 형성권 개념의 역사적 전개의 종합 

2. 오늘날의 형성권 개념 

3. 형성권 해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형성권 개념 

4. Seckel이 언급했던 형성권들의 오늘날 위치 

7장 맺음말 

 

2부 형성의 소를 통한 형성 

1장 형성권과 형성소권 

1. 형성권을 행사하는 두 가지 방법 

2. 형성의 소와 형성판결 개념의 기원 

3. 형성권과 형성소권의 체계상 문제 

4. 형성권과 형성소권의 작동 구조 

2장 형성의 소 또는 형성판결의 분류 

1. 실체법상 형성의 소와 소송법상 형성의 소 

2. 실질적 의미의 형성판결과 형식적 의미의 형성판결 

3. 형성의 효과를 기준으로 한 형성판결의 분류 

4. 진정한 형성의 소와 부진정한 형성의 소 

3장 형성소송 열거주의 

1. 형성의 일방성과 형성소송 열거주의 

2. 형성소송 열거주의의 완화 문제 

4장 맺음말 

 

3부 형성권의 양도성에 관한 독일 민법학상 논의 

1장 형성권의 양도성 인정을 위한 법적 구성 

1. 독일 민법 제413[기타의 권리의 이전] 

2. 사적자치의 원칙 

2장 형성권의 양도 금지 

1. 법률의 규정에 의한 양도 금지 

2. 내용변경으로 인한 양도 금지 

3. 당사자의 약정에 의한 양도 금지 

4. 일신전속성으로 인한 양도 금지 

3장 형성권의 독립성 또는 비독립성과 양도성 

1. 형성권의 독립성과 비독립성 

2. 비독립적 형성권의 양도 

3. 계약인수가 있는 경우 비독립적 형성권의 양도 

4. 채권양도가 있는 경우 비독립적 형성권의 양도 

5. 형성권만의 분리 양도 

4장 비독립적 형성권의 양도성에 관한 독일 법원의 태도 

1. 19031021일자 독일 제국법원 판결 

2. 1926223일자 독일 뮌헨고등법원 판결 

3. 197361일자 독일 연방대법원 판결 

4. 1985621일자 독일 연방대법원 판결 

5. 19971217일자 독일 연방대법원 판결 

5장 맺음말 

1. 비독립적 형성권의 양도성에 관한 독일 학설의 종합 

2. 비독립적 형성권의 양도성에 관한 독일 판례의 종합 

3. 비독립적 형성권의 양도성에 관한 독일 학설과 판례의 방향 

 

4부 형성권을 매개어로 하여 

1장 형성권 논의의 의미 

1. 시작하는 말 

2. 형성권 개념의 의미 

3. 형성권 관련 논의시 유의할 몇 가지 

4. 맺음말을 대신하여 

2장 권리 행사의 시간적 제한에 관한 일 고찰 

1. 시작하는 말 

2. 소멸시효론과 형성권론의 교차 

3. 맺음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23 정진경, 『부당해고의 구제』(경인문화사, 2009) file 127
22 정철, 『중국의 사법제도』(경인문화사, 2009) file 152
21 이재민, 『WTO 보조금 협정상 위임·지시 보조금의 법적 의미』(경인문화사, 2008) file 120
20 최준혁, 『중지미수의 이론』(경인문화사, 2008) file 130
19 채성국, 『중국의 계약책임법』(경인문화사, 2008) 134
18 김수용, 『건국과 헌법』(경인문화사, 2008) file 152
17 이재호, 『국내세법과 조세조약』(경인문화사, 2007) file 131
16 박준석, 『The Concept of Authority』(경인문화사, 2007) file 150
15 박철희, 『증권집단소송과 화해』(경인문화사, 2007) file 118
» 김영희, 『형성권 연구』(경인문화사, 2007) file 123
13 여하윤, 『채권자대위원 연구』(경인문화사, 2007) file 131
12 박성수, 『특허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액의 산정』(경인문화사, 2007) file 128
11 조지만, 『조선시대의 형사법 ― 대명률과 국전 ―』(경인문화사, 2007) file 141
10 최문희, 『이사의 손해배상책임의 제한』(경인문화사, 2007) file 125
9 김대인, 『행정계약법의 이해』(경인문화사, 2007) file 136
8 안성조, 『형법상 법률의 착오론』(경인문화사, 2006) file 143
7 이효원, 『남북교류협력의 규범체계』(경인문화사, 2006) file 128
6 이현수, 『행정소송상 예방적 구제』(경인문화사, 2006) file 134
5 홍명수, 『재벌의 경제력집중 규제』(경인문화사, 2006) file 143
4 박훈, 『부동산투자회사제도의 법적 구조와 세제』(경인문화사, 2007) file 124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