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연구총서

주식에 대한 경제적 이익과 의결권.jpg






<서 문>

 

 

매년 3월이 되면 대부분의 주식회사는 주주총회 준비로 분주하다. 그리고 주주들도 자신이투자한 주식회사의 실적을 확인하고 주주총회에서 어떻게 의결권을 행사할 지에 대해서 고민하게 된다. 그런데왜 주식회사는 중요한 사항에 대한 최종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주주총회 결의를 거쳐야 하고, 왜 주주는 시간과 비용을 감수하면서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하는 것일까? 이는 주식회사의 지배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 중의 하나이다.

이 질문에 대한 회사법 학자들의 전통적인 대답은 주주는 기업의 가치, 즉 주식의 가치에 대하여 가장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인수합병이나 경영진의 선임 및 교체 등의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따라서 기업가치가 변동하는 경우, 이는 바로 주가에 반영되어 주주의 이익 혹은 손실로 이어진다. 이에 비해 채권자 등 다른 이해관계자들은 회사가 도산상태에 빠지지 않는 이상, 회사의 의사결정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이익이나 손해를 보지는 않아서 덜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주주는 시간과 비용을 감수하고라도 다른 누구보다도 회사의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주식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회사의 이익을 증진시킬 의향이 있다. 이러한 전제에서 주주에게 회사의 의사결정에 대한 최종적인 권리, 곧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이 인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회사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누구보다도 주주에게 의사결정을 맡기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 주식스왑계약 등 장외 파생상품 시장의 확대 및 주식 대차 거래의 증가로 인하여 위와 같은 전통적 이론에 반하여 주주가 주가의 변동에 대해서 이해관계를 가지지 않거나, 오히려 주가가 하락할수록 이익을 보는 경우들이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주주들이 주주총회에서 오히려 주가가 하락하는 방향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여 회사 및 다른 주주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주주에게 의결권을 인정하는 전통적인 대전제에 반하는 것이어서, 과연 이러한 주주들에게까지 의결권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다양한 논란이 있다. 본서에서는 이와 같이 의결권을 가지는 주주가 오히려 회사의 가치 변동에 대하여 이해관계를 가지지 않거나 반대의 이해관계를 가지는 현상을 분석하고,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규제하는 것이 회사 및 주주 전체의 이익 극대화, 그리고 이를 통한 사회 전체의 부의 증진을 위하여 바람직한 것인지를 생각해 보았다.

본서는 저자의 2011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을 정리한 것이다. 돌이켜 보면 대학원 석사과정 시절 김 건식 선생님 및 송옥렬 선생님의 강의를 듣게 되면서 처음 회사법 및 증권법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단순히 법조문 및 판례의 나열이 아니라 그 근저에 있는 생각과 이치를 깨우쳐 주셨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무에 나가서도 기업인수합병 및 증권규제 관련 분야에서 경험과 실력을 쌓고 싶어서 김장 법률사무소에 입사하였고, 사무실에서 관련 분야에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덕분에 회사법 및 증권법 분야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었다. 대학원을 다니면서 학업과 업무를 병행하는 것은 고생스러웠지만, 실무에서 쌓은 경험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이론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고, 반대로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인 원리들을 실무에 응용하여 어려운 사례들을 합리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었다. 그래서 지난 4년간 직장 생활과 대학원을 병행하면서 일시적으로 피곤하고 힘이 들 때도 있었지만 항상 즐겁고 행복했었다.

사람은 혼자 되지 않는다는 말을 절감한다. 무엇보다 생각나는 분은 지도교수이신 김건식 선생님이다. 부족한 제자를 항상 따뜻한 시선으로 격려해 주셨고, 공부를 계속할 수 있도록 다독여 주시고 기회를 주셨다. 선생님으로부터 학문적으로나 인격적으로나 너무나 많은 가르침과 은혜를 받았다. 학위논문 심사위원장이셨던 박준 교수님께도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각주 한자 한자까지 꼼꼼히 보시면서 지도해 주시는 모습을 뵈면서 학문을 하는 자세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었다. 석사과정 시절부터 저자에 대해 과분한 칭찬과 격려를 해 주시고, 회사법의 기본이론을 명쾌하게 가르쳐 주신 송옥렬 선생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논문심사과정에서 지도와 격려를 통해 용기를 주신 정순섭 교수님, 윤영신 교수님께도 감사드린다. 그리고 학교에서 좋은 가르침을 주시고 따뜻하게 격려해 주신 신희택 교수님, 김화진 교수님, 정상조 교수님, 박준석 교수님, 이상원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저자를 오늘에 이를 수 있도록 해 주신 아버님과 어머님께는 무어라 감사의 말씀을 드려야 할 지 모르겠다. 항상 즐거운 마음, 여유있는 마음, 꼭 이루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삶의 어려운 파도들을 잘 넘을 수 있게 제 마음의 등대가 되어 주셨다. 부족한 사위를 아껴 주시고, 챙겨 주신 장인어른과 장모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그리고 일이다 공부다 여러 핑계로 가족과 시간을 보내지 못하는 남편을 이해해 주고 격려해 준 사랑하는 아내 현낙희 판사, 당신이 있어서 그리고 우리 인서, 인준이가 있어서 하나님께 항상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 부족한 저자가 학위를 받고 이렇게 출간을 할 수 있는 영광을 주신 것은 이를 새로운 시작으로 여기고 계속 정진하라는 뜻일 것이다. 앞으로도 학문에 있어서나 실무에 있어서나 계속 노력하여 우리 사회를 위하여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었으면 한다




<목 차>

 

 

1장 서설

 


2장 의결권 분리 현상에 대한 고찰 


1절 의결권 분리 현상 개관 

1항 의결권 분리 현상에 대한 논란의 배경 

2항 의결권 분리 현상의 심화원인 

1목 주식대차거래의 확대 및 장외 파생상품 시장의 발달 

2목 헤지펀드의 활성화 

3목 주주에 대한 규제 회피 

4목 분산투자에 의한 의결권 분리 유인 증가 

 

2절 의결권 분리 현상의 법적 분석 및 유형화 

1항 의결권 분리현상의 법적 분석 체계 

1목 의결권 보유 

2목 주식에 대한 이해관계 

3목 의결권 과다보유 및 과소보유 

2항 의결권 분리 현상의 유형화 

1목 의결권 과다보유 

2목 의결권 과소보유 

 

3절 구체적 사례 검토 

1항 의결권 과다보유 사례 

1목 주식 파생상품을 통한 의결권 과다보유 

2목 주식대차거래를 통한 의결권 과다보유 

2항 의결권 과소보유 사례 

1목 지분 공시규제 회피를 위한 의결권 과소보유의 활용 

2목 기타 규제 회피를 위한 의결권 과소보유의 활용 

 

4절 결어 

 


3장 의결권 분리의 문제점 및 규제의 필요성 


1절 서설 


2절 주주에게 의결권을 인정하는 근거 

 

1항 주주라는 형식적 자격을 중시하는 입장 

2항 최적의 의사결정을 위한 인센티브를 중시하는 입장 

3항 논의에 대한 검토 

 

3절 의결권 분리에 대한 논란 

1항 논란의 배경 

2항 의결권 분리에 대한 긍정론 

1목 의결권 분리를 통한 당해 회사의 가치증대 

2목 의결권 분리거래를 통한 사회 전체적 부의 증대 

3항 의결권 분리에 대한 부정론 

1목 의결권만을 이전받는 의결권 분리거래의 문제점

제2목  주식 취득 이후 이해관계를 이전하는 의결권 분리거래의 문제점


4절 의결권 분리의 문제점 및 규제의 필요성 검토 

1항 의결권 분리에 대한 긍정론의 한계 

1목 개별회사 부의 증대 여부 

2목 사회전체적인 부의 증대 여부 

2항 의결권 분리의 본질적 문제점회사 의사결정의 왜곡 

1목 지배주주의 의결권 분리에 의한 의사결정의 왜곡 

2목 일반주주의 의결권 분리에 의한 의사결정의 왜곡 

3항 의결권 분리에 대한 법적 규제의 필요성 및 방향 

 


4장 의결권 분리에 대한 실체적 규제 

 

1절 서설 


2절 의결권 과다보유에 대한 규제 

1항 개요 

2항 의결권 행사 규제의 내용 

1목 의결권 과다보유의 정도 

2목 의결권 과다보유의 정도에 따른 규제범위 

3항 의결권 행사 규제의 방법 

1목 사전적 제한 

2목 사후적 구제 


3절 의결권 과소보유에 대한 의결권 인정 

1항 개요 

2항 의결권 과소보유에 대한 의결권 인정 논의 

1목 실질주주 의결권 행사제도의 확대 

2목 당사자 간의 계약을 근거로 한 의결권 인정

제3목  주식 가치 상승을 위한 인센티브가 있는 자에 대한 의결권 인정

제3항 의결권 과소보유에 대한 의결권 인정 여부에 대한 검토 

1목 음의 이해관계를 가지는 주주로부터 이해관계를 이전받은 경우

제2목 0 혹은 양의 이해관계를 가지는 주주로부터 이해관계를 이전받은 경우 

 

4절 기타 의결권 분리에 대한 간접적 대응 방안 

1항 주주총회 권한의 축소를 통한 의결권 행사범위의 축소 

1목 논의의 내용 

2목 검토 

2항 파생상품 계약의 내용규제를 통한 의결권 분리의 억제 

1목 논의의 내용 

2목 검토 

3항 의결권 행사구조의 개선을 통한 의결권 분리의 억제 

1목 기준일 이전의 의안자료 제공 

2목 주주총회 기준일과 주주총회일의 간격 축소 

3목 이중기준일제도의 도입 

4목 기준일 이후 주식을 취득한 자에 대한 의결권의 인정

제4항 주식 대차거래 시장의 규제를 통한 의결권 분리의 억제 

1목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에 대한 면책조항의 도입

2목 의결권 분리목적의 주식대차에 대한 간접적 제한 

3목 의결권 분리 목적의 주식대차에 대한 직접적 제한 

 

5절 의결권 분리의 유형별 규제방안 정리 

1항 의결권 과다보유 규제방안 

1목 주식을 소유한 경우 

2목 주식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 

2항 의결권 과소보유 규제방안 

1목 주식을 소유한 경우 

2목 주식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 (H유형) 

 


5장 의결권 분리에 대한 공시제도의 개선 

 

1절 공시제도 개선의 필요성 및 방향 

1항 지분공시제도의 기능 활성화 

1목 지분공시제도의 기능

제2목 지분공시제도의 기능 활성화를 위한 의결권 분리 공시의 필요성 

2항 의결권 분리에 대한 효율적 규제 

1목 사전적 제한의 관점 

2목 사후적 구제의 관점 

3항 공시제도 개선에 대한 비판론에 대한 검토 

1목 정책적 관점에서의 비판론 

2목 회사 지배구조 관점에서의 비판론 

3목 시장의 효율성 관점에서의 비판론 

4항 공시제도 개선의 방향 


2절 현행 공시제도에 있어서 의결권 분리 공시 여부 

1항 주식의 대량보유상황보고제도 

1목 제도의 취지 및 개요 

2목 주식 대량보유상황보고제도에 의한 의결권 분리의 공시 

3목 정리 

2항 임원 및 주요주주 등의 특정증권 등 소유상황보고제도 

1목 제도의 취지 및 개요

제2목 주요주주 등의 특정증권 등 소유상황보고에 의한 의결권 분리의 공시 

3목 정리

제3항 기업 인수합병 시 Put Back Option 등 부여에 대한 공시제도 

1목 제도의 취지 및 개요 

2Put Back Option 등에 대한 공시내용 

3목 정리 


3절 각국에서의 의결권 분리에 대한 공시제도 개선론 

1항 영국에서의 공시제도 개선 논의 

2항 홍콩에서의 공시제도 개선 논의 

3항 호주에서의 공시제도 개선 논의

4EU에서의 공시제도 개선 논의 

1목 개요 

2목 공시제도 확장의 근거 

3목 공시제도 확장의 내용 

5항 미국에서의 공시제도 개선 논의 

1목 논의의 배경 

2목 지분공시제도 개선을 위한 방법론 

3목 최근의 공시제도 개선 


4절 우리나라의 지분공시제도 개선방안 

1항 우리나라의 지분공시제도 개선의 필요성

제2항 우리나라에서의 지분 공시제도 개선에 관한 기존의 논의 

3항 우리나라의 지분공시제도 개선 방안 

1목 해석론적 관점 

2목 입법론적 관점 

 

5절 결어 

 


6장 결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43 이선희, 『독점규제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경인문화사, 2013) file 138
42 김기준, 『일사부재리 원칙의 국제적 전개 ― 국제적 이중처벌 방지를 위한 새로운 모색 ―』(경인문화사, 2013) file 139
41 김주영, 『情報市場과 均衡 ― 헌법사회학적 접근 ―』(경인문화사, 2013) file 131
» 김지평, 『주식에 대한 경제적 이익과 의결권』(경인문화사, 2012) file 137
39 유영선, 『기능성원리 연구 ― 특허와의 관계에서 상표에 의한 보호의 한계 ―』(경인문화사, 2012) file 139
38 이성엽, 『글로벌 경쟁시대 적극행정 실현을 위한 행정부 법해석권의 재조명』(경인문화사, 2012) file 133
37 김용훈, 『유럽연합의 규범통제제도 ― 유럽연합 정체성 평가와 남북한 통합에의 함의 ―』(경인문화사, 2012) file 123
36 차민식, 『국가임무의 '機能私化'와 국가의 책임』(경인문화사, 2011) file 121
35 김동훈, 『韓國 憲法과 共和主義』(경인문화사, 2011) file 124
34 김호철, 『기후변화와 WTO 탄소배출권 국경조정』(경인문화사, 2011) 121
33 권재문, 『親生子關係의 決定基準』(경인문화사, 2011) file 128
32 홍소연, 『젠더관점에 따른 제노사이드규범의 재구성』(경인문화사, 2011) file 131
31 이창현, 『慰藉料에 관한 硏究 - 불법행위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1) file 126
30 도경옥, 『비국가행위자의 테러행위에 대한 무력대응』(경인문화사, 2011) file 126
29 김석환, 『파트너쉽 과세제도의 이론과 논점』(경인문화사, 2010) file 139
28 조성국, 『독점규제법 집행론』(경인문화사, 2010) file 128
27 구본진, 『미술가의 저작인격권』(경인문화사, 2010) file 131
26 이상덕, 『營造物의 개념과 이론』(경인문화사, 2010) 134
25 현소혜, 『유언의 해석』(경인문화사, 2010) file 147
24 이철우, 『서양의 세습가산제』(경인문화사, 2010) file 131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