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연구총서

동산.채권담보권 연구.jpg





<책머리에>



본서는「동산•채권 둥의 담보에 관한 법률」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면서 이에 대한 해석론을 전개하고 그 과정에서 불분명한 부분을 지적하여 이를 해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동법은 새로운 약정담보물권인 동산담보권과 채권담보권 을 창설하고 담보등기제도를 도입하였다. 동법은 비록 담보권설정자를 법인과 상호등기를 한 자로 제한하고 있으나, 기존에 동산과 채권에 관한 담보의 공시가 불완전하여 부동산담보의 비중이 지나치게 큰 우리나라 담보거래에서 담보등기라는 공시방법을 갖춘 새로운 담보물권의 창설은 획기적이다. 아울러 동법상 담보권의 설정, 담보목적물의 가치유지 및 활용, 담보권의 실행의 각 단계에서 담보제도의 현대화가 어느 정도,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규명하는 것도 본서의 또 하나의 목적이 될 것이다.

본서는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산 및 채권 담보제도의 발전과정에 대한 연혁적 고찰과 비교법적 고찰로부터 출발한다(제2장). 이러한 고찰을 통해 로마법 시대에 등장한 담보신탁, 질권, 저당권이 대륙법상 근대민법전의 제정과정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핀 후, 인적재산에 대한 단일한 담보권을 도입하여 등록하도록 한 UCC 제9편과 UNCITRAL의 담보권입법지침을 검토하고, 담보제도의 현대화에 대한 각국 고유의 대응 모습을 검토한다. 이어 우리나라의 동산담보제도의 현대화를 다룬다(제3장). 동산담보권을 성립시키는 담보거래의 범위를 해명하여, 이른바 기능적 접근방법을 취하여 양도담보이든, 소유권유보부매매든 명목을 묻지 않고 담보약정이 인정된다면 담보등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담보등기의 기능과 효력을 규명한다. 담보등기부가 담보권설정자별로 편철되고, 동산담보등기가 담보권의 성립요건이며, 담보등기부는 담보권의 득실변경만을 기재할 뿐 담보목적물의 소유권의 득실변경은 등기사항이 아니라는 점으로부터 야기되는 담보목적물의 양도를 둘러싼 논의를 고찰한다. 담보권의 추급력과 관련하여 선의취득 규정에 관한 해석론을 논증하고, 아울러 담보목적물의 매매, 임대에 물상대위가 인정됨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함께 살핀다. 다음으로 채권담보제도의 현대화를 본다(제4장). 채권담보권은 담보등기에 의해 공시되고 대항력을 갖추므로 제3채무자에의 통지•승낙은 제3채무자에 대한 대항요건으로 그 기능이 축소, 제한된다. 그런데 이는 우리 민법상 채권양도의 공시체계, 즉 통지•승낙을 통해 채권의 귀속이나 담보권의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제3채무자에게 집중시켜 제3채무자에 대한 탐문에 의해 이를 공시함과 부합하지 않고, 이로부터 담보등기와 담보권설정 통지승낙의 관계를 둘러싸고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담보제도의 현대화라는 화두의 연장선상에서 향후의 입법론적 과제를 제안한다(제5장). 동법상 단일한 담보권으로의 통합을 염두에 두고 이를 위한 사전적 조정의 틀을 둔 것이 없는지 찾아보고, 소유권유보를 담보의 기능으로 활용하는 소유권유보부 매매, 금융리스 등의 취득금융제도를 담보권으로 취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촉구하였다.

본서 대부분의 내용은 동법이 시행되기 전인 2011년 8월 발간된 박사학위논문에 바탕을 둔 것이지만, 동법이 시행된 지 1년이 경과한 현재, 본서에서 예상 내지 우려한 문제점들이 아직은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고 있어 여전히 그 효용을 다하고 있다. 동법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에서 치밀한 문제의식을 갖고 동법의 주요내용을 분석하면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책으로서 해석론 나아가 입법론을 전개하는 과정은 어쩌면 필자의 능력 밖의 일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사히 논문을 마칠 수 있었던 건 돌이켜 보건대 다음과 같은 분들 덕분이다. 먼저, 수년 전 파리 뤄상부르 공원에서 필자를 민법학의 세계에 초대해 주시고 학자의 진지한 학문에의 자세를 보여주시며 부족한 제자를 묵묵히 기다려주신 스승 남효순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아울러, 세부적인 주제에서 풀리지 않을 것만 같았던 난제를 두고 고민하던 때 훌륭한 글을 통해 혜안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신 민법학계의 선배님들께도 고마움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필자가 가고자 하는 길이 무엇이 되었든 한결같이 지지해주신 부모님, 그리고 20년 지기 친구로서 언제나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준 남편에게 이 책을 바친다.



2013년 8월 

김현진





<목 차>



1장 서 론


  제1硏究意義

  제2硏究範圍方法

  제3論文構成

 

2動産 債權 擔保制度現代化에 관한 比較法的 考察


  제1절 대륙법의 역사적 전개 

1. 로마법 시대

2. 유럽의 보통법 시대 

3. 근대 민법전의 제정 

4. 소결 

  제2UCC의 단일한 담보권 도입 

1. 서 

2. UCC 이전의 담보장치들 

3. 단일한 담보권의 등장 

4. 단일한 담보권의 법률관계 

5. 평가 및 시사점 

  제3절 담보법 통일화를 위한 국제적 노력의 전개 

1. 서 

2. 담보법 통일화를 위한 국제기구의 노력 

3. UNCITRAL의 담보권입법지침 

4. 시사점 

  제4절 프랑스의 동산·채권담보제도의 현대화 

1. 서 

2. 유체동산담보제도의 개혁 

3. 채권담보제도의 개혁 

4. 신탁적 양도담보의 도입

5. 평가 및 시사점 

  제5절 일본의 동산·채권담보제도의 발전 

1. 서 

2. 담보제도 개혁의 경과 

3. 특례법상 대항요건으로서의 양도등기제도 

4. 평가 및 시사점 

 

  제6절 우리나라의 동산·채권담보제도의 발전 

1. 개혁의 필요성 

2. 담보제도 개혁의 경과 

3. 동산·채권담보법의 기본 체제 

 

3장 우리나라 動産擔保制度現代化

  제1절 서 

  제2절 동산담보권의 적용범위 

1. 동산담보권의 의의 

2. 담보약정의 포괄성 

3. 동산담보권의 대상 

4. 인적 적용범위 

  제3절 동산담보등기 

1. 담보등기제도 

2. 인적편성주의의 기능과 한계 

3. 담보권의 존속기간 

  제4절 동산담보권의 우선변제적 효력과 그 제한 

1. 서 

2. 담보권자의 우선적 지위 

3. 우선변제권이 미치는 범위 

4. 물상대위 

  제5절 담보권의 추급효와 그 제한 

1. 서 

2. 동산담보권자의 추급효의 특수성 

3. 통상의 영업과정에서의 처분과 추급효의 제한 

4. 선의취득과 추급효의 제한 

  제6절 동산담보권의 실행 

1. 실행방법의 유연화 

2. 공적 실행의 원칙 및 그 절차 

3. 예외적 사적 실행 방법과 그 절차 

4. 유담보약정에 의한 담보권의 실행 

5. 다른 재산으로부터의 변제 

6. 공동담보 

7. 사견/보론 

  제7절 소결 

 

4장 우리나라 債權擔保制度現代化

  제1절 서 

  제2절 채권담보권의 적용범위 

1. 채권담보권의 의의 

2. 담보약정 

3. 채권담보권의 대상 

4. 인적 적용범위 

  제3절 채권담보등기와 통지 

1. 문제의 소재 

2. 채권담보등기의 효력 

3. 통지·승낙의 효력 

4. 담보등기와 통지·승낙의 우열 

5. 담보권의 존속기간 

  제4절 채권담보권의 효력과 실행 

1. 채권담보권의 효력 일반 

2. 담보목적채권의 관리 

3. 담보목적채권에 대한 강제집행과 담보권자의 지위 

4. 채권담보권의 실행 

  제5절 도산절차에서의 집합담보권의 취급 

1. 문제의 소재 

2. 도산절차 개시 이후 집합담보권의 효력 

3. 집합담보권과 도산법상 부인권의 행사 

  제6절 소결 

 

5장 단일한 담보권으로의 지향 논의

  제1절 서 

  제2절 담보권 단일화의 요청과 가능성 

  제3절 취득금융담보권의 인정가능성 

 

6장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63 김정연, 『자본시장에서의 이익충돌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173
62 강지은, 『프랑스 행정법상 분리가능행위』(경인문화사, 2017) file 157
61 이민열, 『기본권 제한 심사의 법익 형량』(경인문화사, 2016) file 169
60 이용, 『디지털증거 수집에 있어서의 협력의무』(경인문화사, 2016) file 138
59 이진수, 『권리행사방해죄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6) file 155
58 김성민, 『서식의 충돌 ― 계약의 성립과 내용 확정에 관하여 ―』(경인문화사, 2016) file 139
57 황계영, 『폐기물 관리 법제에 관한 연구 ― 폐기물의 개념 및 분류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file 135
56 성승환, 『헌법과 선거관리기구』(경인문화사, 2015) 134
55 구상엽, 『장애인을 위한 성년후견제도』(경인문화사, 2015) file 135
54 이은상, 『독일 재량행위 이론의 이해』(경인문화사, 2014) file 143
53 구연모, 『부동산등기의 진정성 보장 연구』(경인문화사, 2014) file 137
52 신동현, 『민법상 손해의 개념 ― 불법행위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4) file 133
51 이승민, 『프랑스의 警察行政』(경인문화사, 2014) file 141
50 이연갑, 『신탁법상 수익자 보호의 법리』(경인문화사, 2014) file 153
49 김상준, 『무죄판결과 법관의 사실인정』(경인문화사, 2013) file 135
48 김소연, 『독립행정기관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경인문화사, 2013) file 125
47 이창수, 『포스트 교토체제하 배출권거래제의 국제적 연계(2013)』(경인문화사, 2013) file 121
» 김현진, 『동산‧채권담보권 연구』(경인문화사, 2013) file 127
45 권태상, 『퍼블리시티권의 이론적 구성 ― 인격권에 의한 보호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3) file 134
44 이민호, 『기업결합의 경쟁제한성 판단기준 ― 수평결합을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3) file 134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