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연구총서

사업신탁의 법리.jpg





<서 문>



2011년에 개정된 신탁법에서 소극재산과 적극재산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사업을 수탁자에게 신탁하는 것이 허용되어 사업 자체의 신탁이 가능하게 되었다. 법개정 후 사업신탁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사업신탁에 관하여 수탁자의 사업경영의 측면에서 깊이 있는 고찰은 많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사업신탁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사업신탁을 신탁재산이 사업이 될 것수탁자가 사업을 경영할 것을 개념요소로 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사업신탁을 (i) 사업 자체를 최초의 신탁재산으로 하는 신탁(1유형: 사업 자체의 신탁) (ii) 사업용 자산을 신탁하고, 수탁자는 이것을 가지고 사업을 하는 신탁(2유형: 사업형 신탁) (iii) 사업회사의 주식을 수탁자가 소유하여 사업회사를 지배하면서 경영에 관여함으로써 사업을 하는 실질을 가져오는 신탁(3유형: 사업회사 소유형 신탁)으로 유형화하였다.

국내외 사업신탁의 사례들을 검토하였는바, 실제로 제1유형의 사업신탁은 거의 찾기 어려웠다. 2유형의 사업신탁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토지신탁이 대표적이고, 3유형은 캐나다, 싱가포르, 홍콩에서 다수 이용되고 있다. 외국에서는 사업신탁에 관한 별도의 법률이 마련되어 있기도 한데, 미국에서는 통일제정법상신탁법이, 캐나다에서는 소득신탁법이, 싱가포르에서는 사업신탁법이 각각 제정되어 있다.

본서에서는 사업신탁의 법리고찰을 세 가지 단계로 검토하였다.

첫째, 사업신탁이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조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조직법의 핵심 기능인 자산분리와 유한책임구조를 가질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업신탁은 신탁법상 신탁재산의 독립성에 의하여 주식회사와 거의 마찬가지 수준으로 자산분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신탁법의 유한책임신탁제도를 활용하여 유한책임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둘째, 수탁자의 경영자로서의 의무와 전통적인 신탁법리의 변용의 점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사업신탁의 수탁자는 일반 신탁과 달리 사업의 경영자의 지위에 있으므로 주의의무에 대해 회사의 이사와 같이 경영판단의 원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사업신탁의 수탁자의 충실의무를 이사와 같이 의무를 완화할 실제적인 필요가 있지만, 사업신탁은 회사와 달리 수탁자에 대한 내부 견제장치가 충분하지 않고, 시장에 의한 외부규율 역시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충실의무의 완화는 제한적으로만 인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수탁자는 사업을 위해 매우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게 되므로, 법개정을 통해 자기집행의무를 완화하고 업무위탁을 폭넓게 허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업신탁이 회사에 대하여 우위를 가지는 점은 신탁의 기본 덕목인 유연성이라고 보고 이를 검토하였다. 회사법은 상당히 많은 사항을 강행규정화하고 있음에 비해, 사업신탁은 유연성을 발휘하여 이 중 많은 것들을 사적 자치의 영역에서 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내부 조직구조, 의사결정 방식, 수익자에 대한 배당, 수익권의 내용, 채권자보호 규제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신탁의 유연성은 역기능을 가져오기도 하는데, 회사법이 다루는 세 가지의 이익충돌 문제가 사업신탁에서도 모두 발생될 수 있다. 수탁자의 의무완화에 따른 수익자와 수탁자 사이의 이익충돌, 자유로운 배당에 따른 채권자와 수익자 사이의 이익충돌, 지배구조 왜곡에 따른 수익자들 사이의 이익충돌이 그것이다. 이들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는 사업신탁의 유연성의 이면에서 간과되어서 안된다. 사업신탁의 유연성의 역기능을 최소화하면서도 이를 잘 활용하기 위하여는, 수익자와의 합의가 명확히 이루어져야 하며, 다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투자자보호를 위한 방안이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사업신탁은 그 유연성에 불구하고 실제 활용은 상당히 제한적인데, 회사 제도의 확고한 위치와 그에 따른 법적 안정성에 비해 사업신탁은 아직 충분한 법리와 판례가 구축되어 있지 못한 탓이다. 그 결과, 사업신탁은 회사 형태의 사업조직으로는 할 수 없는 절세목적이나 고배당이 가능한 특수한 영역에 국한되고 있다. 향후 사업신탁은 지속적인 연구의 축적을 통해 발전될 가능성이 충분하며, 토지신탁의 개선, 다양한 수익권의 발행, 사업증권화 거래와 같이 여러 방면에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본서는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정리한 것이다. 논문에 대하여 꼼꼼히 지도해주시고 격려해주신 박준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논문을 세심히 검토해주시고 조언을 아끼지 않은 정순섭, 노혁준, 이계정, 윤영신 교수님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박사논문을 준비하면서 끊임없이 용기를 북돋워준 남편과 논문 준비로 바쁜데도 늘 엄마 곁을 지킨 아들에게 고마움과 사랑을 전한다. 언제나 딸을 마음으로부터 응원해주는 부모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19

이 영 경






<목 차>

 

 

서 론 

1절 연구의 배경

2절 연구의 목적과 구성

 

1장 사업신탁의 개관

1절 사업신탁의 의의 

1. 개정 신탁법상의 사업신탁 

2. 본 연구에서의 사업신탁 

3. 용어의 정리 

2절 사업신탁의 유형 

1. 1유형: 사업 자체의 신탁 

2. 2유형: 사업형 신탁 

3. 3유형: 사업회사 소유형 신탁

3절 사업신탁에 대한 규제 체계: 투자신탁과의 관계 

 

2장 국내외에서의 사업신탁의 활용 

1절 우리나라 

1. 토지신탁 (2유형) 

2. 특별법상의 사업형 신탁 (2유형) 

2절 미국 

1. 역사와 현황 

2. 사업신탁의 제정법화 

제3절 캐나다

1. 역사와 현황 

2. 사업신탁의 기본 구조와 효용 

3. 소득신탁법의 제정 및 주요 내용 

4. 사례: Swiss Water Decaffeinated Coffee Income Fund (3유형) 

4절 싱가포르 

1. 제도의 도입 및 현황 

2. 사업신탁의 기본 구조와 효용 

3. 사업신탁법의 주요 내용 

4. 사례: First Ship Lease Trust (3유형), Religare Health Trust (3유형), Hutchison Port Holding Trust (3유형)

5절 홍콩 

1. 제도의 도입 및 현황 

2. 사례: HKT Trust (3유형) 

3. 싱가포르 사업신탁과의 비교 

6절 일본 

1. 제도의 도입과 현황 

2. 사례: 라쿠텐신탁(樂天信託)의 태양광발전사업신탁 (2유형) 

7절 소결 

1. 1유형: 사업 자체의 신탁 

2. 2유형: 사업형 신탁 

3. 3유형: 사업회사 소유형 신탁 

4. 평가 


3장 사업신탁의 자산분리기능과 유한책임구조 

1절 기업조직으로서의 사업신탁 

1. 회사의 주요 특질과 사업신탁 

2. 신탁법리의 조직법적 역할 

3. 사업신탁과 조직법 

2절 신탁의 자산분리기능 

1. 조직법상 자산분리기능에 관한 미국에서의 논의 

2. 미국의 신탁법리의 자산분리기능 

3. 우리 신탁법의 검토 

3절 사업신탁의 유한책임구조 

1. 수탁자의 대외적 책임 

2. 수익자의 책임 

3. 평가 

 

4장 경영자로서의 수탁자의 의무 

1절 수탁자 의무의 엄격성과 사업신탁에서의 변화 

2절 사업신탁의 수탁자의 의무 

1. 주의의무 

2. 충실의무 

3. 자기집행의무와 신탁사무의 위임 

 

5장 사업신탁의 유연성 

1절 신탁의 유연성 

2절 사업신탁에서의 유연성 

1. 유연성의 효용 

2. 회사법의 강행법규성과 사업신탁 

3절 사업신탁의 유연성에 따른 문제점 

1. 수탁자의 의무완화에 따른 수익자와 수탁자의 이익충돌 

2. 수익자와 그 외의 이해관계인 사이의 이익충돌배당의 자유와 채권자 보호 

3. 수익자들 사이의 이익충돌싱가포르와 홍콩 사업신탁의 지배구조의 왜곡 

4절 사업신탁의 평가와 활용방안 

1. 사업신탁의 활용에 대한 평가 

2. 활용 방안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83 오택림, 『기업 뇌물과 형사책임』(경인문화사, 2019) file 351
» 이영경, 『사업신탁의 법리』(경인문화사, 2019) file 358
81 박성민, 『실손의료보험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341
80 정준혁, 『M&A와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19) file 370
79 김종현, 『방어적 민주주의』(경인문화사, 2018) file 348
78 임상혁, 『퍼블리시티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34
77 나지원, 『FRAND 확약의 효력과 표준특허권 행사의 한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08
76 박재윤, 『독일 공법상 국가임무론과 보장국가론』(경인문화사, 2018) file 332
75 임광섭, 『저작권법상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10
74 김기환, 『상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42
73 이윤제, 『국제범죄의 지휘관 책임』(경인문화사, 2017) file 325
72 백승엽, 『공정거래법상 일감몰아주기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280
71 이상훈, 『유럽민사법 공통참조기준안(DCFR) 부당이득편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08
70 장소영, 『북한 경제와 법 ― 체제전환의 비교법적 분석』(경인문화사, 2017) file 300
69 이헌,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271
68 최지선, 『법원의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방법 ― 통계학적 분석과 기술가치평가 방법론 활용 가능성 검토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7) file 265
67 민수현, 『배심재판에 있어서 공판준비절차에 관한 연구 ―한국과 중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7) file 242
66 김해마중, 『고정사업장 과세의 이론과 쟁점』(경인문화사, 2017) file 249
65 정재오, 『조인트벤처』(경인문화사, 2017) file 175
64 김완기, 『남북 통일, 경제통합과 법제도 통합』(경인문화사, 2017) 146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