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연구총서

117.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jpg

<서문>

  

  금융산업에 대한 규제로서의 자금세탁방지는 국내외 규제 강화 추세로 인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규제법의 영역에는 카지노와 가상자산 등 이질적 요소가 들어와 있을 뿐 아니라, 규제의 내용은 자금세탁을 시도하는 고객의 진입을 막고 고객의 혐의를 당국에 보고하는 것이어서 고객 보호와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본연의 금융규제와는 상이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는 자금세탁의 개념과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성격에 대한 의문을 야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금세탁의 정의, 자금세탁과 금융거래의 관계, 자금세탁방지의 금융규제법상 지위 및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의 성격과 근거 등 이론적 체계를 명확히 정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아가 자금세탁방지 규제 하에서 금융기관이 직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책임 범위도 규범의 실질적 효력 관점에서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국내에서는 자금세탁방지를 행정적기술적인 제도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이고, 기존 연구는 위와 같은 자금세탁방지와 관련된 근본적 쟁점에 대한 종합적인 이론적 연구보다는 일부 규제의 쟁점에 대한 논의나 제도를 설명하는 데에 그치는 등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금융규제법의 관점에서 자금세탁방지 분야의 종합적인 법이론서 생산을 목표로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와 쟁점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였습니다. 자금세탁방지의 금융규제법상 지위와 규제의 근거 등 이론적 틀을 정립하였고, 영미 판례를 중심으로 실제 사례의 분석을 통해 자금세탁의 개념과 기법의 변천 및 이와 결부된 자금세탁방지의 연혁을 정리하였으며, 규제와 관련된 금융기관의 책임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책은 필자가 20232월 발표한 서울대학교 법학박사 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입니다. 필자의 학문적 대부이시며 논문과 이 책의 발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이끌어 주신 서울대학교 정순섭 교수님께 진심으로 경의를 표합니다. 세심하고 따뜻한 지도로 연구의 부족함을 채워주신 서울대학교 송옥렬 교수님과 이정수 교수님, 정준혁 교수님, 연세대학교 심영 교수님께도 고개 숙여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끝으로 이 책이 발간될 수 있도록 물심양면의 지원을 아끼지 않은 아내 홍종희와 항상 따뜻한 말로 응원해 준 대학후배이자 사랑스러운 딸 이현서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2023년 여름

이명신

 


<차례>

 

1장 서론 

1절 연구 목적 

2절 연구의 범위 및 구성 

.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연구의 내용 및 구성 

 

2장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지위와 이론적 근거 

1절 자금세탁방지의 구조 

. 자금세탁방지 제도의 체계 

1. 국제적 기준 

2. 규제의 구조 

. 예방적 규제 

1. 규제 대상 

2. 자금세탁방지의무의 검토 

3.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 

. 집행적 규제 

1. 자금세탁의 범죄화 

2. 범죄수익의 몰수 

2절 자금세탁의 개념에 관한 이론적 검토 

. 개념 검토의 필요성 

1. 자금세탁의 본질 

2. 자금세탁과 금융거래의 관계 

. 비교법적 검토 및 시사점 

1. 미국 

2. 영국 

3. 일본 

4. 정리 및 시사점 

. 국내법상 자금세탁의 정의와 문제점 

1. 법률상 정의 

2. 자금세탁의 정의에 관한 이론적 논의 

3. 관련 판례 

4. 자금세탁의 정의와 관련된 문제점 

3절 자금세탁방지의 금융규제법상 지위 

. 논의의 필요성 

. 금융규제 

1. 금융규제의 목적과 수단 

2. 자금세탁방지 규제와 관련된 문제

. 해외에서의 논의 및 시사점 

1. 개요 

2.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성격에 관한 견해 

3. 검토 

. 국내법상 자금세탁방지의 지위 

1. 규제법 체계 

2. 검토 

3. 건전성 규제로서의 자금세탁방지 강화 필요성 

 

3장 자금세탁방지의 연혁과 발전 과정 

1절 개요 

2절 자금세탁의 역사 

. 자금세탁의 기원 

. 자금세탁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  

1. Al Capone 사건 

2. 워터게이트 사건 

3. U.S. v. $4,255,625.39 

4. Sindona 사건 

5. BCCI 사건 

3절 자금세탁 기법의 변천 과정 

. 자금세탁 기법의 분류 

1. 자금세탁의 3단계 

2. 자금세탁 기법의 유형별 분류 

. 자금세탁의 구체적 기법 및 사례 

1. 현금거래조작 

2. 현금밀수 

3. 사업체 활용 

4. 국제적 상업거래 활용 

5. 금융기관 활용 

6. 환전송금업자 활용 

7. 비공식 송금시스템 이용 

8. 금융자산 거래 

9. 비금융자산 거래 

10. 도박장 활용 

11. 전문직 활용 

12. 온라인 상거래 및 지급결제시스템 이용 

13. 가상자산 거래 

. 자금세탁 기법의 변화가 가지는 함의 

4절 자금세탁방지의 발전 과정 

. 개요 

. 국제적 대응의 전개 및 변화 

1. 국제협약 등 

2. FATF 설립 및 국제기준 정립 

. 외국 자금세탁방지 제도의 변천 

1. 미국 

2. EU 

3. 영국 

4. 일본 

. 국내 자금세탁방지 제도의 연혁 

1. 입법 경과 

2. 예방적 규제 입법의 변천 과정 

5절 소결 

. 자금세탁방지의 역사와 지위 

. 자금세탁 기법의 변천이 미친 영향 

 

4장 자금세탁방지와 관련된 금융기관의 책임 

1절 개요 

. 책임의 소재 

. 책임의 구조 

2절 민사책임 

. 고객에 대한 책임 

1. 의심거래보고를 이행한 경우 

2. 금융거래를 단절한 경우 

. 범죄피해자에 대한 책임 

1. 책임의 이론적 근거 

2. 미국 판례의 검토 

3. 시사점 및 우리 법제에서의 검토 

. 회사에 대한 책임 

1. 책임의 근거 

2. 미국 연방법원 판례 

3. 시사점 및 우리 법제에서의 검토 

3절 형사책임 

. 현행법상 처벌규정 

. 자금세탁범죄의 공범책임 

1. 책임의 근거 

2. 자금세탁방지의무 위반에 따른 방조죄 성립 여부 

. 그 외 쟁점별 검토

1. 범죄수익수수죄 

2. 허위거래보고죄 

3. 금융기관 수수자금의 몰수추징 가능성 

4절 행정책임 

. 책임의 근거 및 유형 

. 쟁점별 검토 

1. 내부통제기준의 법규성 

2. 과태료 부과기준 

3. 인가 취소의 가능성 

5절 금융기관의 책임통제를 위한 개선방안 

. 의심거래보고 면책범위 확장 

. 거래동의 제도 도입 

. 퇴출규제의 도입 

. 레그테크(RegTech)의 활용 

 

5장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sort
123 이황희, 『애덤 스미스와 국가』(경인문화사, 2019) file 416
122 정준혁, 『M&A와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19) file 372
121 신혜원, 『저작재산권의 입법형성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369
120 이영경, 『사업신탁의 법리』(경인문화사, 2019) file 359
119 오택림, 『기업 뇌물과 형사책임』(경인문화사, 2019) file 351
118 김종현, 『방어적 민주주의』(경인문화사, 2018) file 349
117 김기환, 『상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43
116 박성민, 『실손의료보험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341
115 임상혁, 『퍼블리시티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34
114 박재윤, 『독일 공법상 국가임무론과 보장국가론』(경인문화사, 2018) file 334
113 이윤제, 『국제범죄의 지휘관 책임』(경인문화사, 2017) file 325
112 임광섭, 『저작권법상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10
111 나지원, 『FRAND 확약의 효력과 표준특허권 행사의 한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09
110 이상훈, 『유럽민사법 공통참조기준안(DCFR) 부당이득편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09
109 장소영, 『북한 경제와 법 ― 체제전환의 비교법적 분석』(경인문화사, 2017) file 301
108 이재홍, 『과잉금지원칙의 이론과 실무』(경인문화사, 2021) file 294
107 백승엽, 『공정거래법상 일감몰아주기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280
106 최준규, 『계약해석의 방법에 관한 연구 - 계약해석의 규범적 성격을 중심으로 - 』(경인문화사, 2020) file 278
105 이헌,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271
104 최지선, 『법원의 특허침해 손해액 산정방법 ― 통계학적 분석과 기술가치평가 방법론 활용 가능성 검토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7) file 267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