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27.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연구.jpg



<머리말>

  

 

법인은 자연인이 아니기 때문에 의사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행위하기 위해 반드시 기관을 필요로 하는데, 법인의 의사결정기관과 집행기관, 대표기관은 법률적으로나 현실적으로나 대부분 일치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법인이 제3자와 거래하는 과정에서 법인의 의사가 제대로 표현되지 못할 위험 및 제대로 표현되지 못한 법인의 의사를 신뢰한 상대방이 보호되지 못할 위험이 존재하고, “법인 대표자가 이사회·총회 등 의사결정기관의 결의를 거쳐야 함에도 이를 거치지 않고 행위한 경우 그 효력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대표권 제한 쟁점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런데 현재의 판례는, 법인 대표자가 의사결정기관의 결의 없이 행위한 경우 그 효력을 판단함에 있어 법인의 종류, 법률행위의 유형, 대표권 제한의 근거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법리를 형성하고 있다. 대표권 제한 쟁점은 법인 보호와 거래상대방 보호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이익형량의 문제이므로, 모든 경우에 하나의 통일된 법리를 고집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겠으나, 한편 이러한 다양한 법리로 인해 불필요한 혼란이 야기되는 측면도 있다. 이에 필자는 이 책을 통해 대표권 제한 쟁점에 관한 기존 법리를 검토하는 한편 비교법적 연구를 통해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 및 비법인사단 전반을 아우르는 통일적 분석과 법리의 고찰을 시도하였다. 그 과정에서 상대적 무효의 법리에 관한 일응의 기준을 제시하고, 나아가 비영리법인에 적용되는 민법 제60조의 입법론을 제안하였다. 이 책에서 다루는 연구와 제시한 입법론 및 해석론의 정비를 통해 현재 혼재되어 있는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법리가 통일적으로 정리될 것을 기대한다.

이 책은 20238월 발표된 같은 제목의 필자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을 바탕으로 하되 논문 발표 이후의 하급심 판례 동향 등을 수정보완하여 출간하는 것이다. 실무가로서 분야를 막론한 다양한 소송에 파묻혀 있던 필자로서는 본 연구를 통해 비로소 상법을 전공하는 학자로서 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었다.

이 책이 발간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특히 필자는 뜻하지 않게 훌륭한 두 분을 지도교수님으로 모시는 행운을 얻었다. 먼저 타과생으로 법학을 부전공하던 학사 시절에 회사법 강의를 통해 상법의 세계에 눈을 뜨게 해 주셨고, 퇴임하시는 순간까지 지도교수님로서 부족한 제자를 기다려주시고 또 믿어주신 김건식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재판연구관 시절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과정에서도 상법에 대한 열망을 놓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지도교수님이신 천경훈 교수님께서 정성어린 조언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셨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꼼꼼히 살펴주시는 한편 깊은 통찰로 그 수준과 완성도를 높여 주신 것에 대해서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심사 과정에서 드러난 필자의 미욱함을 지도교수님을 포함하여 심사위원장님과 심사위원님들 모두가 애정으로 살펴주셨음을 부인할 수 없다. 처음 대표권 제한이라는 주제로 본인을 이끌어주셨고 논문 심사위원장님으로 마지막까지 필자와 본 연구를 지지하고 살펴주신 김재형 교수님, 심사 과정에서 필자가 간과한 부분들까지 세심히 깨우쳐주시는 한편 용기를 잃지 않도록 응원해주신 김홍기 교수님, 깊이 있는 통찰력을 바탕으로 논문이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가르침을 주신 노혁준 교수님, 비교법적 연구에 대한 아낌없는 조언을 통해 학자로서의 시각을 일깨워주신 송옥렬 교수님께도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일일이 이름을 거론할 수는 없으나, 독일법을 비롯한 비교법적 연구, 등기실무 등 여러 분야에서 지면과 대면으로 가르침을 주신 존경하는 선후배와 동료들, 그리고 오랜 시간 기다려주신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와 경인문화사 관계자 분들께도 감사드린다.

마지막으로 당연한 말이지만 이 책이 출간될 수 있었던 것은 필자를 이해하고 믿어 준 가족의 절대적인 사랑이 있었기 때문이다. 부족한 글이나, 이 책이 평생 헌신과 사랑으로 필자를 지지해 주신 부모님(白承德, 朴在玉)께 작은 기쁨이 되기를 희망한다. 존경하는 인생의 동반자인 남편 이송헌 변호사와 존재만으로도 행복인 딸 이채은, 아들 이현민에게, 진심으로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차례>

 

머리말

 

 

서 론

1절 연구의 배경

2절 연구의 범위

3절 연구의 구성

 

1장 대표권 제한과 법인의 기관구조

1절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1. 대표권

2. 대표대리의 구별

3. 회사 대표자의 대표권과 상업사용인의 대리권

4. 소결

2절 법인의 기관구조

1. 영리법인

2. 비영리법인

3. 비법인사단

4. 소결

3절 대표권 제한과 법인의 기관구조

1. 대표권과 의사결정권의 분리

2. 의사결정권의 분배

3. 법인 업무의 단계적 구분

4. 소결

 

2장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1절 일본의 논의

1. 회사 대표이사의 대표권 제한

2. 비영리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

3. 소결

2절 독일의 논의

1. 회사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

2. 민법상 사단(Verein)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

3. 소결

3절 미국의 논의

1. 개괄

2. 단체 지배구조의 소개

3. 대리의 법리

4. 미국 판례의 소개

5. 소결

4절 비교법적 고찰에 대한 소결

 

3장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기존 법리

1절 주식회사 대표이사의 경우 

1. 대표권 제한의 접근방법

2. 대표권 제한의 내용

3. 대표권 제한에 위반한 행위의 효력

2절 민법상 비영리법인 대표자의 경우

1. 대표권 제한의 접근방법

2. 대표권 제한의 내용

3. 대표권 제한에 위반한 행위의 효력

3절 특수법인 대표자의 경우

1. 대표권 제한의 내용

2. 대표권 제한에 위반한 행위의 효력(판례를 중심으로)

4절 비법인사단 대표자의 경우

1. 대표권 제한의 내용

2. 대표권 제한에 위반한 행위의 효력

5절 요약: 대표권 제한에 위반한 행위의 효력

 

4장 대표권 제한 법리의 개선방안

1절 대표권 제한 법리의 기준

1. 쟁점의 정리

2. 상대적 무효 법리에서의 기준 제시

2절 대표권 제한 법리의 검토 및 개선

1. 대표권 제한에 위반한 행위의 효력

2. 등기설의 검토 및 개선안 제시

3. 인식설의 검토

4. 법률상 제한과 내부적 제한의 구별

 

결 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sort
128 정주미,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 부당성 판단 기준과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 –』(경인문화사, 2023) file 663
127 이황희, 『애덤 스미스와 국가』(경인문화사, 2019) file 515
126 김환권, 『임의제출물 압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3) file 500
125 박지혜, 『기후위기 시대의 기후・에너지법 - 공공선택이론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실패 사례 분석과 법・정책 대안의 모색 -』(경인문화사, 2022) file 500
124 신혜원, 『저작재산권의 입법형성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493
123 정준혁, 『M&A와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19) file 478
122 최준규, 『계약해석의 방법에 관한 연구 - 계약해석의 규범적 성격을 중심으로 - 』(경인문화사, 2020) file 468
121 이재홍, 『과잉금지원칙의 이론과 실무』(경인문화사, 2021) file 463
120 이영경, 『사업신탁의 법리』(경인문화사, 2019) file 442
119 김종현, 『방어적 민주주의』(경인문화사, 2018) file 438
118 오택림, 『기업 뇌물과 형사책임』(경인문화사, 2019) file 430
117 김기환, 『상계』(경인문화사, 2018) file 421
116 박성민, 『실손의료보험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419
115 박재윤, 『독일 공법상 국가임무론과 보장국가론』(경인문화사, 2018) file 418
114 임상혁, 『퍼블리시티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407
113 이윤제, 『국제범죄의 지휘관 책임』(경인문화사, 2017) file 407
112 김지희,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과 개인정보보호』(경인문화사, 2022) file 406
111 나지원, 『FRAND 확약의 효력과 표준특허권 행사의 한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98
110 장소영, 『북한 경제와 법 ― 체제전환의 비교법적 분석』(경인문화사, 2017) file 397
109 임광섭, 『저작권법상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94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