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26. 역외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과 대안.jpg



<머리말>

  

구름(cloud) 속에 숨어있는 데이터를 찾는 수사기관의 여정을

국제법적 시각에서 검토하고 대안을 모색하다

 

정보통신기술,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 더 많은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 내에 저장되고 있다. 대부분의 범죄자들도 다양한 목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고, 해당 범죄자를 추적하고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서 수사기관 역시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게 된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상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물리적 위치를 정확히 알기가 어려운데, 이로 인해 수사기관이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부지불식간에 데이터가 저장된 해외 서버에 접속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아직까지 역외 디지털증거 수집에 대한 국제법적 규율이 부재한 상황에서 국가마다 입법적으로 또는 실무적으로 일방적인 해결방식에 의존하고 있는데, 법적 안정성을 제고하고 개인의 자유와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집행관할권 행사의 범위와 관련된 국제법적 한계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국제법적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선결과제로서, 국제기구와 국가의 실행을 바탕으로 논의의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서에서는 역외 데이터 수집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주요 국가의 실행을 분석하여 수사기관의 역외 데이터 수집의 방식을 크게 직접수집방식과 간접수집방식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유형화에 기반하여 집행관할권 행사의 문제에 대한 국제적 해결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요소를 제시한 후, 우리나라의 국내 입법과 실무에 있어서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사의 말을 남긴다. 이 책은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인 수사기관의 역외 전자데이터 수집 : 국제법상 집행관할권 행사의 한계 및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우선 학문적 가르침과 늘 따뜻한 배려를 아낌없이 주신 지도교수님, 이근관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부족한 저자의 논문을 심사하면서 세심한 조언과 지원을 보내주신 최태현 교수님, 이성덕 교수님, 이재민 교수님, 원유민 교수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심사위원이셨던 교수님들 외에도 국제법의 큰 가르침을 주신 정인섭 교수님께도 감사와 존경의 인사를 드린다. 마지막으로 언제나 물심양면으로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신 부모님과 사랑하는 남편, 소중한 아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다.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1절 문제의 제기

2절 연구의 목적과 범위

 

2장 국제법상 관할권 행사의 기본원칙과 한계

1절 관할권 행사의 기본원칙

1. 관할권의 개념과 주권과의 관계

2. Lotus호 사건

3. 형사관할권에 관한 하버드 협약 초안

2절 국가관할권의 역외적 행사

1. 역외관할권의 의의

2. 국내법의 역외적용

3. 역외관할권의 확대 행사

3절 집행관할권 행사의 영토적 한계

1. 집행관할권의 의의

2. 집행관할권 행사의 내용

3. 해외에서의 집행관할권 행사에 대한 각국 법원의 태도

  

3장 사이버공간에서의 관할권 행사와 관련 문제

1절 사이버공간에서의 관할권 행사

1. 사이버공간의 규제 가능성

2. 사이버공간에서의 속지주의 적용

3. 소결

2절 클라우드 데이터와 유형별 특징

1.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

2. 클라우드 데이터의 특징

3. 클라우드 유형별 법적 효과

3절 클라우드 데이터에 대한 집행관할권 행사의 문제

1. 위치의 상실 문제

2. 국제사법공조제도의 비효율성

 

4장 역외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국제사회 논의

1UN 차원에서의 논의

1. UN 범죄예방 및 형사사법위원회

2. 사이버범죄 범정부 전문가그룹 회의

3. 사회적, 인도적 및 문화적 문제에 대한 UN 3위원회

2절 유럽평의회의 사이버범죄협약

1. 협약의 성안 배경

2. 협약의 주요 내용

3. 주요 쟁점과 관련 논의

4. 2추가의정서의 주요 내용

3절 유럽연합(EU)의 전자증거 규정 초안

1. 전통적인 형사사법공조 및 상호 승인

2. EU 전자증거 규정 초안

3. 유럽제출명령과 개인정보보호


5장 주요국의 입법과 실행

1절 미국

1. 주요 입법

2. 관련 판례

2절 영국

1. 주요 입법

2. 미국과의 행정협정 체결

3절 벨기에

1. 주요 입법

2. 관련 판례

4절 일본

1. 주요 입법

2. 관련 판례

5절 우리나라

1. 주요 입법

2. 관련 판례

6절 소결

 

6장 국제법적 대안 모색을 위한 논의 방향

1절 역외 디지털증거 수집의 유형화

1. 기존의 유형화 방식

2. 새로운 유형화 방식 제안

3. 소결

2절 국제법적 적법성 판단 시 고려사항

1. 데이터의 저장 위치

2. 데이터의 접근권한을 가진 자의 동의

3. 정보주체 또는 서비스제공자의 국적 또는 위치

4. 데이터의 수집 방법

5. 수사대상 범죄의 중대성 및 긴급성

6. 개인정보보호 법제와의 충돌 가능성

3절 국내 입법 및 실무에 대한 법정책적 제언

1. 수사실무에서의 역외 데이터 수집의 실제

2. 다자조약 가입 및 양자조약 체결의 필요성

3. 국내법제 정비방안

 

7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sort
128 김영석, 『국제도산에서 도산절차와 도산관련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113
127 조경준, 『유동화신탁 소득의 과세에 관한 제도 설계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126
126 이나래, 『스타트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적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136
125 백숙종,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160
» 송영진, 『역외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과 대안』(경인문화사, 2024) file 162
123 박철희, 『증권집단소송과 화해』(경인문화사, 2007) file 193
122 김호철, 『기후변화와 WTO 탄소배출권 국경조정』(경인문화사, 2011) 198
121 김현진, 『동산‧채권담보권 연구』(경인문화사, 2013) file 201
120 이재민, 『WTO 보조금 협정상 위임·지시 보조금의 법적 의미』(경인문화사, 2008) file 202
119 조성국, 『독점규제법 집행론』(경인문화사, 2010) file 202
118 차민식, 『국가임무의 '機能私化'와 국가의 책임』(경인문화사, 2011) file 202
117 김용훈, 『유럽연합의 규범통제제도 ― 유럽연합 정체성 평가와 남북한 통합에의 함의 ―』(경인문화사, 2012) file 202
116 이창수, 『포스트 교토체제하 배출권거래제의 국제적 연계(2013)』(경인문화사, 2013) file 202
115 김소연, 『독립행정기관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경인문화사, 2013) file 204
114 박훈, 『부동산투자회사제도의 법적 구조와 세제』(경인문화사, 2007) file 206
113 김영희, 『형성권 연구』(경인문화사, 2007) file 206
112 이창현, 『慰藉料에 관한 硏究 - 불법행위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1) file 206
111 홍소연, 『젠더관점에 따른 제노사이드규범의 재구성』(경인문화사, 2011) file 207
110 이효원, 『남북교류협력의 규범체계』(경인문화사, 2006) file 208
109 도경옥, 『비국가행위자의 테러행위에 대한 무력대응』(경인문화사, 2011) file 208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