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전 세계적인 플랫폼의 편재화와 시장집중으로 플랫폼에 대한 경쟁법 집행 강화 논의와 함께 별도의 플랫폼 규제 체계의 창설이 논의되고 있다. 우리도 전기통신사업법의 지속적 개정을 통해 고강도의 규제조항들이 추가되고 있 을 뿐 아니라 플랫폼법안들이 심의 중이다. 이들 중 플랫폼공정화법안은 빅테크에 시장을 넘겨준 유럽과 일본의 법제를 참고한 이용사업자 보호법안이고, 플랫폼이용자법안은 통신규제의 확장을 지향하면서 포괄적 금지행위뿐 아니라 수수료통제의 근거로 남용될 우려가 있는 이용약관 신고제와 적정수익 배분의무까지 규정하고 있다. 이처 럼 입법이 이례적으로 자국 플랫폼을 보유한 우리의 시장구조와 환경을 반영하지 않은 채 과잉·중복규제로 향해가 는 상황에서, 규제개편 방향을 이하와 같이 재검토한다. 첫째, 플랫폼이 전기통신사업법상 부가통신사업이라는 해 석관행은 체계적 정합성과 정책적 합리성이 없으므로 통신규제의 적용·확장은 중단되어야 한다. 둘째, 플랫폼법안 들과 같은 별도 규제체계는 이용사업자의 직접 보호를 중심으로 하는 유럽식 접근을 거쳐 결국 “원조 플랫폼”인 신 용카드시장에서의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적격비용 산출제와 같은 원가기반 수수료통제법으로 퇴행할 가능성이 크 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경제적 처방보다는 본원적 경쟁법을 중심에 두고 사실과 증거에 입각한 법집행에 주력해야 한다. 셋째, 플랫폼 특유의 지배력 전이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과소집행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상시적 경제분 석 체제를 갖춰 경쟁법 집행을 고도화해야 한다. 이러한 총론적 검토를 근거로 사후구제와 사전규제 항목들을 시 장구조에 대한 접근방식별로 구분하고, 우리의 시장환경과 정책목표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정책 처방을 선별한다. 특히, 이용사업자의 직접 보호와 준공법적 통제를 중심으로 한 처방들보다는 충분한 사업자 수 내지 잠재적 진입 의 확보와 유지, 구체적으로 자국 플랫폼과 빅테크의 공존을 지향하는 끈기 있는 처방을 제안한다. 이어 규제일변 도의 법안들에 가리어 간과되었던 입법과제인 플랫폼의 국가기능 수탁의 합리화 문제를 재조명하고, 관련 규정과 법리들을 정보통신망법에 모아 체계화하여 디지털서비스법으로 개편할 것을 촉구한다. 이로써 플랫폼의 전체적인 기능과 소비자와 소상공인의 후생을 균형 있게 고려하면서 자국 플랫폼의 존속 및 혁신 역량도 놓치지 않는 법제 개편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플랫폼법 총론: 현 규제체계의 문제와 대안

Ⅲ. 플랫폼법 각론: 구제 및 규제 항목의 개별 검토

Ⅳ. 결어



외국어초록


As digital platforms get ubiquitous and grow their market power, the world is plunging into a debate over how to strengthen antitrust enforcement or create new regulatory regimes to control them. Korea’s legislature is not only adding a series of stringent provisions to 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Business Act (ECBA) but is on the way to pass a couple of new platform regulation bills: the Platform Fairness Act, a merchant protection law modeled after the EU and Japan’s platform-to-business regulations, and the Platform User Protection Act, a common carrier regulation regime that includes a potential legal mandate for direct commission control. Without considering Korea’s unique market situation where local platforms fiercely compete with the Big Tech, the bills aim to tightly regulate platforms based on public law principl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s a complete reversal of policy. First, Korea must stop applying and extending common carrier regulations to platforms as they are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that do not fall under value-added networks under the ECBA. Second, Korea’s legislative moves are likely to follow in the footsteps of a cost-based commission control regime as applicable to the credit card industry, but the arbitrary price control must give way to evidence-based and fact-driven antitrust enforcement. Lastly, Korea’s competition agency must effectively cope with platforms’ leveraging abuses and underdeterrence through a regular economic analysis system. Based on this agenda, this paper reviews each item of potential remedies and regulations to sort out those suited for Korea’s market status. Doing so, it proposes market-based solutions aiming at preserving market dynamics rather than hastily transplanting a Europe-style merchant protection regime, so as to balance consumer and merchant welfare without stifling innovation and competition.













1면_플랫폼법_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72 김형석, "유류분과 신탁: 비교법적 개관과 평가", 『가족법연구』 제36권 제1호(한국가족법학회, 2022.3) file
171 오영걸, "한국사법상 신임관계의 이론적 정립(UNCOVERING HIDDEN FIDUCIARIES IN SOUTH KOREAN PRIVATE LAW)", 『Contemporary Social Sciences』 제7권 제2호(Sichu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22) file
170 권영준, "2021년 민법 판례 동향", 『서울대학교 법학』 제63권 제1호(법학연구소, 2022.3) file
169 송옥렬, "이사의 감시의무와 내부통제시스템 구축의무", 『기업법연구』 제36권 제1호(한국기업법학회, 2022.3) file
168 이동진, "고령사회에서 계약법.소비자법", 『재산법학회』 제38권 제4호(한국재산법학회, 2022.2) file
167 전상현, "대법원의 규칙제정권", 『법학논집』 제26권 제3호(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3) file
166 홍진영, "조사자증언에 있어서 특신상태 요건의 구체화", 『법조』 제71권 제1호(법조학회, 2022.2) file
165 정선주, "중재판정 취소의 소의 대상", 『민사소송』 제26권 제1호(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2.2) file
164 이우영, "피의자의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의 헌법적 보장 관점에서의 형사공공변호인제도 도입입법안 분석 및 개선방안", 『입법학연구』 제19집(한국입법학회, 2022.2) file
» 박상철, "플랫폼법", 『저스티스』 제188호(한국법학회, 2022.2)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