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대상판결은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에 따른 사업종류 결정과 산재보험료 부과처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원심은 선행 처분인 사업종류 결정은 행정소송법상의 처분이 아니므로 이를 직접 다툴 수 없고, 후행 처분인 산재보험료 부과처분 취소소송에서 사업종류 결정의 위법성을 함께 다투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반해 대상판결은 사업종류 결정은 처분이고, 사업종류 결정의 위법성은 산재보험료 부과처분 취소소송에서 다툴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사업종류 결정이 처분인지가 주된 쟁점이고, 사업종류 결정의 하자가 산재보험료 부과처분에 승계되는지의 문제는 일종의 방론으로 서술되었다. 그런데 이 방론 부분에서 실체법적 처분과 쟁송법적 처분을 구별하면서, 선행 처분이 쟁송법적 처분일 경우 하자가 승계된다는 새로운 법리를 제시하였다. 대상판결의 세부적 논리 전개에 모두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큰 방향성에 있어서는 동의할 만하다고 생각된다. 처분성이 확대되면 하자의 승계가 더 넓게 인정되어야 한다는 점, 절차적 보장 여부도 하자 승계 판단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나아가 장기적으로는 하자의 승계에 대한 기존의 접근방식을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 하자의 승계가 인정되는 예외적인 사유는 결국 적법성 보장· 권리구제의 필요성과 법적 안정성 보장의 필요성을 형량한 결과이다.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예외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처분(공시지가결정)이 나타났을 때 수인한도의 예외가 추가되었고, 처분성의 확대로 인해 위 두 가지 예외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처분들이 나타나면서 쟁송법적 처분의 예외가 추가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예외의 목록을 늘리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방법론적으로 타당한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각각의 예외는 서로 다른 형량요소에 좀 더 집중하고 있을 뿐 배타적이거나 무관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효과를 발생시키는 경우는 선행 처분과 후행 처분의 관계에, 수인한도론은 후행 처분으로 인한 불이익에, 쟁송법적 처분론은 선행 처분의 성격에 좀 더 집중하고 있을 뿐이다. 이익형량의 요소를 보다 구체화하고 정교화하여 개별 사안에서 설득력 있는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향후의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목차


Ⅰ. 대상판결의 개요

 1. 사실관계

 2. 소송경과

 3. 판결요지

Ⅱ. 문제의 소재

Ⅲ. 사업종류 결정의 처분성

 1. 실체법적 논거 

 2. 쟁송법적 논거와 절차법적 논거

Ⅳ. 사업종류 결정과 산재보험료 부과처분 사이의 하자의 승계 

 1. 기존의 논의구조

 2. 두 가지 예외

 3. 추가된 세 번째 예외 - 쟁송법적 처분

 4. 절차적 보장이 하자의 승계에 미치는 영향 

 5. 확인적 행정행위 - 예정되었으나 현실화되지 않은 불이익 

Ⅴ. 대상판결의 의미와 전망



외국어초록


The subject judgmen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business and the disposition that imposed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remiums under the Act On The Collection Of Insurance Premiums For Employment Insurance An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The lower court judged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business, which is a prior disposition, cannot be directly contested because it is not a disposi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but the illegalit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business should be also dealt in the litigation to revoke the disposition to impos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remiums, which is a subsequent dis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target judgment is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business is a disposition, and the illegalit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business cannot be contested in the litigation to revoke the disposition to impos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remiums. The main issue was whether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business is a disposition, and whether the illegality in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business is succeeded to the disposition to impos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remiums was described as obiter dictum. However, in this part, dispositions under substantive law and dispositions under litigation law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a new legal principle that illegality is succeeded in cases where prior dispositions are dispositions under litigation law was presented. Although I do not agree with all of the detailed logical development of the subject judgment, I think that the broad directivity of the subject judgment is agreeable. The fact that the succession of illegality should be recognized more broadly when the range of the disposition under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s expanded, and the fact that procedural guarantees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succession of illegality are agreeable. Furthermore, in the long run, it is necessary to rethink the existing approach to succession of illegality. The exceptional reason for recognition of the succession of illegality is eventually the result of weighing the necessity of guaranteeing legality and protection of rights and the necessity of guaranteeing legal certainty. When a disposition that cannot be resolved only with the exception that two dispositions combine to generate one effect (the determination of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appeared, an exception of the tolerance limit was added, and as dispositions that cannot be resolved with only the above two exceptions appear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dispositions, an exception of dispositions under litigation law was add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t is methodologically justifiable to solve problems by increasing the list of exceptions as such because individual exceptions are just more focused on different weighing elements and are not exclusive or irrelevant. Cases where two dispositions combine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n effect just focus mo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disposition and subsequent disposition, the theory of the tolerance limit on the disadvantage caused by the subsequent disposition, and the theory of dispositions under litigation law on the nature of prior dispositions. It will be an important task in the future to draw convincing conclusions in individual cases by making the elements of profit weighing more specific and elaborate.













1면_하자의 승계와 쟁송법적 처분_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82 강광문, "2018년 중국의 헌법 개정과 감찰제도 개혁에 관한 고찰", 『중국법연구』 제49집(한중법연구회, 2022.7) file
» 최계영, "하자의 승계와 쟁송법적 처분", 『행정판례연구』 제27권 제1호(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22.6) file
180 김형석, "채권자취소권의 개정 방향", 『민사법학』 제99호(한국민사법학회, 2022.6) file
179 조홍식, "'법의 지배'의 침묵과 그 적대자들", 『서울대학교 법학』 제63권 제2호(법학연구소, 2022.6) file
178 김종보, "공원특례사업에서 시행자지정처분의 법적 효과", 『서울대학교 법학』 제63권 제2호(법학연구소, 2022.6) file
177 이정수, "메타버스와 금융법", 『상사법연구』 제41권 제1호(한국상사법학회, 2022) file
176 최계영, "행정형 조정의 현황과 과제", 『인권과 정의』 (대한변호사협회, 2022.6) file
175 공두현, "2019년~2021년 법철학 판례 동향", 『법철학연구』 제25권 제1호(한국법철학회, 2022.4) file
174 이계정, "삼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의 처분으로 인한 부당이득의 법률관계", 『법조』 제71권 제2호(법조협회, 2022.4) file
173 최석환, "노무 제공 규제의 다양화의 복합규제", 『노동법연구』 제52호(서울대 노동법연구회, 2022.3)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