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행정형 조정이란 행정기관이 소관사무와 관련하여 발생한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운영하는 조정절차를 말한다. 조정의 일반적인 장점에 더하여, 행정형 조정은 조정절차의 운용이 행정기관이 본래 소관업무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고, 행정기관이 보유한 법적·사실적 영향력을 배경으로 하여 합의의 성립과 이행을 유도할 수 있다는 특유의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한편으로, 행정형 조정은 우리나라의 ‘대체적 분쟁해결’(ADR)의 실제에 있어 상 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숫자도 계속 늘어나는 경향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당사자의 의사에 기 초하여 분쟁을 해결하기보다는 행정기관의 권위나 영향력에 의존하여 분쟁을 해결하므로 ADR의 본래 의 취지에 들어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따라서 ‘행정형’이라는 말에 내포된 후견적 요소와 당사 자의 자율성 존중을 요체로 하는 ‘조정’의 특성 사이에 나타나는 긴장관계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지가 행정형 조정 제도 설계의 핵심적인 고려요소가 된다. 이 글에서는 행정형 조정 제도를 두고 있는 개별법령을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바람 직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시도하였다. 법령마다 합리적 이유없이 규율내용이 달라 체계성과 통일성이 부족하다는 점은 지속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 점에서 행정형 조정에 관한 기본법을 제정하거나 단일법으로 통합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통일적 입법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이 글은 이를 위한 기초작업으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개별법령은 조정절차의 단계별로, 즉 ① 조정의 개시 단계, ② 조정의 진행 단계, ③ 조정의 종결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① 조정의 개시 단계에 관해서는 ㉠ 조정의 개시요건, ㉡ 소멸시효 중단, ㉢ 소송절차와의 관계에 관한 조항을, ② 조정의 진행 단계에 관해서는 ㉠ 조사권, ㉡ 절차의 비공개와 비밀 유지, 진술의 원용 제한에 관한 조항을, ③ 조정의 종결 단계에 관해서는, ㉠ 조정의 성립요건, ㉡ 조정 성립의 효력에 관한 조항을 살펴보았다. 주요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조정신청에 소멸시효 중단의 효력을 부여하지 않으면 조정으로 분쟁을 해결할 의사가 있어도 일단 소를 제기해야 하므로, 소멸시효 중단에 관해 규정하지 않은 법령은 이에 관한 규정을 두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조정절차와 소송절차의 관계를 법령에서 명확히 정해야 하고, 이미 조정이 개시된 상태에서 한쪽 당사자가 소를 제기하였다면 조정절차에 응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이므로 이를 조정절차의 종결사유로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절차의 비공개와 비밀유지의무에 관해 규정하지 않은 법령들도 있었는데, 조정의 이용과 성립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이를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조정 절차에서의 의견과 진술을 소송절차에서 원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민사조정법 제23조와 같은 규정이 행 정형 조정에도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정성립시 재판상 화해의 효력을 부여하는 조항이 많았고, 위와 같은 조항이 재판청구권을 침해한다는 비판이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처럼 기판력 없이 집행력만 부여하는 방식도 가능하므로 이러한 방식을 기본적인 입법모델로 삼아 법령을 정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외국어초록


Administrative mediation refers to the mediation procedure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administrative agencies to resolve disputes that occurred in relation to affairs under their jurisdiction. In addition to the general advantages of mediation, administrative mediation has its unique advantages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mediation procedures is helpful for the administrative agencies to perform the original tasks under their jurisdiction and can induce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greements against the background of legal and factual influences possessed by administrative agencies. Due to these advantages, on the one hand, administrative mediation occupies a significant proportion in the practice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in South Korea, and the number of such cases continues to increase. However, on the other hand, criticisms are raised that administrative mediation does not meet the original purpose of ADR because it relies on the authority or influence of administrative agencies to resolve disputes rather than resolving disputes based on the intentions of the parties. Therefore, how to reconcile the tension between the guardianship element connoted in the word ‘administrativ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tion’, of which the key is respect for the autonomy of the parties, becomes a core consideration in designing the administrative mediation system. In this article, individual laws that have administrative mediation systems were analyzed in an attempt to fi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nd propose a desirable improvement plan. The fact that systematicity and unity are lacking because the contents of regulations differ from law to law without any reasonable reason has been the subject of constant criticism. In this respect, the argument that a basic law on administrative mediation should be enacted, the related laws should be integrated into a single law, or at least a unified legislative model should be created is persuasive. This article can be meaningful as a basic work to that end. Individual statutes were analyzed separately for stages of the mediation procedures, that is, 1) the stage of initiation of mediation, 2) the stage of the progress of mediation, and 3) the stage of conclusion of mediation. With regard to the first stage of initiation of mediation, provisions related to a) requirements for initiation of mediation, b) interrup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nd c) relationship with litigation procedures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the second stage of the progress of mediation, provisions related to a) the power of investigation, b) non-disclosure of procedures and confidentiality, and c) restrictions on the use of statements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the third stage of conclusion of mediation, provisions related to a) the requirements for completion of mediation and b) the effect of completion of mediation were examined. Major proposal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if the effect of interrupt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not given to the application for mediation, a lawsuit must be filed first even when the relevant party has an intention to settle the dispute by mediation. Therefore, statutes that did not stipulate the interrupt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should provide a provision regarding the interrupt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tion procedures and the litigation procedures must be clearly stipulated in the statutes. If one party has filed a lawsuit when the mediation had already begun, it should be prescribed as a reason for termination of the mediation procedures because it indicates that the party expressed the intention not to comply with the mediation procedures. Furthermore, there were statutes that did not stipulate the nondisclosure of procedures and confidentiality obligations, and these should be stipulat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and completion of mediation. In addition, provisions such as Article 23 of the Civil Conciliation Act that restrict the use of opinions and statements in the mediation procedures as a evidence in the litigation procedures should be introduced into administrative mediation. Lastly, there were many provisions that give the same effect as a settlement in court to the completion of mediation and a tendency of such provisions to increase could be found despite that criticisms that such provisions infringe on the right to a fair trial have been raised for a long time. As it is possible to grant only executive force without the effect of res judicata as with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t is desirable to revise such statutes in this direction.













1면_행정형 조정의 현황과 과제_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82 강광문, "2018년 중국의 헌법 개정과 감찰제도 개혁에 관한 고찰", 『중국법연구』 제49집(한중법연구회, 2022.7) file
181 최계영, "하자의 승계와 쟁송법적 처분", 『행정판례연구』 제27권 제1호(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22.6) file
180 김형석, "채권자취소권의 개정 방향", 『민사법학』 제99호(한국민사법학회, 2022.6) file
179 조홍식, "'법의 지배'의 침묵과 그 적대자들", 『서울대학교 법학』 제63권 제2호(법학연구소, 2022.6) file
178 김종보, "공원특례사업에서 시행자지정처분의 법적 효과", 『서울대학교 법학』 제63권 제2호(법학연구소, 2022.6) file
177 이정수, "메타버스와 금융법", 『상사법연구』 제41권 제1호(한국상사법학회, 2022) file
» 최계영, "행정형 조정의 현황과 과제", 『인권과 정의』 (대한변호사협회, 2022.6) file
175 공두현, "2019년~2021년 법철학 판례 동향", 『법철학연구』 제25권 제1호(한국법철학회, 2022.4) file
174 이계정, "삼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의 처분으로 인한 부당이득의 법률관계", 『법조』 제71권 제2호(법조협회, 2022.4) file
173 최석환, "노무 제공 규제의 다양화의 복합규제", 『노동법연구』 제52호(서울대 노동법연구회, 2022.3)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