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최근 대법원은 법철학적인 쟁점들이 포함된 중요한 판결들을 선고하고 있다. 이에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법철학적 관점에서 의미가 있는 대법원판결을 분석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지난 3년 동안 선고된 대법원판결 중 2019년 5건, 2020년 4건, 2021년 5건을 중점적으로 개관하고, 나머지 의미 있는 판결들은 간단히 소개하였다. 중요한 판결들을 선별하여 사건의 개요와 판결의 요지를 설명하고 법철학적 관점에서 의미가 있는 부분을 분석하고 논평하였으며, 가급적 다양한 판결들을 모두 다루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법과 현실의 관계, 경험칙, 법감정, 역사적 정의, 표현의 자유, 공정성, 인간의 존엄과 가치, 권리의 본질 등 법철학의 핵심적인 개념에 관한 논쟁을 찾아보았다. 또한 법률해석의 방법, 유추적용의 정당화, 입법과 사법의 역할, 재판의 구조, 판례의 의미 등 법해석론에 관한 중요한 논의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대법원판결을 분석하고 검증하고 비판할 수 있는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고, 앞으로도 정기적, 지속적 작업을 통해 법철학과 법실무가 서로를 비추어보고 가다듬을 수 있는 토대를 넓혀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외국어초록


Recently,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been pronouncing its judgments on major cases involving jurisprudencial issues. I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made from 2019 to 2021 which hold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legal philosophy. Among the judgments pronounced by the Supreme Court over the past three years,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and provides an overview of five cases in 2019, four cases in 2020, and five cases in 2021, and gives a brief introduction to other meaningful decisions. Those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not only addressed the core concepts of legal philosophy,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law and reality, empirical rule, legal emotion, historical justice, freedom of speech, fairness, human dignity and worth, and the nature of right, but indicated critical discussions regarding theories of legal interpretation which include methods of legal interpretation, justification for applying analogy, the roles of legislation and jurisdiction, the structure of trials, and implications of judicial precedents. This paper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discussion through which the Supreme Court judgments can be analyzed, verified, and criticized. I purpose to conduct an analysis on a regular, consistent basis so as to extend the foundation upon which philosophy and practice of law can be reflected on one another and further refined. 













1면_2019년~2021년 법철학 판례 동향_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82 강광문, "2018년 중국의 헌법 개정과 감찰제도 개혁에 관한 고찰", 『중국법연구』 제49집(한중법연구회, 2022.7) file
181 최계영, "하자의 승계와 쟁송법적 처분", 『행정판례연구』 제27권 제1호(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22.6) file
180 김형석, "채권자취소권의 개정 방향", 『민사법학』 제99호(한국민사법학회, 2022.6) file
179 조홍식, "'법의 지배'의 침묵과 그 적대자들", 『서울대학교 법학』 제63권 제2호(법학연구소, 2022.6) file
178 김종보, "공원특례사업에서 시행자지정처분의 법적 효과", 『서울대학교 법학』 제63권 제2호(법학연구소, 2022.6) file
177 이정수, "메타버스와 금융법", 『상사법연구』 제41권 제1호(한국상사법학회, 2022) file
176 최계영, "행정형 조정의 현황과 과제", 『인권과 정의』 (대한변호사협회, 2022.6) file
» 공두현, "2019년~2021년 법철학 판례 동향", 『법철학연구』 제25권 제1호(한국법철학회, 2022.4) file
174 이계정, "삼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의 처분으로 인한 부당이득의 법률관계", 『법조』 제71권 제2호(법조협회, 2022.4) file
173 최석환, "노무 제공 규제의 다양화의 복합규제", 『노동법연구』 제52호(서울대 노동법연구회, 2022.3)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