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모자관계가 출산만으로 결정되는 것과 달리, 부자관계의 설정과 그 해소에는 복잡한 규율이 필요하다. 민법 규정은 1960년 제정 이래로 그 기본 틀을 유지하고 있고, 이는 1896년 일본민법을 대부분 받아들인 것이므로 사실상 120여 년간 그 모습이 크게 변하지 아니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그 사이 독일, 프랑스, 미국 등의 법제가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고, 최근 일본도 상당한 수준의 개정을 검토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혈연관계의 존부를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게 되면서 현행법의 부자관계의 설정과 그 해소에 관한 규율에 대하여 실무상 상당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여러 모로 근본적인 개정을 검토하여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개정과 관련하여서는 한편으로는 친생부인의 소의 제소기간이 너무 짧다는 실무적 감각이,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나라에서 역사적 발전과정이 보여온 몇몇 공통적 경향, 특히 친생추정을 단순화하고, 친생부인의 원고적격을 확대하며, 인지의 진실성을 확보하고, 인지무효도 친생부인에 준하여 제한적으로만 인정하며, 혼인중의 자(子)와 혼인외의 자(子)의 구별을 폐지하는 경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외국어초록


Unlike maternal relation, paternal relation requires a complex body of rules for its establishment and resolution. Most of the relevant provisions in the Korean Civil Code has remained intact since its enactment in 1960 or rather during last 120 years, considering that it received most provisions from the 1896 Japanese Civil Code. On the contrary, those rules for the establishment and resolution of paternal relation in Germany, France, and the U.S. have been revised repeatedly and fundamentally during the same period. Recently, even Japanese Ministry of Justice began to prepare fundamental revision of the law of paternal relation. As it becomes easier and easier to establish biological relation by scientific proof, the dissatisfaction of the legal practice upon the current status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undamental revision of the law of paternal relation. In this regard, on the one hand, the complaint should be taken seriously that the limitation period for the claim to challenge paternal relation when the claimant is presumed father. On the other, however, it is also needed to consider the general trends in other jurisdictions, i.e. simplification of paternity presumption, extension of standing to adjudicate paternity, securing the trustworthiness of paternity acknowledgment, implementation of rules restricting the possibility to adjudicate the validity of paternity acknowledgment, and repealing all the distinction between legitimate child and child out of wedlock.













1면_부자관계의 설정과 해소.입법론적 고찰_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92 전상현, "'양심에 따른 거부'의 쟁점", 『헌법학연구』 제28권 제3호(한국헌법학회, 2022.9) file
» 이동진, "부자관계의 설정과 해소: 입법론적 고찰", 『인권과 정의』 제509호(대한변호사협회, 2022.11) file
190 이창희, "조세피난처/피지배외국법인 세제의 회고와 전망", 『조세학술논집』 제38권 제3호(한국국제조세협회, 2022.9) file
189 노혁준, "법인격 부인의 역적용", 『기업법연구』 제36권 제3호(한국기업법학회, 2022.9) file
188 정선주, "공지의 사실과 인터넷", 『저스티스』 제192호(한국법학원, 2022.10) file
187 이성범, "참을 한도를 넘는 생활방해로 인한 민사책임", 『민사법학』 제100호(한국민사법학회, 2022.9) file
186 이재민, "투자분쟁 역학관계의 재조정", 『국제거래법연구』 제31집 제1호(국제거래법학회, 2022.7) file
185 이동진, "계자 입양", 『가족법연구』 제36권 제2호(한국가족법학회, 2022.7) file
184 이계정, "고령사회에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언", 『민사법학』 제100호(한국민사법학회, 2022.9) file
183 최계영, "무국적자의 보호와 감소를 위한 국제규범의 동향과 한국의 과제", 『인권법평론』 제29권 제1호(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2.8)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