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연금제도의 개편은 각종 급여의 금액과 대상을 축소하고 가입자의 보험료를 인상하는 이른바 ‘많이 내고 적게 받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간 있었던 각종 연금법의 개정 역시 이와 같은 일관된 방향에서 이루어져 왔고, 이러한 개정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가입자나 급여 수급권자 등 불이익을 받는 연금관련자들이 기본권침해 등 각종 위헌주장을 하게 되었다. 많은 연금과 관련된 헌법재판소의 판단에서 주된 쟁점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및 재산권의 침해, 신뢰보호원칙의 위반이었고 기타 평등권이나 행복추구권의 침해 여부도 판단의 대상이 되었다. 헌법재판소는 사회보험으로서의 연금제도에 대한 위헌판단에서도 개별 쟁점들에 대하여 상당히 완화된 심사의 입장을 일관되게 취해왔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연금개혁과 관련된 판례에서 합헌을 선고하였다. 지금까지 문제되어 온 연금법의 개정은 각종 경과규정과 대상에 따른 세부적인 맞춤 규정을 두면서 점진적인 제도개선의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고, 그러한 점에서 헌법재판소 판례의 의미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후 기금이 고갈되는 경우 연금제도는 부과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본격적으로 비용부담을 둘러싼 세대간의 갈등이 법개정시 문제될 것이며, 개정법에 대한 헌법적 쟁점에 대한 논쟁 역시 치열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공적연금의 구조와 헌법적 쟁점

  1. 공적연금의 구조

  2. 연금제도와 헌법적 쟁점

III. 연금개혁의 헌법적 문제

  1. 가입자의 범위

  2. 연금급여의 수급연령 및 수급권자의 범위

  3. 연금급여액

  4. 보험료

IV. 결론



외국어초록


Due to the rapid ag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pension system will be carried out in the so-called “pay more and receive less” direction by reducing the amount and target of various benefits and increasing the insurance premiums of subscribers. The revision of various pension laws has also been made in this direction, and in the process of the revision, pensioners who inevitably receive disadvantages, such as subscribers and benefit recipients, have made various claims of unconstitutionality, such as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The main issues in the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elated to revisions of pension laws were such as,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trust protection, and right to equality.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consistently taken a fairly relaxed review of individual issues and accordingly, it was declared constitutional in most cases related to pension reform. So far, the revision of the pension law has been made through a gradual system improvement method by establishing detailed customization regulations. But, if the fund is exhausted, the conflict between generations over the cost burden will be a problem when the law is revised. Therefore, the debate on constitutional issues on the revised law will also be fierce.













고령사회 연금의 헌법적 문제.p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02 이재민, "콩고 공화국 영토에서의 군사활동 분쟁에서의 손해배상액 산정 - Armed Activities on the Territory of the Congo -",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제117권 제1호(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2023.1) file
201 박상철, "암호자산 등 암호키로 접근통제되는 데이터에 관한 법제의 토대: 재산권, 계약, 체화를 중심으로", 『법경제학연구』 제19권 제3호(한국법경제학회, 2022.12) file
200 정준혁, "주주평등원칙의 발전적 해체와 재정립", 『상사판례연구』 제35권 4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2) file
» 전종익, "고령사회 연금의 헌법적 문제 - 재정안정성을 중심으로 -", 『사회보장법연구』 제11권2호(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22) file
198 고유강, "특정물 하자담보책임으로서의 손해배상 - 대법원 2021.4.8.선고 2017다202050 판결 -", 『민사법학』 제101호(한국민사법학회, 2022.12) file
197 천경훈, "전환권·신주인수권 행사에 따른 신주발행의 효력과 그 쟁송방법", 『상사법연구』 제41권3호(한국상사법학회, 2022.11) file
196 노혁준, "블록체인과 회사법 - DAO를 중심으로 한 시론적 고찰 -", 『상사법연구』 제41권3호(한국상사법학회, 2022.11) file
195 박준석, "다른 공동저작자의 동의 없는 공동저작물 자기이용 가능성", 『저작권』(한국저작권위원회, 2022.겨울호) file
194 이종혁, "친생자관계의 성립 및 효력의 준거법에 관한 입법론", 『가족법연구』 제36권 제3호(한국가족법학회, 2022.11) file
193 전원열, "가처분 발령에서 공익 요건에 관한 검토", 『민사소송』 제26권 제3호(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2.10)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