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친정엄마 사건에 대한 2014년 대법원 판결(이하, '친정엄마 판결')은 공동저작물 성립요건을 더 엄밀히 규명하였다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공동저작자들의 전원합의가 있어야 권리행사가 가능하다는 저작권법 제48조의 문구에 정면으로 충돌하는 잘못된 해석론을 취함으로써 이미 다른 학자들로부터 엄청난 비판을 받았다.

필자가 뒤늦게 '친정엄마 판결'을 비평하는 글을 작성한 이유는, 그 판결이 다룬 쟁점들 중에서 특히 다른 권리자의 동의 없는 공동저작자 1인의 자기이용(이하, '자유이용') 등이 다른 권리자의 저작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인지 여부에 관해서 친정엄마 판결에 관여한 재판연구관의 글, 그리고 친정엄마 사건 하급심들의 판시가 각각 취한 논리에 다음과 같이 중요한 흠들이 더 있음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첫째, 공동저작자의 관계가 민법상 합유가 아니라 공유라고 너무 성급하게 단정하여 민법상 공유처럼 처리하였다.

둘째, 공동저작물에 대한 자유이용 인정 여부에 있어서 특허법 등 다른 지재권 법률들에서 이미 인정하고 있다는 사실에 꿰맞추어 다수결처럼 처리하였다.

셋째, 저작권의 비경쟁적 성질, 그리고 다른 권리자의 동의 거부로 공동저작물 활용 수준이 낮아지는 자연스런 현상을 각각 자유이용 인정의 근거로 잘못 원용했다.

넷째, 무엇보다 저작권은 '권리의 다발'이란 중요한 특징을 간과함으로써 복제권 등이 아니라 공연권 차원에서는 이 사건 공소사실과 관련하여 이른바 저작물 자유이용으로 방어될 여지가 애당초 없었음을 파악하지 못했다. 이런 실수가 반복되지 않으려면 저작권 사건을 검토하는 출발선에서 분명한 인식이 필요하다.

다섯째, 입법자가 이미 설계한 제48조의 신의 기준을 적극적으로 넓혀 활용하는 방법, 묵시적 동의를 인정하는 방법, 형사 고의를 엄격히 인정하는 방법 등 더 타당한 대안을 취하지 않았다.



목차


I. 서설

II. 친정엄마 사건의 쟁점 및 진행경과 등

  1. 저작권법 제48조가 지재법 전체에서 차지하는 체계적 위치 파악 등

  2. 친정엄마 사건의 진행경과 등

III. 공동저작물에 대한 권리행사 관련 대법원 판결 등의 문제점

  1. 친정엄마 판결에 대한 기존의 비판적 견해 등

  2. 필자가 친정엄마 판결을 특별히 비판하고자 하는 부분

IV. 결론



외국어초록


Despite the some positive aspect of the 2014 Korean Supreme Court ruling on the chinjeong-eomma (the married woman’s mother) case (hereinafter “chinjeong-eomma decision”) that more clearly defined the requirement of joint works, the chinjeong-eomma decision has already been heavily criticized by many Korean scholars for its misinterpretation of Article 48 of the Korean Copyright Act which directly did conflict with a clear phrase stipulating that all copyrights can be exercised only with unanimous agreement among co-authors.

The reason why this article belatedly criticizes the above decision is that the following additional important flaws is found in the respective logic of the judgments by the lower courts in the chinjeong-eomma case and the case review report by a senior judicial researcher in the Supreme Court involved in chinjeong-eomma decision, among the issues also dealt with by chinjeong-eomma decision, particularly on whether self-use by a co-author without consent of the other co-authors (hereinafter ‘free use’) would be infringement on copyright of the other co-authors.
First, it was too hasty to conclude that the relationship of co-authors was not joint-tenancy under the Korean Civil Act, but joint-in-common under the same Act, so it was treated as if one co-author was a tenant in common under the Civil Act.
Second, in terms of whether to recognize the free use of joint works, it was treated as a majority vote in line with the fact that other Korean IP laws, such as the Patent Act, have already acknowledged the free use of a co-owner.
Third, the non-rivalrous (non-excludable) nature of copyright and the natural phenomenon of relatively low utilization of joint works due to the some refusal of consent from other right holders were improperly used as grounds for recognizing free use.
Fourth, above all, by overlooking the main characteristic of copyright as a “bundle of rights”, it was not understood that there was no room for raising so-called a free use defense against the facts of this criminal case in the first place in terms of performance rights, not reproduction rights, etc. To prevent this kind of mistake being repeated in another case, a clear awareness of the above characteristic is needed at the starting line of reviewing any copyright cases.
Fifth, more reasonable alternatives were not taken, such as actively expanding and adopting the good faith standard of Article 48 already designed by the legislator, acknowledging implied consent, and strictly acknowledging criminal intent.














다른 공동저작자의 동의 없는 공동저작물 자기이용 가능성.p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02 이재민, "콩고 공화국 영토에서의 군사활동 분쟁에서의 손해배상액 산정 - Armed Activities on the Territory of the Congo -",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제117권 제1호(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2023.1) file
201 박상철, "암호자산 등 암호키로 접근통제되는 데이터에 관한 법제의 토대: 재산권, 계약, 체화를 중심으로", 『법경제학연구』 제19권 제3호(한국법경제학회, 2022.12) file
200 정준혁, "주주평등원칙의 발전적 해체와 재정립", 『상사판례연구』 제35권 4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2) file
199 전종익, "고령사회 연금의 헌법적 문제 - 재정안정성을 중심으로 -", 『사회보장법연구』 제11권2호(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22) file
198 고유강, "특정물 하자담보책임으로서의 손해배상 - 대법원 2021.4.8.선고 2017다202050 판결 -", 『민사법학』 제101호(한국민사법학회, 2022.12) file
197 천경훈, "전환권·신주인수권 행사에 따른 신주발행의 효력과 그 쟁송방법", 『상사법연구』 제41권3호(한국상사법학회, 2022.11) file
196 노혁준, "블록체인과 회사법 - DAO를 중심으로 한 시론적 고찰 -", 『상사법연구』 제41권3호(한국상사법학회, 2022.11) file
» 박준석, "다른 공동저작자의 동의 없는 공동저작물 자기이용 가능성", 『저작권』(한국저작권위원회, 2022.겨울호) file
194 이종혁, "친생자관계의 성립 및 효력의 준거법에 관한 입법론", 『가족법연구』 제36권 제3호(한국가족법학회, 2022.11) file
193 전원열, "가처분 발령에서 공익 요건에 관한 검토", 『민사소송』 제26권 제3호(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2.10)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