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이 글에서는 2022년 한 해 동안 선고된 주요 회사법 판례 17건을 요약 및 분석하였다. 대상판례들은 대부분 기존의 판례 법리를 존중하고 그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주주를 보호하고 당사자 간 합의를 존중하는 대략적인 방향성을 보여주었다. 중요한 판례로는 (i) 주식매수청구 사건에서 매수가격 산정의 기준시점을 자본시장법에서 정한 이사회 결의 전날로 하지 않고 합병에 관한 정보가 시장에 알려진 때로 앞당긴 건, (ii) 회계장부 열람등사 청구시 이유 기재의 정도를 완화한 건, (iii) 회사의 담합행위에 대해 사외이사를 포함한 이사들의 감시의무 및 내부통제시스템 구축의무 위반을 인정한 건, (iv) 양도시 총주주의 동의를 얻도록 한 양도제한약정의 효력을 인정한 건, (v) 정관에 배당금 지급의무가 일의적으로 기재된 경우 배당결의 없이도 배당금 지급의무를 인정한 건 등을 들 수 있다.



목차 


I. 서 언

II. 주식과 주주권에 관한 판례

  1. 주식양도 제한약정의 효력

  2. 주주 간 주식매수청구권

  3. 회계장부 열람청구시 이유기재

III. 회사의 기관 및 지배구조에 관한 판례

  1. 소수주주의 주주총회 소집 (1)

  2. 소수주주의 주주총회 소집 (2)

  3. 임시주주총회 소집청구 통지의 방법

  4. 특경법 위반자의 이사 결격

  5. 특경법 위반으로 인한 이사결격자의 퇴임이사 해당 여부

  6. 퇴임이사와 확인의 이익

  7. 이사의 감시의무와 내부통제

  8. 분식회계와 감시의무

  9. 주주의 영업양도 무효확인 가부

IV. 회사의 재무에 관한 판례

  1.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의 효력을 다투는 방법

  2. 이익배당청구권의 성립요건



외국어초록


This article presents a summary and analysis of 17 major decisions rendered by the Korean Supreme Court in 2022 related to corporate law. While most of the decisions align with existing precedents, they tend to prioritize the protection of shareholders and uphold agreements made between parties. Noteworthy cases include: (i) in a dissenting shareholders' appraisal remedy case, the court ruled that the price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market price on or before the time when the merger plan was known to the market (which is earlier than the statutory reference point); (ii) the court lowered the standard of reasoning required when shareholders requested access to corporate books and records; (iii) the court recognized the violation of the oversight duty by directors, including outside directors, in cases where the company joined illegal collusion (bid rigging); (iv) the court validated a shareholders' agreement that requires unanimous consent for share transfers; and (v) the court held that if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specify the amount of dividends to be paid to shareholders, the company must pay such dividends, even in the absence of a shareholder or board resolution on dividends.













2022년 회사법 판례 회고.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 천경훈, "2022년 회사법 판례 회고", 『상사판례연구』 제36권 제1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3.3) file
211 최준규, "종교단체 구성원의 징벌에 대한 사법심사", 『민사법학』 제102호(한국민사법학회, 2023.3) file
210 권영준, "2022년 민법 판례 동향", 『서울대학교 법학』 제64권 제1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3) file
209 전종익, "1962년 헌법 제111조의 형성과 의미", 『헌법학연구』 제29권1호(한국헌법학회, 2023.3) file
208 전상현, "헌법재판과 사법적극주의", 『헌법학연구』 제29권1호(한국헌법학회, 2023.3) file
207 김형석, "청산으로서의 공유재산 분할 - 특히 상속재산 분할과 관련하여", 『가족법연구』 제37권1호(한국가족법학회, 2023.3) file
206 정선주, "민사판결서의 obiter dictum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려법학』 제108호(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3) file
205 이정수, "2022년 금융법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제512호(대한변호사협회, 2023.3) file
204 노혁준, "2022년 회사법 중요판례평석", 『인권과 정의』 제512호(대한변호사협회, 2023.3) file
203 이성범, "3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가 신탁부동산을 임의로 처분한 경우의 법률관계", 『법조』 제72권 제1호(법조협회, 2023.2)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