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우리 헌법은 정교분리원칙을 선언하였지만, 헌법제정자들 사이에 정교분리원칙의 의미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는 존재하지 않았다. 정교분리원칙은 궁극적으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조항으로서, 국교설립금지 조항을 부연하고 그 적용범위를 확장하는 기능을 한다. 정교분리원칙은 종교의 강제와 차별을 금지하고, 종교에 대한 국가의 지원을 금지한다. 종교에 대한 국가의 지원행위들은 종교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나 상징적 지지, 편의제공 등이 포함되는데, 그러한 유형들 중에는 정교분리원칙의 위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쉽지 않은 경우들도 존재한다.
심사기준으로서 정교분리원칙은 과잉금지원칙과는 별도의 독립된 심사기준으로서 종교의 자유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지만, 비교와 형량을 본질로 하는 과잉금지원칙에 의한 심사와는 범주적 심사로 기능한다. 정교분리원칙은 궁극적으로는 종교의 자유 보장을 위한 것이지만, 종교의 자유에 대한 침해나 제한을 전제로 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정교분리원칙은 종교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기도 하는데, 이는 정교분리원칙에 위반되는 방식으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려는 것이어서 정교분리원칙이 종교의 자유 보장을 위한 것이라는 점과 모순되지 않는다. 정교분리원칙은 범주적 심사의 성격을 통해서 또는 정교분리원칙을 규정한 조항을 헌법이 명시적으로 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경우로 해석함으로써 종교에 관한 차별취급에 있어서 일반적인 평등심사에 비해 강화된 심사를 가능하게 한다.



외국어초록


Although our Constitution declared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there was no specific agreement on the meaning of the principle among the founders of the Constitution.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is a provision to guarantee freedom of relig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 principle amplifies and expands the Establishment Clause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the core of the principle is the prohibition of coercion of religion, discrimination by religion, and state’s encouragement of religions. It is a difficult issue whether the encouragement of religion, such as a financial or symbolic support and accommodation for religion, violate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is a independent standard of review from proportionality review. Unlike the review based on the proportionality review,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is a categorical review that leads to the conclusion of unconstitutionality without balancing test. Whil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ultimately guarantees religious freedom, the judicial review by the principle does not always presuppose infringement or restriction of religious freedom, and sometimes the principle even provides justifications for restriction on freedom of religion. When reviewing on unconstitutionality of discrimination by religion,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can be a higher standard of review, by a categorical review, than review by Equality Clause of the Constitution.













정교분리원칙의 의미와 위헌심사.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22 조동은, "헌법제정권력: 갱신(更新) 중의 개념", 『헌법학연구』 제29권2호(한국헌법학회, 2023.6) file
221 전종익, "낙태와 재생산권의 보장", 『법과 사회』 제73호(법과사회이론학회, 2023.6) file
220 이정수, "가상자산의 증권성 판단기준 -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3.25. 선고 2019가단225099 판결 - ", 『상사판례연구』 제36권 제2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3.6) file
219 이종혁, "주월한국군 피해 베트남인의 국가배상소송과 저촉법 - 체계제법, 시제법, 국제사법 - ", 『국제사법연구』 제29권 제1호(한국국제사법학회, 2023.6) file
» 전상현, "정교분리원칙의 의미와 위헌심사", 『법학논집』 제27권제4호(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6) file
217 김도균, "법의 근거 이론과 법률해석 - 헌법합치적 해석과 헌법정향적 해석의 법이론적 함의", 『법철학연구』 제26권 제1호(한국법철학회, 2023) file
216 이정수,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입법론적 재검토", 『증권법연구』 제24권 제1호(한국증권법학회, 2023.4) file
215 이동진,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은 무면허의료행위인가? - 대법원 2022.12.22. 선고 2016도21314 전원합의체 판결 - ", 『의료법학』 제24권제1호(대한의료법학회, 2023.4) file
214 이동진, "간접강제: 비교법·실질법·국제사법적 고찰", 『저스티스』 제195호(한국법학원, 2023.4) file
213 최준규, "국제도산에서 도산해지조항의 준거법 결정 - 도산전형적 법률효과? -", 『서울대학교 법학』 제64권 제1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3)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