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본고에서는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입법적 개선방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규제체계는 이론적 정합성을 따져 마련되었다기보다는 시장상황의 변화에 대응하여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는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규제체계의 경우 제2차 정보수령자 이후에 대한 처벌, 외부정보 이용자에 대한 처벌, 직무와 무관한 정보이용자에 대한 처벌에 어려움이 있었고, 시세조종과 관련하여 주관적 요건에 대한 엄격한 입증책임으로 인해 처벌이 어려운 사건이 발생하였다. 시장질서교란행위는 이러한 유형들에 대해 형사책임이 아니더라도 과징금의 행정책임을 부과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하지만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입법경위가 순탄하지는 않았다. 2011년 금융위원회에서 일원론적 규제체계에 가까운 입법안을 마련하였으나 정부 내 논의과정에서 무산되었다. 정부의 불공정거래 엄단방침과 CJ E&M 사건으로 말미암아 2014년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이 입법화되었으나 학계의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는 못하였다. 이로 인해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은 불완전한 이원론적 규정체계의 문제, 규정 내 체계정합성 문제, 개별 규정에서의 해석․적용상 문제, 새로운 시장질서교란행위에 대한 대응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최근 삼성증권 배당오류 사건은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문제점을 드러낸 사건이다. 이러한 현행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문제점은 해석론으로는 해결이 어렵고,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방법은 두 가지이다. 제1방안은 일원론적 규제체계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법 제178조의2를 삭제하고, 기존 제174조 등에 형사처벌 외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제2방안은 이원론적 규제체계를 유지하며 불완전한 부분을 해소하는 것이다. 법 제178조를 삭제하고, 법 제178조의2에 일반규정을 두는 방식이 될 것이다. 이 두 방안 중 어느 하나가 낫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미 법 제178조의2가 입법화되어 상당 기간 적용되어 선례와 판례이론을 만들어가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제2방안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최근 국회에서 불공정거래에 대해 과징금을 부과하는 입법안이 계속되어 논의 중이다. 동 입법안은 제1방안에 가까운 것으로 보이고, 2011년 금융위원회 입법안과 상응하는 점이 있다. 만약, 동 입법안으로 자본시장법이 개정된다면 법 제178조와의 충돌가능성을 고려하여 법 제178조의2를 삭제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일원론적 규제체계의 특성상 동일한 행위유형에 대해 형사책임과 행정책임을 구분할 구체적인 위법성 판단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규제체계와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도입

  1. 기존 불공정거래규제체계의 의의와 형성 과정

  2. 기존 불공정거래규제체계의 한계

  3.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입법경위

III.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문제점

  1. 개 관

  2. 불완전한 이원론적 규정체계의 문제

  3. 정보이용형과 시세관여형 시장질서교란행위 간 체계정합성 문제

  4. 개별 규정에서의 해석, 적용상 문제

  5. 새로운 시장질서교란행위에 대한 대응 문제

IV. 시장질서교란행위의 입법적 개선방향

  1. 개 관

  2. 입법론적 해결방안

  3. 국회 입법안

V. 결론



외국어초록


In this paper, the direction of legislative improvement for the market abuse rule in FSCMA has been reviewed. The unfair trading regulation has been prepared not along with logical consistency but for market needs. It is also true to the market abuse rule. In the existing unfair trading regulation regime, there ware many legal problems such as punishment of the second tippee, external information user prohibition and strict burden of proof problem for criminal procedure. The market abuse rule in FSCMA was enacted for this kinds of problems. 

However the process of enactment for the market abuse rule was not smooth. In 2011, the FSC suggested a proposition of an enactment similar to a monistic regulation system, but it went to pieces under internal discussion of the government. Thereafter, the market abuse rule was enacted in 2014 through the government policy of strict unfair trading regulation and CJ E&M case, but the enactment process was not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 in academia. The market conduct rule clauses has many problems such as imperfect dualistic regulation, systemically illogical consistency among clauses, interpretation and adaptation problem of the detailed regulations and responses to new kinds of market disturbing conducts not expected before. Recent Samsung Securities case was the case revealed a problem of the market conduct rule in FSCMA. 

For this issues the market abuse rule has, it is not possible to respond well with interpretation of existing clauses but it needs a legislative improvement. There are two ways to fix these problems. The first option is to switch to the monistic regulation from the dualistic one. For this way, the current section 178–2 should be repealed. The second option is to keep the dualistic regulation with resolving imperfect elements. It will be an abolishment of section 178 and adding a catch all clause to section 178–2. There is no legal preference on these two ways, but considering some circumstances that the section 178–2 was already enacted and applied to the cases which made a kind of case law, the second option would be feasible. However, there is a bill which imposes an administrative sanction to unfair trading under discussion in the congress. This bill is similar with monistic regulation system which was already suggested from FSC in 2011. If the congress passes the bill, considering the potential conflict with existing section 178, the section 178–2 should be repealed. Also, based on the monistic regulation regime, there should be a guideline or a detailed regulations to decide a degree of illegality to choose between criminal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sanction.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입법론적 재검토.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22 조동은, "헌법제정권력: 갱신(更新) 중의 개념", 『헌법학연구』 제29권2호(한국헌법학회, 2023.6) file
221 전종익, "낙태와 재생산권의 보장", 『법과 사회』 제73호(법과사회이론학회, 2023.6) file
220 이정수, "가상자산의 증권성 판단기준 -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3.25. 선고 2019가단225099 판결 - ", 『상사판례연구』 제36권 제2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3.6) file
219 이종혁, "주월한국군 피해 베트남인의 국가배상소송과 저촉법 - 체계제법, 시제법, 국제사법 - ", 『국제사법연구』 제29권 제1호(한국국제사법학회, 2023.6) file
218 전상현, "정교분리원칙의 의미와 위헌심사", 『법학논집』 제27권제4호(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6) file
217 김도균, "법의 근거 이론과 법률해석 - 헌법합치적 해석과 헌법정향적 해석의 법이론적 함의", 『법철학연구』 제26권 제1호(한국법철학회, 2023) file
» 이정수,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입법론적 재검토", 『증권법연구』 제24권 제1호(한국증권법학회, 2023.4) file
215 이동진,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은 무면허의료행위인가? - 대법원 2022.12.22. 선고 2016도21314 전원합의체 판결 - ", 『의료법학』 제24권제1호(대한의료법학회, 2023.4) file
214 이동진, "간접강제: 비교법·실질법·국제사법적 고찰", 『저스티스』 제195호(한국법학원, 2023.4) file
213 최준규, "국제도산에서 도산해지조항의 준거법 결정 - 도산전형적 법률효과? -", 『서울대학교 법학』 제64권 제1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3)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