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형사법의 연구와 강의에 형사정책적 지식을 폭넓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형사법학자는, 판례평석, 법률해석의 도그마틱 법학의 좁은 범위를 탈피하여 보다 거시적, 사회과학적 전망하에 작업할 필요가 있다. 형사법학에서 범죄실태·형사정책·형사법을 통합 수용하는 넓은 트라이앵글 속에서 작업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실태라면 공식 범죄-형벌 통계, 그 중에서도 특히 시계열적 통계가 기본이지만,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자신의 연구주제에 도움이 될 다양한 접근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사례유형 접근, 로데이타 재판기록의 확보, 피해자, 수형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 현장 참여관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형사법적 쟁점들은 하나의 지점이 아니라 일련의 흐름 속에서 파악될 필요도 있다. 수사-재판-행형-사회내 처우 등은 연쇄적으로 이어지기에, 특정한 형사문제는 형사사법 시스템의 플로우 속에서 이해하는 것이 보다 합당할 것이다. 

오늘날 형사법과 형사판례는 가변적이다. 범죄화/탈범죄화의 흐름 속에서 새롭게 범죄 목록에 등장하는 것도 있고, 탈범죄화해가는 것도 있다. 입법, 사법, 법집행의 차원에서 모두 그렇다. 형사법의 가변성은 형사법학자들에게 더 적극적 역할을 하도록 요청한다. 범죄 소재는 때로는 매우 뜨겁고 여론을 자극한다. 그러나 ‘그날의 날씨’라는 단기적 국면만 보고 일희일비할 게 아니라, 그 ‘시대의 기후’ 다시 말해 장기적 경향 속에서 점검되어야 한다. 판례와 학설에서 소수의견, 반대의견은 법정의견에 도달하지 못한 실패작이 아니라, 미래의 씨앗이자 변화의 촉매가 될 수 있다.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시를 보면 과거의 소수의견이 다수의견으로 변경된 것이 적지 않다. 이는 우리 사회의 역동성을 보여주기도 하고, 반대의견이 다수의견으로 바뀌어가는 과정에서 수많은 법률가들의 노고가 뒷받침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형사법 교육에서도 형사정책적 지식이 교육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의 판례를, 다수의견 중심으로, 결론을 기계적으로 암기하는 지식전달방식은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인재 양성이라는 로스쿨의 지향점에도 맞지 않다. 실태·정책·법의 트라이앵글 속에서 개별 주제를 가르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한다면 실감도 있고 효용성도 있다. 강의실에서 주입식 전달이 아니라 상호 토론을 활성화할 필요도있다. 학생들에게는 답안 작성법 뿐 아니라 다른 전공지식을 살리는 창의적 접근을 적극 권장해야 한다. 변호사는 법령과 제도의 민주적 개선에 힘쓰라는 사명이 있는데, 교육 내용에서 그러한 사명을 느낄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이다.



외국어초록


Criminal law scholars need to make extensive use of criminal policy knowledge in criminal law research and teaching. They need to break away from the narrow confines of dogmatic jurisprudence of judicial commentary and legal interpretation, and work from a macroscopic, social-scientific perspective. I recommend to work in the context of a broad triangle that integrates crime reality, criminal policy, and criminal law. By “reality”, I mean the extensive use of official statistics, especially time-series statistics, are the basics, but scholars ventures to develop a variety of approaches for a specific research theme. Examples include case types, raw data of trial records, in-depth interviews with victims and prisoners, and on-site participatory observation.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understand specific criminal issues within the context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Criminal law and judicial precedents today are dynamically changing. Some are newly criminalized, while others are decriminalized. Changes are worked on the law making, judicial decision, and law enforcement levels. The dynamics of criminal law calls for legal scholars to play a more active role. Crime issues are often hot spots, and stirs public anger. However, instead of being overwhelmed by the short-term aspects of “the weather of the day,” scholars must examine the “climate of the era,” that is, the long-term trends. Minority opinions and dissenting opinions in judicial precedents and academic theories are not losers that failed to reach court opinions, but seeds for the future and might be catalysts for change. Judgments by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show that past minority opinions have often been changed to majority opinions. This shows the dynamism of Korean society and the contributions of many lawyers in the process of turning dissenting opinions into majority opinions. 

The knowledge of criminal policy constitutes a part of education in criminal law education as well. It is also necessary to activate mutual discussion in the lecture room, rather than pouring out the information.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not only to write their own reports, but also to actively take creative approaches that make use of their knowledge of other majors. Lawyers have a mission to strive for democratic improvement of laws and systems, and they should be made to feel that mission in the educational process.











형사법 연구.교육에서 형사정책 지식을 활용하기.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32 전원열, "미국의 시민소송 제도를 통해 본 원고적격 문제", 『민사소송』 제27권 제3호(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3.9) file
231 최계영,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출입국관리법상 보호(이민구금) 제도 개선방안", 『행정법연구』 제71호(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3.8) file
» 한인섭, "형사법 연구·교육에서 형사정책 지식을 활용하기 - 실태·정책·법의 트라이앵글 속에서 -", 『형사정책』 제35권 제2호(한국형사정책학회, 2023.7) file
229 윤지현, "담보물의 환가와 물상보증인의 양도소득 - 대법원 2021.4.8. 선고 2020두53699 판결", 『조세법연구』 제29권 제2호(한국세법학회, 2023.8) file
228 이효원, 박종원, "통일을 위한 헌법 개정의 필요성", 『통일과 법률』 제55호(법무부, 2023) file
227 송옥렬, "헤지펀드 행동주의에 의한 이론적 검토", 『상사판례연구』 제36권 제2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3.6) file
226 김웅재, "동일시이론에 기초한 양벌규정 법인처벌의 해석론", 『서울대학교 법학』 제64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6) file
225 윤지현, "과세처분과 납세의무 신고의 위법, 그리고 후발적 경정청구의 사유간 관계", 『사법』 제60호(사법발전재단, 2022.6) file
224 이정수, "가상자산의 국제사법적 쟁점에 관한 시론적 고찰: 금융거래를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제29권제1호(한국국제사법학회, 2023.7) file
223 홍진영, "피의자신문조서의 탄핵증거로의 사용 가능성 - 종전 모순 진술에 관한 미국 연방증거법 제613조 규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제15권2호(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3.6)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