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미국에서 헤지펀드 행동주의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장기적 성장이나 주주이익 증대, 지배구조 개선 등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우리나라는 2022년 3월 주주총회부터 몇 개의 펀드가 한꺼번에 행동주의 전략을 취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주주행동주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행동주의 펀드는 대상회사에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 감사위원 선임 등을 요구하면서, 궁극적으로 이사회 진출을 모색하는 행동주의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런 행동주의는 자본시장에서 주주의 목소리를 회사에 전달하는 유력한 통로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지펀드 행동주의에 대해서는 단기 차익을 추구하면서 기업의 장기 경쟁력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비판이 왜 타당하지 않은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헤지펀드 행동주의에 대한 방어를 위해서 경영권 방어수단을 마련해야 한다는 논리는 타당하지 않다. 그 이유는, 첫째, 행동주의 펀드는 대상회사의 지분을 경영권 분쟁을 야기할 정도로 많이 취득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당한 지분을 취득하더라도 그 이상으로 적대적 기업인수를 시도하는 형태로는 잘 나아가지 않는다. 행동주의 펀드의 주주제안이 부결된 경우 적대적 기업인수로 나아갈 가능성은 별로 없기 때문에, 포이즌필이나 차등의결권과 같은 경영권 방어수단을 부여한다고 해서 달라질 것은 없다. 둘째, 적대적 기업인수는 주주가 잘못 생각해서 주식을 “매도”하는 것을 염려하여 이사회에 경영권 방어수단을 부여하고 있지만, 행동주의는 주주가 잘못 생각해서 “찬성결의”하는 것을 염려하는 것이다. 그러나 주주총회의 결의가 잘못될 가능성은 크지 않고, 기관투자자를 감안한다면 그 가능성은 더욱 줄어든다. 

행동주의에 대해서 단기실적주의의 관점에서 비판하는 것도 타당하지 않다. 첫째, 단기실적주의는 근본적으로 효율적인 자본시장에서는 이론적으로 성립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행동주의가 흔히 제안하는 주주환원의 증대는 단기실적주의라고 비판하기 어렵다. 행동주의 펀드는 장기적인 평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데, 이 경우 장기적인 기업가치를 훼손시키면서 단기적 이익을 추구하는 전략은 채택되기 힘들다. 둘째, 행동주의에 대한 외국의 실증분석도 대상회사의 장기적인 가치가 훼손되는 경향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행동주의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그 효과가 주가의 상승으로 나타난다는 것이 일반적인 연구결과이다. 

결론적으로, 행동주의는 우리나라 자본시장에서 주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유력한 통로로서, 우리나라 자본시장의 역사상 가장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I. 들어가며

II. 행동주의와 적대적 기업인수

  1. 문제의 제기

  2. 경영권 방어장치가 무의미하거나 부적절한 이유

  3. 소결

III. 헤지펀드 행동주의와 단기실적주의

  1. 단기실적주의의 우려

  2. 검토

IV. 맺음말



외국어초록


It is widely accepted, in the United States, that hedge fund activism generally results in positive effects, such as long-term growth of companies, increased shareholder wealth, and improved governance. In 2022, Korea witnessed the arrival of such shareholder activism, and activists demanded the target company to increase dividends, buy back its own shares, and appoint an audit committee member. This activism can be seen as quite positive in that it is the only channel for conveying the voice of shareholders to the company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Nevertheless, it has been argued that hedge fund activism pursues short-term profit while undermining the long-term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This paper explains why such criticism is not valid. First of all, it is not reasonable to argue that defensive measures against hostile takeovers should be available to defend against hedge fund activism. First, activism funds do not acquire a large stake in the target company enough to try a hostile takeover. Even if the shareholder proposal turns out to be rejected,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a hostile takeover, and thus granting the board several defensive measures such as poison pills, dual class shares, or classified board will have nothing to do with the shareholder activism. Second, while the defensive measures are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for shareholders to mistakenly tender their shares to a inefficient bidder, activism is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for shareholders to wrongfully vote positive. Taking into account of the difference between selling and vo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resolution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s wrong is not high, and such possibility is further reduced when institutional investors are taken into account. 

It should not be accepted, either, to criticize activism from the point of short-termism. First, short-termism is theoretically difficult to establish in a modern efficient capital market. Activist funds are forced to consider their long-term reputation, and in such case, strategies that pursue short-term gains at the expense of long-term corporate value are not profitable any more. Second, several empirical papers on shareholder activism have failed to prove the tendency for the long-term value of the target company to be damaged. Rather, it can be generally concluded that activism improves profitability in the long run, which was reflected to short-term stock price. 

In conclusion, activism is a powerful channel representing the voice of shareholder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and is expected to bring about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apital market.













헤지펀드 행동주의에 대한 이론적 검토.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32 전원열, "미국의 시민소송 제도를 통해 본 원고적격 문제", 『민사소송』 제27권 제3호(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3.9) file
231 최계영,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출입국관리법상 보호(이민구금) 제도 개선방안", 『행정법연구』 제71호(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3.8) file
230 한인섭, "형사법 연구·교육에서 형사정책 지식을 활용하기 - 실태·정책·법의 트라이앵글 속에서 -", 『형사정책』 제35권 제2호(한국형사정책학회, 2023.7) file
229 윤지현, "담보물의 환가와 물상보증인의 양도소득 - 대법원 2021.4.8. 선고 2020두53699 판결", 『조세법연구』 제29권 제2호(한국세법학회, 2023.8) file
228 이효원, 박종원, "통일을 위한 헌법 개정의 필요성", 『통일과 법률』 제55호(법무부, 2023) file
» 송옥렬, "헤지펀드 행동주의에 의한 이론적 검토", 『상사판례연구』 제36권 제2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3.6) file
226 김웅재, "동일시이론에 기초한 양벌규정 법인처벌의 해석론", 『서울대학교 법학』 제64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6) file
225 윤지현, "과세처분과 납세의무 신고의 위법, 그리고 후발적 경정청구의 사유간 관계", 『사법』 제60호(사법발전재단, 2022.6) file
224 이정수, "가상자산의 국제사법적 쟁점에 관한 시론적 고찰: 금융거래를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제29권제1호(한국국제사법학회, 2023.7) file
223 홍진영, "피의자신문조서의 탄핵증거로의 사용 가능성 - 종전 모순 진술에 관한 미국 연방증거법 제613조 규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제15권2호(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3.6)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