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종래 법인을 처벌하는 양벌규정에 관한 학설상의 논의는 ① 법인에게 범죄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 ② 양벌규정에 의한 법인처벌이 법인의 독자적인 귀책근거에 의한 것인지, ③ 법인이 부담하는 책임의 내용을 감독책임으로 파악할 것인지 행위책임까지 인정할 것인지, ④ 법인이 부담하는 감독책임의 범죄형태를 부작위범으로 볼 것인지의 서로 차원을 달리하는 네 가지 쟁점들을 둘러싸고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입법론적 논의로서 법인처벌의 규율방식인 동일시이론 모델과 대위책임 모델, 조직모델에 대한 비교⋅검토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종래의 논의는 법인의 범죄능력에 관한 이론적⋅추상적 차원의 논의 또는 현행 양벌규정의 개선을 위한 입법론에 주로 집중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이 글은 현행 양벌규정의 문언과 관련 학설⋅판례를 분석하여 합리적인 법 적용결과를 낳을 수 있는 해석론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 후 자리잡은 현행 양벌규정의 표준적인 문언을 살펴보면, 위반행위자가 대표자인지 그 외의 종업원인지를 특별히 구분하지 않고 형사책임 및 면책요건을 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양벌규정의 문언구조가 이와 같다고 하여 해석론으로 위반행위자의 지위에 따라 이원적인 규율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는 없다. 

우리 사법기관의 판례들을 살펴보면, 먼저 헌법재판소는 양벌규정 중 법인처벌 부분에 관한 일련의 위헌결정을 통해 동일시의 범위를 대표자로 한정하는 동일시이론을 채택하여 법인의 범죄능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긍정하는 입장을 취하고, 이러한 입장을 기초로 양벌규정을 행위책임⋅감독책임의 이원적 규율체계로 해석하였다고 이해된다. 대법원도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들을 계기로 종래 불분명하던 입장을 정리하여 헌법재판소와 같은 견해를 채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대법원과 헌법재판소 모두 최근 일부 결정⋅판결에서 이러한 기존의 견해와 조화되지 않는 듯한 판시를 한 바 있으나, 그러한 최근의 일부 재판례들이 다양한 이론적 검토 끝에 채택한 종전의 견해를 변경하는 취지라고 보기는 어렵다. 

현행 양벌규정의 해석론으로는, 헌법재판소와 대법원과 마찬가지로 동일시이론에 기초하여 법인의 범죄능력을 부분적으로 긍정하고, 이를 기초로 동일시의 범위를 대표자로 한정하는 행위책임⋅감독책임 이원설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문언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론적 일관성을 유지하며 본문과 단서를 해석해낼 수 있고, 실제 운용에 있어서 처벌의 공백을 최소화하면서도 구체적 사안에 유연하게 대응함으로써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외국어초록


The Criminal Code of South Korea is silent on whether corporations and other legal persons can be held criminally responsible. Countless other statutes, however, carry so-called “joint penalty provisions” which stipulate that when an agent or employee of a corporation or other legal entity acting with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commits a criminal offense prescribed in the given statute, the corporation, in addition to the offending agent or employee, shall be criminally liable for the offense. The standard text format of the current joint penalty provisions, which came into form after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the former version of joint penalty provisions as unconstitutional in 2009,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cases where it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corporation who commits a violation and cases where it is an employee who does so. Therefore, when looking at its text only, it seems that the elements of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under joint penalty provisions are identical regardless of the status of the person who committed the viol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 text does not preclude distinguishing corporate liability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offender by way of interpretation. 

There has been a long-standing and complicated debate among criminal law scholars on joint penalty provisions and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The debate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four main issues: (a) whether to recognize the criminal capacity of corporations; (b) whether joint penalty provisions were to be understood as punishing the corporation for its own fault or the fault of another person; (c) whether the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regime created by joint penalty provisions included holding corporations directly liable for committing the relevant statutory violations, or was limited to holding corporations liable for failing to prevent its agents and employees from committing the violations; and (d) whether the corporation's failure-to-prevent offense is to be understood as a crime of omission or a crime of negligence. In addition, comparative reviews of major models of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such as the identification model, the vicarious liability model, and the organizational model were also conducted. 

The highest Courts of Korea have also weighed in on the issue of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over the years, although their positions have sometimes been somewhat unclear. The Constitutional Court, through a series of major decisions since 2009, adopted a version of identification theory that restricts the class of natural persons that are identifiable with the corporation to representatives and recognized the criminal capacity of corporations to be held liable for the offenses prescribed in joint penalty provisions. The Constitutional Court interpreted joint penalty provisions as creating a dual liability system of direct violation liability and failure-to-prevent liability. The Supreme Court, push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sorted out its once unclear stance on joint penalty provisions and endorsed the same approach as the Constitutional Court. While both Courts have recently issued decisions that seem to not conform to the basic interpretive framework established by previous decisions, these recent decisions do not provide enough evidence of the Courts making fundamental changes to the basic framework. 

The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model adopted by the Courts-a dual system of corporate liability regime based on identification theory-seems to be the most reasonable option as an interpretive theory of currently existing joint penalty provisions. The model can be theoretically justified based on the nature of the institution of legal persons, provides a logically coherent explanation of the text of the law, and also provides enough flexibility to produce reasonable results when applied in practice.













동일시이론에 기초한 양벌규정 법인처벌의 해석론.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32 전원열, "미국의 시민소송 제도를 통해 본 원고적격 문제", 『민사소송』 제27권 제3호(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3.9) file
231 최계영,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출입국관리법상 보호(이민구금) 제도 개선방안", 『행정법연구』 제71호(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3.8) file
230 한인섭, "형사법 연구·교육에서 형사정책 지식을 활용하기 - 실태·정책·법의 트라이앵글 속에서 -", 『형사정책』 제35권 제2호(한국형사정책학회, 2023.7) file
229 윤지현, "담보물의 환가와 물상보증인의 양도소득 - 대법원 2021.4.8. 선고 2020두53699 판결", 『조세법연구』 제29권 제2호(한국세법학회, 2023.8) file
228 이효원, 박종원, "통일을 위한 헌법 개정의 필요성", 『통일과 법률』 제55호(법무부, 2023) file
227 송옥렬, "헤지펀드 행동주의에 의한 이론적 검토", 『상사판례연구』 제36권 제2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3.6) file
» 김웅재, "동일시이론에 기초한 양벌규정 법인처벌의 해석론", 『서울대학교 법학』 제64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6) file
225 윤지현, "과세처분과 납세의무 신고의 위법, 그리고 후발적 경정청구의 사유간 관계", 『사법』 제60호(사법발전재단, 2022.6) file
224 이정수, "가상자산의 국제사법적 쟁점에 관한 시론적 고찰: 금융거래를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제29권제1호(한국국제사법학회, 2023.7) file
223 홍진영, "피의자신문조서의 탄핵증거로의 사용 가능성 - 종전 모순 진술에 관한 미국 연방증거법 제613조 규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제15권2호(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3.6)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