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금융시장이 국제화됨에 따라 금융거래 역시 ‘외국적 요소’(foreign element)를 포함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로 준거법의 결정, 국제재판관할과 외국판결의 승인, 집행, 국제도산법 등 다양한 국제사법적 논점이 제기되었고, 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금융시장은 종래의 국제화와는 또다른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한마디로 축약하면 ‘가상자산을 통한 금융거래’라고 할 수 있다. 앞서 금융시장 국제화에 따른 변화를 ‘외국적 요소’의 등장이라고 한다면 새로운 변화는 금융거래에 있어 ‘가상적 요소’(virtual element)의 출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최근의 변화가 금융법과 국제사법에 있어 어떤 쟁점을 새로이 제기할 것인가를 살피고, 기존의 국제금융거래에 있어 준거법의 결정, 재판관할과 외국판결의 승인 등에 대한 국제사법의 연구결과가 ‘가상자산을 통한 금융거래’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 어떤 변용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자산의 등장과 우리나라에서의 논의 전개에 대해 살펴보고, 가상자산을 통한 금융거래를 금융거래의 대상으로서 가상자산의 문제, 금융거래의 주체로서의 탈중앙화자율조직(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의 문제, 금융거래의 방식으로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의 문제로 나누어 각각 법적 논의를 정리하고, 국제사법적 쟁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가상자산을 통한 금융거래는 아직 완성형이라기보다는 진행형에 가깝고, 현재의 국제사법은 외국적 요소 외 가상적 요소를 고려하여 마련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준거법의 결정, 재판관할과 외국판결의 승인 등에 대한 기존 국제사법의 연구결과와 법규정을 새로운 현상으로서의 가상자산을 통한 금융거래에 적용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서는 단기적으로 준거법과 재판관할을 사전에 지정하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고, 장기적으로는 ‘외국적 요소’를 전제로 한 현재의 국제사법에 대해 ‘가상적 요소’를 고려한 입법적 보완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목차


I. 서론

II. 가상자산의 등장과 금융법적 논의의 전개

  1. 가상자산의 등장과 발전

  2. 우리나라에서의 규제논의

  3. 가상자산을 통한 금융거래와 국제사법

III. 금융거래의 대상으로서 가상자산

  1. 가상자산의 의의

  2. 우리나라에서의 논의 및 법적 규제

  3. 외국의 법제

  4. 국제사법적 쟁점

IV. 금융거래의 주체로서 탈중앙화자율조직(DAO)

  1. DAO의 의의

  2. DAO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의

  3. DAO에 대한 외국의 입법

  4. 국제사법적 쟁점



외국어초록


As the financial market became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also included 'foreign elements'. In addition, various international judicial issues such as the decision of the governing law, approval,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and foreign judgments, and international bankruptcy law have been raised, and research on them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in recent years, the financial market is facing a new change from conventional internationalization. In short, these changes can be called "financial transactions through virtual assets." If the changes caused by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financial market are the emergence of "foreign elements," the new changes can be said to be the emergence of "virtual elements" in financial transactions.

In this study, we looked at what new issues these recent changes will raise in financial law and international law, as well as whether international law decisions, jurisdiction, and approval of foreign judgments in existing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can be applied to 'financial transactions through virtual assets." As a method of financial transaction, legal discussions were organized and international judicial issues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issues of smart contracts.

Financial transactions through virtual assets are still more progressive than complete, and the current international law is not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virtual factors other than foreign factors. Therefore, it cannot be denied that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 applying the existing international judicial research results and legal regulations on the decision of the governing law, the approval of jurisdiction and foreign judgments to financial transactions through virtual assets as a new phenomenon. In this regard, one alternative could be to designate governing laws and jurisdictions in advance in the short term, and in the long run,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legislative supplementation in consideration of “virtual factors” for the current international law on the premise of “foreign factors.”













가상자산의 국제사법적 쟁점에 관한 시론적 고찰  금융거래를 중심으로.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32 전원열, "미국의 시민소송 제도를 통해 본 원고적격 문제", 『민사소송』 제27권 제3호(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3.9) file
231 최계영,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출입국관리법상 보호(이민구금) 제도 개선방안", 『행정법연구』 제71호(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3.8) file
230 한인섭, "형사법 연구·교육에서 형사정책 지식을 활용하기 - 실태·정책·법의 트라이앵글 속에서 -", 『형사정책』 제35권 제2호(한국형사정책학회, 2023.7) file
229 윤지현, "담보물의 환가와 물상보증인의 양도소득 - 대법원 2021.4.8. 선고 2020두53699 판결", 『조세법연구』 제29권 제2호(한국세법학회, 2023.8) file
228 이효원, 박종원, "통일을 위한 헌법 개정의 필요성", 『통일과 법률』 제55호(법무부, 2023) file
227 송옥렬, "헤지펀드 행동주의에 의한 이론적 검토", 『상사판례연구』 제36권 제2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3.6) file
226 김웅재, "동일시이론에 기초한 양벌규정 법인처벌의 해석론", 『서울대학교 법학』 제64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6) file
225 윤지현, "과세처분과 납세의무 신고의 위법, 그리고 후발적 경정청구의 사유간 관계", 『사법』 제60호(사법발전재단, 2022.6) file
» 이정수, "가상자산의 국제사법적 쟁점에 관한 시론적 고찰: 금융거래를 중심으로", 『국제사법연구』 제29권제1호(한국국제사법학회, 2023.7) file
223 홍진영, "피의자신문조서의 탄핵증거로의 사용 가능성 - 종전 모순 진술에 관한 미국 연방증거법 제613조 규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제15권2호(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3.6)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