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다른 법령에서 일정한 행위에 공정거래법의 적용을 배제하고 있는 경우에 언제나 동법 제116조의 판단을 거쳐 정당성을 인정받아야 한다는 명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법령에서 허용하는 경쟁제한의 범위가 모호하거나 나름 명확하더라도 허용되는 경쟁제한의 범위를 넘고, 아울러 경쟁제한의 폐해를 시정할 수 있는 권한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전부 또는 일부라도 위임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공정거래법 제116조의 적용제외를 인정할 것인지를 공정거래위원회가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다른 법령에서 경쟁제한행위를 실체법적으로나 절차법상 완전히 규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른바 공정거래법 제116조의 심사를 거치지 않는 ‘자기완결적’ 적용제외가 성립할 수 있다. 해운법 제29조는 외항정기화물운송사업자들이 운임 등을 공동으로 정하는 협약을 명시적으로 허용함으로써 경쟁제한의 폐해를 일정 부분 수인(受忍)하는 대신 해운산업의 발전이라는 산업정책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점에서 그 자체가 전형적인 적용제외조항에 해당한다. 나아가 해운법은 신고된 협약과 다른 내용의 합의가 이루어지거나 협약이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등의 경우에도 이를 시정할 권한을 일차적이자 최종적으로 해양수산부장관에게 부여하고 있을 뿐이고, 해양수산부장관은 시정조치를 한 후에 공정거래위원회에 그 내용을 통지하도록 하고 있을 뿐이다. 해운법 제29조를 그 자체로 ‘자기완결적’ 적용제외로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해운법 제29조는 협약에 따른 경쟁제한의 폐해가 필요 최소한의 수준에 그치도록 제한하는 취지에서 화주단체와의 협의의무나 해양수산부장관의 시정조치 등을 규정하여 동조에 따른 공동행위가 남용되지 않도록 나름의 안전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협약이 신고되지 않은 경우에는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을 뿐이고, 화주단체와의 협의를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런 제재도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해운법 제29조는 동법상 허용되는 협약에 관한 한 협약 체결 전후의 절차 위반 여부와 무관하게 공정거래법의 적용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함이 타당하다.



외국어초록


In cases where other laws and regulations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Korea Anti-Monopoly and Fair Trade Act(hereafter “the Act”) to certain acts, there is no proposition that the legitimacy must always be recognized through the judgment under Article 116 of the Act. Only if the scope of anti-competitive conducts permitted by other laws and regulations is ambiguous or if quite clear, when the harmful effects of anti-competitive conducts exceeds the originally permitted scope or if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hereafter “the KFTC”) is delegated in whole or in part, to correct the anti-competitive harm, the KFTC can decide whether to accept the exemption of Article 116 of the Act. Therefore, in the case where other statutes completely regulate competition issues in substantive or procedural aspects, so-called ‘self-fulfilling’ exemptions can be established. Understanding the system of exemption in this way is consistent with the attitude of past precedents and legal exemptions.47) Article 29 of the Shipping Act expressly allows outbound freight forwarders to jointly determine freight rates, thereby achieving the industrial policy goal of developing the shipping industry instead of accepting some of the harmful effects of anti-competitive agreements. This in itself constitutes a typical exemption clause. Furthermore, the Shipping Act grants a primary and final authority to the Minister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even in the case of agreements with other contents or the agreement that the agreement is substantially restricting competition. The Minister has only to notify the corrective measures taken by it to the KFTC. This is the reason why Article 29 of the Shipping Act should be viewed as a ‘self-fulfilling’ exemption. Article 29 of the Maritime Transport Act prescribes the obligation to consult with shippers’ organizations and corrective measures by the Minister, etc., with the purpose of limiting the adverse effects of anti-competitive agreement approved under the Act to the minimum necessary level. In addition, the agreement is not reported, only a fine can be imposed and in cases where consultations with shipper organizations are not sufficiently conducted, there is no penalty. Considering all these points,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at Article 29 of the Maritime Transport Act completely exclude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Act as far as legally permitted agreements are concerned.












해운선사 간 운임협약과 해운법상 %22자기완결적%22 적용제외.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42 김형석, "무현금 지급거래의 법적 쟁점", 『서울대학교 법학』 제64권 제4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1) file
241 이원우,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국가 - 시장 관계의 변화와 공법의 역할", 『경제규제와 법』 제16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11) file
240 천경훈, "사이버보안 리스크와 이사회의 역할 - 시론적 고찰", 『상사법연구』 제42권 제3호(한국상사법학회, 2023.11) file
239 조홍식, 박진영, "ESG와 컴플라이언스 - 회사법과 사회적 리스크의 맥락에서 -", 『환경법연구』 제45권 제3호(한국환경법학회, 2023.11) file
238 최준규, "형평책임 도입에 관한 입법론", 『재산법연구』 제40권 제3호(한국재산법학회, 2023.11) file
237 양현아, "한국의 재생산정책 수립에서 미혼모/미혼여성의 재생산권리의 중요성", 『법과사회』 제74호(법과사회이론학회, 2023.10) file
236 이성범, "등기부취득시효의 완성에 따른 부당이득반환 문제 - 대법원 2022.12.29. 선고 2019다272275 판결에 대하여 -", 『재산법연구』 제40권 제3호(한국재산법학회, 2023.11) file
235 고유강, "본래 채권의 시효소멸이 손해배상과 해제에 미치는 영향", 『법조』 제72권 제5호(법조협회, 2023.10) file
» 이봉의, "해운선사 간 운임협약과 해운법상 "자기완결적" 적용제외", 『경쟁법연구』 제48권(한국경쟁법학회, 2023.9) file
233 노혁준, "상법상 주식매수청구 제도의 개정방향", 『상사판례연구』 제36권 제3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3.9)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