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대법원은 국민의 권리구제 및 행정에 대한 사법통제의 기능을 충실히 하기 위해 보호규범의 범위를 확대하거나, 관련법규의 해석이 아니라 사실상 이익의 침해라는 사실적 요소에 의해 판 단함으로써, 또는 권리구제의 필요성이라는 관점에서 취소소송의 원고적격을 점차 확대하고 있 다. 위법한 처분에 의한 침해로부터 권리를 구제받을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수단이 없다면, 보 호규범의 범위를 확대하여 적어도 보충적으로는 헌법상 기본권에서도 법률상 이익을 도출하고, 중대한 침해가 야기되는 경우에는 사실상 이익의 침해라는 사실적 요소에 의해서도 원고적격 을 인정함으로써, 행정의 적법성 보장과 그 통제 및 국민의 권리구제를 위한 사법부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경쟁자진입방어소송에서, 즉 기존 사업자가 신규사업자의 진입을 허용하는 행정처분을 다투 는 취소소송에서, 기존 사업자의 원고적격의 인정 여부는 기존 사업자의 경영상 이익 내지 독 점적 지위가 처분의 근거법규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 여, 허가적 성격을 가지는 제1유형에서는 기존사업자의 원고적격을 부인하고 특허적 성격을 가 지는 제2유형에서는 기존사업자의 원고적격을 인정하여 왔다. 그러나 경쟁자진입방어소송에는 이러한 두 가지 유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제3의 유형이 존재한다. 예컨대 약사법 제20조 제5항 에 위반한 약국개설등록에 대한 인근약국개설자의 취소소송이 바로 이러한 제3의 유형에 속한 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 사업자에게 독점적 지위나 경영상의 이익이 근거법규에 의해 직접 보호되고 있지 않더라도, 신규 사업자에게 통상의 경우에는 인정되지 않는 독점적 지위를 위법 하게 부여하여 기존 사업자의 경쟁의 자유,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기 때문에 이를 다툴 원고적 격이 인정되어야 한다. 경쟁자소송은 경쟁질서의 유지를 위한 소송이며 따라서 원고적격의 인정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원고의 법적 지위는 경쟁관계 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특별히 독점적 지위가 법적으로 보장된 자의 경우에는 그러한 독점적 지위를 보장하기 위한 원고적격이 인정되고(제2유형), 통상의 영업의 자유를 향유하는 사업자 사이에서는 경쟁관계를 수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규진 입자를 저지하는 소송의 원고적격은 원칙적으로 부인된다(제1유형). 그러나 통상의 영업의 자 유를 향유하는 사업자 사이의 경쟁관계라 하더라도, 행정청이 특정 사업자에게만 법적으로 허 용되지 않는 특별한 독점적 지위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관계를 파괴하 고, 이를 통해 기존사업자에게 수인하기 어려운 불이익을 지속적으로 야기함으로써 다른 경쟁 자들의 경쟁의 자유 내지 영업의 자유를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침해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익의 침해를 제거하기 위한 경쟁자의 원고적격이 인정되어야 한다. 약사법에 의한 약국개설등록은 강학상 허가로서 약사법은 누구에게도 특별한 독점적 지위나 경영상 이익을 보장해주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약사법 제20조 제5항 제2호 내지 제4호에서 금지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시설 안 또는 구내 내지는 이와 공간적 기능적으로 유사한 곳에서 약국 개설등록이 이루어지면, 이 약국은 해당 의료기관의 원외처방을 거의 독점함으로써 인근 약국 개설자의 경쟁의 자유,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게 된다. 따라서 인근 약국개설자에게는 이러한 약국개설등록처분의 취소를 구할 원고적격이 인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원고적격을 인정함에 있어서 해당 처분의 근거 법규의 해석을 통해 그 규 정이 오로지 공익만이 아니라 적어도 동시에 구체적 개별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은 매우 기교적이고 인위적이며 불필요하게 사법자원의 낭비를 야기할 뿐 아니라 해석의 결론도 매우 불확실하다. 판례와 통설은 관련 법규의 문언이 어떠한 체제와 형식으로 규정되었을 때 구체적 개별적 이익도 보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아무 런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호가치이익설의 입장에서 이들 사안과 같이 경쟁자진입방어소송의 제3유형에 해당하는 경우 경쟁자에게 독점적 특권적 지위가 부당하게 부여됨으로써 기존 사업자의 경쟁의 자유, 영업의 자유가 현저히 침해당하는 경우에는 근거법 규의 해석을 통하지 않고 사실상 경제상 이익의 침해라는 사실적 요소에 의해 원고적격을 인 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목차


. 서설 : 문제의 제기 

. 취소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학설과 판례의 발전

. 경쟁자소송의 유형과 원고적격

. 약사법상 약국개설등록 취소와 경쟁자소송의 원고적격

. 결론



외국어초록


Der Koreanische Oberste Gerichtshof hat die Klagebefugnis der Anfechtungsklage dadurch erweitert, dass die Schutznormen in ihrem Umfang vergrößert werden, die Entscheidung nicht auf der Auslegung einschlägiger Gesetze sondern auf dem tatsächlichen Element von Interessenverletzung beruht, oder ein Zugang zu wirksamen Rechtsbehelfen eröffnet wird, um die Funktion des Rechtsschutzes des Bürgers und die der gerichtlichen Kontrolle zu erfüllen. Wenn es kein anderes wirksames Verwaltungsverfahren gegen Rechtsverletzung durch eine rechtswirdrige Verfügung gibt, muss der Umfang der Schutznormen erweitert werden, so dass ein rechtliches Interesse zumindest subsidär aus den Grundrechten der Verfassung abgeleitet und im Falle einer schwerwiegenden Verletzung auch durch eine Verletzung von tatsächlichen Interessen die Klagebefugnis bejaht werden muss, damit die Justiz ihre Aufgaben zur Gewährleistung der Rechtmäßigkeit der Verwaltung und der gerichtlichen Kontrolle über die Verwaltung sowie zum Rechtsschutz des Bürgers erfüllen kann. Konkurrentenklage ist eine Klage für die Aufrechterhaltung der Wettbewerbsordnung. Von daher hängt die Klagebefugnis der Konkurrentenklage von der Rechtsstellung des Klägers in dem Wettbewerbsverhältnis ab. Beim Kläger, dessen Monopolstellung gesetzlich garantiert ist, wird die Klagebefugnis zur Gewährleistung einer solchen Monopolstellung bejaht(Variante 2). Dagegen wird die Klagebefugnis des Klägers, der gegen einen Neueinsteiger abwehrt, verneint, da die Unternehmer die Freiheit eines gewöhnlichen Geschäftsbetriebs genießen können und die Wettbewerbsbeziehung akzeptieren müssen(Variante 1). Aber selbst beim Wettbewerbsverhältnis zwischen Unternehmern, die die Freiheit des gewöhnlichen Geschäftsbetriebs genießen, wenn die Behörde lediglich von einem bestimmten Unternehmer eine gesetzlich nicht erlaubte besondere Monopolstellungerhalten lässt und das Wettbewerbsverhältnis zerstört, dann muss die Klagebefugnis der Konkurrenten bejaht werden(Variante 3). Denn die bestehenden Unternehmer dürfen nicht solche dauerhafte Nachteile dulden und dies verletzt unmittelbar und konkret die Wettbewerbs- und Geschäftsfreiheit anderer Konkurrenten. Die Verletzung solcher Interessen muss beseitigt werden. Die Einrichtung einer Apotheke ist nach dem Koreanischen Apothekengesetz eine Erlaubnis. Danach wird niemandem eine besondere Monopolstellung oder Geschäftsinteressen gewährleistet. Aber wenn die Einrichtung einer Apotheke in der medizinischen Klinik oder ihren Anlage sowie an einem diesem räumlich und funktionell ähnlichen Ort erlaubt wird, was gemäß § 20 Abs. 5 Nr. 2 bis 4 des Apothekengesetzes verboten ist, verletzt diese Apotheke durch Monopolisierung der Rezepte der betreffenden medizinischen Klinik die Wettbewerbs- und Geschäftsfreiheit von benachbarten Apothekern. Folglich muss der benachbarte Apotheker, der die Beseitigung der Genehmigung einer solchen Apotheke begehrt, klagebefugt sein. Diese juristische Methode, mit der die Klagebefugnis hergeleitet wird, ist jedoch zu künstlich und manipulierend, führt nicht nur zu einer Verschwendung von Ressourcen, sondern auch zur Unsicherheit der Schlussfolgerung der Interpretation. Daher wird zu einem Methdenwandel dazu aufgefordert, die Klagebefugnis nicht aufgrund der Auslegung der zugrunde liegenden Gesetze, sondern aufgrund der Tatsache anzuerkennen, dass es sich tatsächlich um eine Verletzung wirtschaftlicher Interessen handelt.











 


1면_원고적격 확대를 위한 방법론의 전환_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62 이창희, "납세자의 금반언과 부과제척시간", 『조세법연구』 제26권 제3호(한국세법학회, 2020.11) file
161 전상현,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헌법학연구』 제27권 제4호(한국헌법학회, 2021.12) file
160 송옥렬, "신주발행 무효사유의 재검토 -합병무효의 소에 관한 논의를 포함하여", 『증권법연구』 제22권 제3호(한국증권법학회, 2021.12) file
159 이원우, "규제국가의 전개와 공법학의 과제 - 과학기술혁신에 따른 공법적 대응을 중심으로", 『경제규제와 법』 제14권 제2호(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21.11) file
» 이원우, "원고적격 확대를 위한 방법론의 전환: 독점적 지위의 배제를 구하는 소송을 중심으로", 『행정법연구』 제66호(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1.11) file
157 천경훈, "회사의 신주인수인 간의 투자자보호약정의 효력 -주주평등원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상사법연구』 제40권 제3호(한국상사법학회, 2021.11) file
156 전종익, "동학의 평등과 조선의 변화", 『법사학연구』, 제64호,(한국법사학회, 2021.11) file
155 정긍식, "문성공 율곡 이이의 종손권 분쟁에 대한 고찰-(조선)고등법원 1921.5.20. 선고 대정10년민상제5호 및 1922.6.20. 선고 대정11년민상제184호 판결을 대상으로-", 『법사학연구』, 제64호,(한국법사학회, 2021.11) file
154 정선주, "확정된 인도판결과 기판력", 『민사소송』, 제25권 제3호,(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1.10) file
153 권영준, "법의 개인화 단상", 『법조』, 제70권 제5호,(법조협회, 2021.10.28)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