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이 논문은 헌법재판소가 설립 이후 30년 동안 (1988-2018) 위헌결정을 내릴 때 어떤 국제인권조약을 어떻게 인용하였는지 분석한 글이다. 국제인권조약을 언급한 위헌결정을 헌법재판소장이 바뀌었던 6년 단위로 나누어 보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시대상이다. 국제인권조약이 원용되었던 사건의 내용을 보면 국제인권조약의 설득력이 필요했던 당시의 현안이 무엇이었는지, 우리 사회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알 수 있다. 헌법재판소는 재판 당시를 기준으로 국내인권현실이 국제인권기준과 동떨어진 사안에서 국제인권조약을 언급하며 위헌결정을 하였다. 

헌법재판소 위헌결정에 나타난 국제인권법의 모습을 살펴보면, 헌법재판소가 설립되었던 90년대 초반에는 권위에 대한 도전을 허용하고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세계인권선언과 자유권규약을 언급하였다. 90년대 중반에는 우리 법체계 내에 양성평등이 확립되었음을 선언하는 맥락에서 여성차별철폐협약을 언급하였다. 2000년대 초중반에는 당시 중요한 현안이었던 형사법분야에서의 개혁을 이끌어낸 결정문에서 자유권규약을 인용하였다. 2000년대 중후반에는 외국인의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권규약을 언급하기도 하였으나, 국제인권규범에 근거한 주장에 대해 답변하지 않기도 하였다. 2010년대에는 양심적 병역거부, 수형자 및 집행유예자의 선거권제한 등의 다양한 사회적 현안에서 국제조약기구와 국제재판소의 연성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국제인권법을 인용하였다.

지난 30년의 헌법재판소의 역사가 보여주듯이 국제인권법은 우리 사회가 변화하는 순간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다양한 사건에서 국제인권조약에 힘입어 위헌결정을 하면서도 한국의 헌법재판소는 단 한 번도 자신 있게 국제인권조약을 위반하였다고 선언한 적이 없다. 국제인권법을 인용하는 판례가 종종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인권법을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결정문의 설득력을 강화하기 위해 조약 내용을 언급하거나 참고하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헌법재판에서 국제인권법을 적용하고 인용할 때 단

히 결정문을 더 맛있게 만들기 위해 살짝 얹는 양념이 아니라 하나의 주재료로서 국제인권법에 근거한 실질적인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제인권조약은 재판기관의 해석을 통해 ‘살아있는 문서(living instrument)’로 기능한다. 우리 법체계에서도 헌법재판과정에 국제인권법을 적극 적용함으로써 헌법과 국제인권조약 모두 우리 시대상에 맞게 기능하는 ‘살아있는 문서’로서 숨을 쉬길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1988-1994 권위에 대한 도전(세계인권선언과 자유권규약)


Ⅲ. 1994-2000 양성평등(여성차별철폐협약)


Ⅳ. 2000-2006 형사법 개혁(자유권규약)


Ⅴ. 2007-2013 외국인의 권리보호(사회권규약) & 국제인권법 위반주장 판단 없음


Ⅵ. 2013-2018 연성법의 적극적 활용(자유권규약 등)


Ⅶ. 결론



외국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incorporate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HRL”) when declaring a law unconstitutional. The Court referenced IHRL while invalidating a law in 16 decisions, and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Court's attitude varied over time by examining each six-year term of the Court’s past presidents from 1988 to 2018.

The appearance of IHRL in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s reflects social and legal changes in Korean society. The first term (1988-1994) used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the Human Rights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ICCPR”) to protect individual’s freedom and challenge a governmental authority. The second term (1994-2000) referred to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CEDAW”) to promote gender equality. The third term (2000-2006) mentioned the ICCPR in cases relating to criminal justice. The forth term (2007-2012) use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CESCR”) to protect social rights of non-citizens, while the Court did not explicitly answer to arguments based o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 the other cases. During the last period (2013-2018), the Court relied 

not only on treaty provisions but also on various soft law documents from treaty bodies and international courts in their decisions declaring the Korean law unconstitutional.

Analysis demonstrates that although IHRL has rarely been a decisive factor in the Court’s unconstitutionality holdings, the Court has relied on international law in interpreting the Constitution and strengthening its constitutional grounds. The Court should apply international human right law more directly and actively, engaging in global judicial discussions and making the Korean Constitution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living instruments.’












헌법재판소 위헌결정과 국제인권법_2.p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92 윤지현, "부가가치세법이 정하는 수탁자의 물적 납세의무에 관한 연구", 『세무와 회계 연구』, 제22호, (한국세무사회 부설 조세연구소, 2020.8) file
91 윤지현, "타인의 명의를 빌린 공급 상대방에 발급한 세금계산서와 매입세입공제", 『조세법연구』, 제26권 제2호, (한국세법학회, 2020.8) file
90 이계정, "신탁의 경제적 분석", 『법조』, 제69권 제4호, (법조협회, 2020.8) file
89 신윤진, "Non-Citizens’ Rights, Constitutional Review and an Inclusive Democracy: A Case Study of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Law』, Vol19, (아시아태평양법학연구소, 2020.8) file
88 이재민, "디지털 교역 시대의 아날로그 규범 - ‘개인정보’의 국경간 이전과 국가안보 예외 -", 『대한국제법학회논총』, (대한국제법학회, 2020.6) file
87 이동진, "의사의 위험설명의무 - 법적 기능, 요건 및 위반에 대한 제재 -, 『의료법학』, 제21권 제1호, (대한의료법학회, 2020.6) file
86 김형석, "사인증여", 『민사법학』, 제91호, (한국민사법학회, 2020.6) file
» 원유민, "헌법재판소 위헌결정과 국제인권법", 『국제법학회논총』, (대한국제법학회, 2020.6) file
84 정선주, "싱가포르협약과 조정결과의 승인집행", 『민사소송』, 제24권 제2호,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0.6) file
83 최준규, "미국 연방도산법상 장래채권 양도담보의 효력 - 미국 연방도산법 제552조 제(b)항의 해석론과 그 시사점". 『민사법학』, 제90호, (한국민사법학회, 2020.3)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