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국제금융거래의 준거법은 법정지의 국제사법에 의하여 결정되나, 문제된 법률관계의 준거법에 관계없이 관철되는 이른바 ‘국제적 강행규정’이 있다. 외국환거래법은 전형적인 국제적 강행규정이다. 이 글에서는 예컨대 한국산업은행이 칠레의 차주에게 대출하면서 준거법을 한국법으로 지정하고 관할법원을 우리 법원으로 합의한 사안에서 우리 법원이 재판하는 것을 상정하여 외국(예컨대 칠레)의 외국환거래법의 고려를 논의한다. 이는 국제금융거래에서 제3국의 외국환거래법의 고려의 문제이다. 논의순서와 방향은 아래와 같다.

첫째, 제3국의 국제적 강행규정의 고려에 앞서 국제적 강행규정의 개념과 법정지의 국제적 강행규정 및 문제된 법률관계의 준거법 소속국의 국제적 강행규정의 적용 여부를 논의한다(Ⅱ.).

둘째, 1944년 체결된 Articles of Agreement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협정”), 그 중에서도 제Ⅷ조 제2항 b(“제Ⅷ조 2(b)”)의 취지와 주요 논점을 검토한다(Ⅲ.) IMF 협정 제Ⅷ조 2(b)는 국제사법에 대한 특별저촉규범이므로 한국 법원은 우선 동조가 대출계약에 적용되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만일 적용된다면 대출계약의 준거법이 한국법이더라도 칠레의 외국환규제가 적용되므로 필요한 외환허가를 받지 않았다면 당해 대출계약은 우리 법원에서 unforceable 하다. 동조의 exchange contract의 적용범위에 관하여는 협의설이 널리 인정되고 있으므로 우리도 이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한국 국제사법상 제3국의 외국환거래법의 고려를 논의한다(Ⅳ.). 만일 위 사안이 제Ⅷ조 2(b)의 적용대상이 아니라면 칠레의 외국환거래법위반의 처리가 문제된다. 한국 국제사법은 제3국의 국제적 강행규정의 고려에 관하여 규정하지 않으므로 견해가 나뉠 수 있다. 필자는 국제사법의 해석상 특별연결이론이 설득력이 있다고 본다. 

넷째, 국제금융거래에서 제기되는 외국환거래법 외의 제3국의 국제적 강행규정의 문제를 검토한다(Ⅴ.). 여기에서는 미국의 자산동결명령이 문제된 영국 판결(Libyan Arab Foreign Bank v Bankers Trust Co)을 소개하고, 1990년대 말 경제위기 속에서 원고의 채무를 실질적으로 1/3로 감면한 대통령령의 적용을 공서위반이라는 이유로 배척한 우리 하급심 판결을 소개하였다. 후자의 경우 제1심과 원심법원이 모두 IMF 협정 제Ⅷ조 2(b)의 문제를 인식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 영미법, 특히 영국법이 국제금융거래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지는 데는 연혁적 이유도 있지만, IMF 협정 제Ⅷ조 2(b)의 해석과 로마Ⅰ 제9조는 그러한 위상을 지켜내기 위한 영국의 부단한 노력을 보여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국제사법에서 국제적 강행규정의 취급 개관


Ⅲ. 제3국의 외환규제가 문제되는 경우 IMF 협정 제Ⅷ조 2(b)의 적용


Ⅳ. IMF 협정 제Ⅷ조 2(b)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제3국의 외국환거래법의 고려


Ⅴ. 국제금융거래에서 국제적 강행규정이 문제되는 그 밖의 사례


Ⅵ. 맺음말



외국어초록


While the law governing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is determined by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rules of the forum, there are so-called “internationally mandatory rules” that apply regardless of the governing law of the legal relationship in question. Foreign exchange control law is a typical example of internationally mandatory rules. In the present article, the author takes the hypothetical example of the Korea Development Bank granting a loan to a borrower of Chile and designating in the loan agreement the Korean law and the Korean courts respectively as the applicable law and competent courts, and discusses how foreign countries’ exchange control laws (for example, those of Chile) would be considered by Korean courts. The issue at stake is how foreign exchange control laws of third countries are to be considered in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The order of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before dealing with internationally mandatory rules of third countries, the author discusses the concept of internationally mandatory rules and the issue of the consideration of the internationally mandatory rules of the forum and those of the country whose law is applicable to the legal relationship in question (Chapter II.). Second, the author reviews the purpose and main issues 

of Article Ⅷ2(b) of the Articles of Agreement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Agreement”) concluded in 1944 (Chapter Ⅲ.). Since Article Ⅷ2(b) of the IMF Agreement is a special private international law rule, the Korean courts must first review its applicability to the loan agreement. If it applies, the foreign exchange control rules of Chile apply even if Korean law governs the loan agreement, and as a result, the loan agreement will be unenforceable before Korean courts if the required foreign exchange permit has not been obtained. Regar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exchange contracts under Article Ⅷ2(b), as the narrow-scope theory has been widely accepted internationally, it would be sensible for us to follow it as well. Third, the author discusses the consideration of the foreign exchange control law of third countries under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of Korea (KPILA) (Chapter IV). If the case described above does not fall within the scope of Article Ⅷ2(b) of the IMF Agreement, the issue of the violation of Chile’s foreign exchange control law arises. Since the KPILA does not regulate the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ly mandatory rules of third countries, there may be a split of opinions. The author believes the so-called “special connection theory” is more persuasiv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KPILA.

Fourth, the author reviews issues raised in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regarding third countries’ internationally mandatory rules other than foreign exchange control law (Chapter Ⅴ.). Here, the author briefly introduces the English ruling which dealt with the effect of the asset freeze order of the US on the eurodollar deposit at a US bank, as well as the decision of the lower courts of Korea which refused to apply the Argentine Presidential Decree issued during the economic crisis of Argentina in the late 1990s, which effectively reduced the debts of the plaintiff by two-thirds, for violating Korean public policy. In the latter case, it is regrettable that both the first and second instances of Korea did not recognize the issue of Article Ⅷ2(b) of the IMF Agreement.

While there are also historical reasons for Anglo-American law, especially English law, to have a superior position in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Ⅷ2(b) of the IMF Agreement in England and Article 9 of the Regulation No. 593/2008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7 June 2008 on the law applicable to contractual obligation (Rome I) clearly reflect the UK’s unremitting efforts to uphold that status.












국제금융거래에서 제3국의 외국환거래법과 국제적 강행규정의 적용 IMF 협정 제Ⅷ조 2(b)를 포함하여_2.p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82 허성욱, "공법의 근본개념으로서의 자유와 권리", 『공법연구』, 제48집 제4호, (한국공법학회, 2020.6) file
81 홍진영, "개정 형사소송법 제312조에 대한 검토",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제12권 제1호,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0.6) file
80 송옥렬, "2019년 회사법 판례의 분석", 『상사판례연구』, 제33집 제2권, (한국상사판례학회, 2020.6) file
» 석광현, "국제금융거래에서 제3국의 외국환거래법과 국제적 강행규정의 적용: IMF 협정 제 VIII조 2(b)를 포함하여, 『국제사법연구』, 제26권 제1호, (한국국제사법학회, 2020.6) file
78 최준규, "사해행위와 수익자에 대하여 도산절차가 게시된 경우의 법률관계", 『서울대학교 법학』, 제61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6) file
77 전종익, "헌법 제120조 제1항 천연자원 규정의 해석", 『서울대학교 법학』, 제61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6) file
76 이근관, "국제법상 한국의 동일성 및 계속성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법학』, 제69권 제2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6) file
75 전원열, "민사집행법상 평등주의의 재검토", 『법조』, 제69권 제3호(법조협회, 2020.6) file
74 고학수, "Information Technology-Based Tracing Strategy in the Response to Coivd-19 in South Korea-Privacy Controversies", JAMA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20.6) file
73 최봉경, "특정이행과 손해배상 - 비교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저스티스』, 제178호(한국법학원, 2020.6)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