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방어적 민주주의.jpg





<서 문>



이 책은 필자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헌법학 박사학위 논문인 방어적 민주주의에 관한 연구(2017)의 오탈자를 바로잡고 내용을 약간 수정보완하여 출간하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서는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을 전후하여 방어적 민주주의에 대한 관심이 크게 제고되었습니다. 그러나 민주주의를 여러 위험으로부터 수호하고 공고히 하기 위한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방어적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에 내재한 취약성을 지적하고, 민주주의를 그 적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규범적 대안을 제시한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으로 꼽힙니다. 그러나 방어적 민주주의는 도리어 민주주의의 본질을 해치거나 정치적인 의도로 오남용될 위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합니다. 이 책은 이러한 점을 상기하면서, 방어적 민주주의의 정확한 개념을 파악하고 오늘날 방어적 민주주의의 규범적인 원리를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방어적 민주주의의 적절한 적용 범주를 설정하고, 우리나라가 방어적 민주주의를 도입하였다고 볼 수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그 규범적인 위상은 어떠한지를 검토하였습니다.

변호사로 일하다 학교로 돌아와 박사학위논문 작성에 전념하기로 한 것은 커다란 변화가 아닐 수 없었습니다. 그 동안 저를 지켜보고 응원해준 가족들과 기쁨을 함께 하겠습니다. 저에게 헌법학을 처음 가르쳐주시고 학위논문을 지도해주신 송석윤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부족한 초안이 한 편의 박사학위논문으로 완성되기까지 조언하고 이끌어주신 음선필 교수님, 이효원 교수님, 전종익 교수님, 이우영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학위논문 심사를 앞두고부터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연구원에서 책임연구관으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논문심사를 준비하는 동안 배려해주신 원장님, 부장님, 팀장님과 선배 연구관님들께 감사드립니다. 학위논문을 준비하기 훨씬 전부터 지금까지 학문적인 교류를 이어가고 있는 여러 학우들에게도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20187

김 종 현

 





<목 차>

 


1장 서론 

1절 연구의 배경 

2절 연구의 목적과 구성 

3절 연구의 방법 

4절 선행연구의 개괄 

. 국내 연구 

. 국외 연구 

 

2장 방어적 민주주의 논의의 역사적 전개 

11930년대 방어적 민주주의 이론의 등장 

. 방어적 민주주의 이론의 역사적 배경 

. Loewenstein의 방어적 민주주의 이론 

. 소결 

2절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도입제도화 

. 독일기본법의 제정과 두 차례의 정당해산결정 

. 국제(유럽) 공동체의 설계 

. 호주와 미국에서의 도입여부에 대한 논의 

. 소결 

31970년대 독일에서의 광범위한 적용 

. 독일 내 방어적 민주주의의 일반화 

. 독일에서의 게릴라와 테러리즘 

. 소결 

41990년대 불완전 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수용 

. 다수 신생 민주주의 국가들의 방어적 민주주의 수용 

. 공고한 민주주의 국가들에서의 예외적 활용 

.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방어적 민주주의의 관련성 논의

. 소결 

51990년대 후반 이후 국제규범 확립과 확대적용 

. 911 테러 이후 방어적 민주주의 관련 논의의 활성화 

. 방어적 민주주의의 초국가적인 적용에 관한 논의 

. 정당금지 관련 기준의 확립 및 심판 사례의 집적 

. 종교적 복장의 규제 문제 

. 혐오표현의 문제 심화 

6절 결어 

 

3장 방어적 민주주의에 관한 이론적 검토 

1절 도입 

2절 고전적인 방어적 민주주의론에 대한 평가 

. 파시즘 및 당시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인식의 적절성 

. 방어적 민주주의의 필요성 및 규범적 정당성 

. 규범적 정당성의 근거 제시 

. 방어적 조치의 대상 

. 소결 

3절 오늘날 방어적 민주주의의 규범적 원리 

. 반민주주의자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들의 참여 인정 

. 제한된 상황에서의 예외적 적용 

. 방어의 대상인 민주주의에 대한 엄격한 해석 

. 방어적 민주주의의 비용과 위험성을 벌충하려는 노력 

. 사법부의 통제 

. 엄격한 적용요건 

. 소결 

4절 방어적 민주주의의 적용 범주 설정 

. 논의의 필요성과 몇 가지 고려사항 

. 테러리즘 

. 국가정체성에 대한 도전 

. 혐오표현 

. 위협적인 정당의 결성 및 활동정당금지 

. 소결 

5절 결어 


4장 한국에서의 방어적 민주주의 

1절 논의의 필요성 및 몇 가지 전제 

2절 방어적 민주주의의 채택 여부와 규범적 성격 

. 학설 및 판례의 입장 

. 헌정사를 중심으로 한 검토 

. 소결 

3절 방어적 민주주의와 개별 제도의 관련성 검토 

. 방어적 민주주의와 국가보안법 

. 방어적 민주주의와 테러방지법 

. 소결 

4절 방어적 민주주의와 통합진보당 해산결정 

. 방어적 민주주의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인식

. 방어적 민주주의의 적절한 적용 여부 

. 의원직 상실결정 

. 소결 

5절 결어 

 

5장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88 장승혁, 『사회보험과 사회연대』(경인문화사, 2020) file 295
87 정구진, 『사회통합을 위한 북한주민지원제도』(경인문화사, 2020) file 285
86 양진섭, 『친자관계의 결정』(경인문화사, 2020) file 290
85 이황희, 『애덤 스미스와 국가』(경인문화사, 2019) file 474
84 신혜원, 『저작재산권의 입법형성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428
83 오택림, 『기업 뇌물과 형사책임』(경인문화사, 2019) file 405
82 이영경, 『사업신탁의 법리』(경인문화사, 2019) file 414
81 박성민, 『실손의료보험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389
80 정준혁, 『M&A와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19) file 425
» 김종현, 『방어적 민주주의』(경인문화사, 2018) file 400
78 임상혁, 『퍼블리시티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78
77 나지원, 『FRAND 확약의 효력과 표준특허권 행사의 한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55
76 박재윤, 『독일 공법상 국가임무론과 보장국가론』(경인문화사, 2018) file 386
75 임광섭, 『저작권법상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59
74 김기환, 『상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83
73 이윤제, 『국제범죄의 지휘관 책임』(경인문화사, 2017) file 371
72 백승엽, 『공정거래법상 일감몰아주기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24
71 이상훈, 『유럽민사법 공통참조기준안(DCFR) 부당이득편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59
70 장소영, 『북한 경제와 법 ― 체제전환의 비교법적 분석』(경인문화사, 2017) file 359
69 이헌,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20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