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상계.jpg






<머리말>

 

 

상계란 서로 대립하는 채무를 대등액에서 소멸하는 것이다. 상계는 변제와 마찬가지로 채무소멸원인 중 하나이지만 현실이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채권자 만족의 측면에서 변제와 중대한 차이가 있고 상계를 변제보다 제한하여 인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특히 쉽게 증명할 수 없는 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하여 상계를 하는 경우, 예컨대 교통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의 경우 그 원인과 손해의 정도가 완전히 규명되기 전까지는 채권의 존부와 금액이 정하여지지 못하는데 이러한 확실성이 결여된 채권을 자동채권으로 하여 상계를 하면 상대방은 자신의 채권의 만족을 적시에 얻지 못하고 불필요한 분쟁에 휘말리게 될 것이다.

반면 채무자 입장에서 상계기대를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반대채권이 주채무와 같은 법률관계에서 발생하였거나 이와 동등하게 볼 수 있어 견련관계가 있는 경우가 그러하다. 예컨대 자동차를 할부로 판매하고 판매자가 매매대금채권을 양도한 후, 자동차의 하자로 구매자에게 발생한 손해배상채권은 매매대금채권과 견련관계에 있다고 할 것이고 양 채권을 대상으로 하는 상계는 매매대금채권이 양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허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우리 민법이 명시적으로 상계의 이러한 측면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는 로마법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논의가 된 쟁점이고 상계의 실제 사례를 이해하는 데에도 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비교법적 연구를 바탕으로 상계에 관한 제반 쟁점을 포괄적이고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측면에서 결론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제는 양창수 교수님께서 제안하신 것이고, 내용과 비교법적 방법론에 있어서는 김형석 교수님과 이창현 교수님의 열정적인 조언에 힘입은 바가 매우 크다. 아울러 소중한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남효순 교수님, 최봉경 교수님, 김재형 대법관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끝으로 논문 작성을 성원해 준 가족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




<목 차>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의 제기    

  제2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    


제2장 상계의 의의와 연혁

  제1절 상계의 개념   

    1. 정의   

    2. 채무소멸 원인으로서 상계의 성격   

  제2절 상계의 역사적 전개   

    1. 로마법상 상계   

    2. 프랑스법계(the romanic legal system)에서의 상계   

    3. 독일법계(the Germanic Legal Systems)에서의 상계   

    4. 소결   


제3장 상계의 요건

  제1절 서   

  제2절 비교법적 검토   

    1. 프랑스   

    2. 이탈리아   

    3. 독일   

    4. 오스트리아   

    5. 스위스   

    6. 영국   

    7. 일본   

    8. 공통참조기준초안(DCFR)   

    9. 소결   

  제3절 우리나라의 논의 및 검토   

    1. 채권의 상호대립성   

    2. 채무 목적의 동종성   

    3. 이행기 도래   

    4. 확실성 요건(?)   

    5. 상계의 의사표시  

  제4절 상호대립성이 없는 경우의 상계  

    1. 서  

    2. 유형별 고찰  

    3. 제3자 상계(타인이 부담하는 채무에 대한 상계)  


제4장 상계의 제한

  제1절 서  

  제2절 채무의 성질에 의한 제한  

    1. 항변권부 채권(자동채권)  

    2. 특정한 목적이 있는 채권  

  제3절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한 제한  

    1. 서  

    2. 외국에서의 논의  

    3. 우리나라의 논의  

  제4절 법률의 규정에 의한 제한  

    1. 고의로 인한 불법행위채권(수동채권)  

    2. 압류금지채권(수동채권)  

    3. 임금채권(수동채권)  

  제5절 국가채권과 상계  

    1. 서  

    2. 비교법적 고찰  

    3. 우리나라의 논의  

    4. 소결  

  제6절 채무의 견련관계가 상계에 미치는 영향  

    1. 문제제기  

    2. 비교법적 검토  

    3. 민법 개정 시안  

    4. 견련관계의 기준  

    5. 견련관계가 인정될 경우  

    6. 견련관계 유형  

    7. 충당 및 공제와의 구별  


제5장 압류 또는 채권양도와 상계의 경합

  제1절 압류와 상계의 경합  

    1. 서  

    2. 비교법적 논의  

    3. 우리나라의 학설과 판례의 태도  

    4. 압류 이전에 반대채권의 발생 원인이 있은 경우  

    5. 전세권을 목적으로 한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제2절 상계예약과 압류의 경합  

    1. 문제제기  

    2. 비교법적 고찰  

    3. 우리나라의 학설과 판례의 태도  

    4. 검토  

    5. 선행상계예약  

    6. 상호계산의 경우  

  제3절 채권양도와 상계의 경합  

    1. 문제제기  

    2. 비교법적 고찰  

    3. 우리나라의 학설과 판례의 태도  

    4. 장래 발생할 채권을 양도한 경우  

    5. 일부 채권양도의 경우 법률관계  


제6장 상계의 효과

  제1절 소급효  

    1. 서  

    2. 비교법적 고찰  

    3. 우리나라의 논의  

  제2절 상계충당  

    1. 서  

    2. 비교법적 고찰  

    3. 우리나라의 논의  

    4. 검토  


제7장 상계권의 남용

  제1절 서  

  제2절 상계권의 남용 일반  

    1. 비교법적 고찰  

    2. 우리나라의 학설과 판례의 태도  

    3. 검토  

  제3절 착오 송금의 경우  

    1. 문제제기  

    2. 비교법적 고찰  

    3. 우리나라의 학설과 판례의 태도  

    4. 검토  


제8장 소송절차상 상계

  제1절 서  

  제2절 상계항변이 각하된 경우 등  

    1. 문제제기  

    2. 비교법적 고찰  

    3. 우리나라의 논의  

    4. 검토  

  제3절 집행절차상 상계(표준시 후의 형성권 행사)  

    1. 문제제기  

    2. 비교법적 고찰  

    3. 우리나라의 논의  

    4. 검토  

  제4절 기타 문제  

    1. 상계항변과 중복제소  

    2. 시효이익의 포기  

    3. 소송비용  


제9장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88 장승혁, 『사회보험과 사회연대』(경인문화사, 2020) file 295
87 정구진, 『사회통합을 위한 북한주민지원제도』(경인문화사, 2020) file 285
86 양진섭, 『친자관계의 결정』(경인문화사, 2020) file 290
85 이황희, 『애덤 스미스와 국가』(경인문화사, 2019) file 474
84 신혜원, 『저작재산권의 입법형성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428
83 오택림, 『기업 뇌물과 형사책임』(경인문화사, 2019) file 405
82 이영경, 『사업신탁의 법리』(경인문화사, 2019) file 414
81 박성민, 『실손의료보험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389
80 정준혁, 『M&A와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19) file 425
79 김종현, 『방어적 민주주의』(경인문화사, 2018) file 400
78 임상혁, 『퍼블리시티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78
77 나지원, 『FRAND 확약의 효력과 표준특허권 행사의 한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55
76 박재윤, 『독일 공법상 국가임무론과 보장국가론』(경인문화사, 2018) file 386
75 임광섭, 『저작권법상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59
» 김기환, 『상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83
73 이윤제, 『국제범죄의 지휘관 책임』(경인문화사, 2017) file 371
72 백승엽, 『공정거래법상 일감몰아주기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24
71 이상훈, 『유럽민사법 공통참조기준안(DCFR) 부당이득편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59
70 장소영, 『북한 경제와 법 ― 체제전환의 비교법적 분석』(경인문화사, 2017) file 359
69 이헌,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20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