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연구.jpg





<서 문>

 

 

이 책은 20168월 필자가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논문인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이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필자는 20122월 특허법원에 부임하게 되면서 특허 사건을 집중적으로 다루어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런데 특허법원에 근무하다 보니 상당수의 특허 사건에서 진보성 요건이 다투어지고, 진보성 유무가 당해 사건의 결론을 좌우하게 되는 결정적인 쟁점이 될 때가 많음을 알게 되었다. 특허 사건을 다루면서 습득하게 된 지식과 경험을 사장시키지 않고 나름대로 정리해 보아야겠다는 생각으로 진보성을 박사학위논문 주제로 선택하게 되었다.

특허법에서 진보성 판단은 워낙 어렵고 방대한 주제인 것을 스스로 잘 알고 있었던 까닭에 주제를 선택할 당시부터 무모한 도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였고, 실제 논문을 작성하면서도 벽에 부딪힐 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다. 다만, 여러 분들의 도움 덕분으로 무사히 박사학위논문을 완성하였고, 이렇게 책으로 출간되기에 이르렀다.

이 책에 부족한 점이 많이 있음을 스스로 잘 알고 있지만, 이는 전적으로 필자의 과문함과 게으름의 결과일 뿐이고, 이 책이 무언가 의미 있는 것을 남긴다면 그것은 오로지 다음과 같은 분들의 도움과 배려가 있었기에 가능하였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석사과정에 들어와 지적재산권법을 전공한 이래로 항상 용기와 격려를 아끼지 않으시고 세심한 배려로 논문을 지도해 주신 정상조 지도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심사위원장을 맡으셔서 깊이 있고 날카로운 질문을 통해 더 나은 논문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신 권영준 교수님과 논문 심사를 흔쾌히 맡아 주시고 논문의 완성도를 위해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박준석, 이상정, 심영택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대법원 지적재산권조에서 함께 동고동락하며 많은 가르침을 주시는 김창권, 구민승, 김정아, 손천우 재판연구관님께 깊이 감사드리고, 작년까지 함께 근무하였던 박태일 부장판사님과 송현정 판사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특허법원에서 근무하는 동안 훌륭한 가르침을 주시고 이끌어주셨던 강영호 전 특허법원장님과 배광국, 배준현, 한규현, 이정석 부장판사님께 깊이 감사드리고, 특허법원에서 함께 근무하면서 많은 깨달음과 도전을 주었던 동료 판사님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판사로서 바쁜 와중에서도 학업까지 병행하느라 남편과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함에도 늘 지지와 응원을 아끼지 않는 사랑하는 아내와 아들, 딸과도 이 기쁨을 함께 하고자 한다. 아울러 부족한 자식을 위해 늘 기도하시는 부모님과 항상 아낌없이 후원해 주시는 장인어른, 장모님께도 지면을 빌어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

 


201700

이헌






<목 차>

 

 

1 서 론

1절 연구의 배경 

2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2장 외국의 진보성 판단 기준 

1절 도입 

2절 미국 

. 미국 특허법 제103 

. 비자명성 요건과 관련한 미국 판례의 변천 과정 

. 자명성 요건에 관한 검토 

. 요약 및 시사점 

3절 유럽 

. 유럽특허제도의 개요 

. EPC 56 

. 진보성 판단의 구체적인 기준 

. 요약 및 시사점 

4절 일본 

. 일본 특허법 

. 진보성 판단의 기본 원칙 

. 구체적인 진보성 판단 기준 

. 일본 법원의 주요 진보성 판단 사례 

. 요약 및 시사점 


3장 청구항 해석 

1절 도입 

. 청구항 해석의 의의 및 필요성 

. 청구항 해석의 두 가지 국면 

2절 청구항 해석 기준 

. 진보성 판단 대상의 확정 

. 판례에 대한 검토 

3절 청구항 형식에 따른 해석 기준 

. 독립청구항 및 종속청구항 

. 기능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는 청구항 

.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 청구항 

 

4장 선행기술의 특정 

1절 도입 및 논의의 순서 

2절 선행기술의 자격 요건 

. 의의 및 연혁 

. 시간적 기준 

. 장소적 기준 

. 공지(公知), 공연 실시(公然 實施)된 발명 

. 반포된 간행물에 게재된 발명 

.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공중이 이용할 수 있는 발명 

3절 선행기술과 해당 발명의 기술분야 

. 의의 

. 판단 기준 

. 구체적 판단 사례 

4절 명세서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기술 

. 의의 

. 비교법적 검토 

. 판례의 입장 

5절 선행기술이 미완성 발명인 경우 

. 의의 

. 판례의 입장 


5장 통상의 기술자와 그 기술수준 

1절 도입 및 논의의 순서 

2절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의 통상의 기술자 

. 통상의 기술자의 의미 

. 통상의 기술자의 국적 

. 통상의 기술자의 인원 수 등 

3절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수준 

. 문제의 제기 

. 외국의 기준 

.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수준 판단 시 고려요소 

4절 명세서 기재 요건 판단 국면에서의 통상의 기술자 

. 문제의 소재 

. 이원설 

. 일원설 

. 외국의 경우 

. 검토 

 

6장 용이 도출 여부 판단 

1절 도입 및 논의의 순서 

2절 특허발명과 선행기술의 대비 

. 문제의 소재 

. 목적구성효과 대비 방식 

. 종래 방식의 문제점 

. 검토 

3절 진보성 판단 절차 및 방법 

. 특허청 심사 기준 

. 대법원 판례의 기준 

 

7장 진보성 판단 방법의 개선 

1절 도입 

2절 진보성 판단 방법의 개선 방안 

. 논의의 순서 

. 발명의 진보성 판단과 기술적 과제 

. 주인용발명에서 출발하는 진보성 판단 방식 

. 결합의 용이성 등에 관한 판단 

. 발명의 진보성 판단과 효과 

. 발명의 진보성 판단과 2차적 고려사항 

3절 용이성 판단 시 사후적 고찰 방지 방안 

. 문제의 소재 

. 선행기술의 범위 

. 특허발명과 선행기술의 대비 

.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수준 인정 

. 결합의 용이성 판단 

. 2차적 고려사항에 대한 검토 

 

8장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88 장승혁, 『사회보험과 사회연대』(경인문화사, 2020) file 295
87 정구진, 『사회통합을 위한 북한주민지원제도』(경인문화사, 2020) file 285
86 양진섭, 『친자관계의 결정』(경인문화사, 2020) file 290
85 이황희, 『애덤 스미스와 국가』(경인문화사, 2019) file 474
84 신혜원, 『저작재산권의 입법형성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428
83 오택림, 『기업 뇌물과 형사책임』(경인문화사, 2019) file 405
82 이영경, 『사업신탁의 법리』(경인문화사, 2019) file 414
81 박성민, 『실손의료보험 연구』(경인문화사, 2019) file 389
80 정준혁, 『M&A와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19) file 425
79 김종현, 『방어적 민주주의』(경인문화사, 2018) file 400
78 임상혁, 『퍼블리시티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78
77 나지원, 『FRAND 확약의 효력과 표준특허권 행사의 한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55
76 박재윤, 『독일 공법상 국가임무론과 보장국가론』(경인문화사, 2018) file 386
75 임광섭, 『저작권법상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8) file 359
74 김기환, 『상계』(경인문화사, 2018) file 383
73 이윤제, 『국제범죄의 지휘관 책임』(경인문화사, 2017) file 371
72 백승엽, 『공정거래법상 일감몰아주기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24
71 이상훈, 『유럽민사법 공통참조기준안(DCFR) 부당이득편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59
70 장소영, 『북한 경제와 법 ― 체제전환의 비교법적 분석』(경인문화사, 2017) file 359
» 이헌, 『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17) file 320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