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유언의 해석.jpg




시작하며




본서는 유언의 해석방법론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언은 상대방 없는 법률행위로서, 그리고 요식행위로서 매우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타의 법률행위에 비해 학문적 관심의 대상으로부터 오랫동안 비켜나 있었다. 그러나 피상속인의 재산 가치가 증대하고 사후(死後)에까지 자신의 재산을 자신의 의사대로 처분하고자 하는 욕구가 상승함에 따라 유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지금, 유언의 해석에 관한 연구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게 되었다. 일반적인 법률행위에 관한 해석방법론을 그대로 유언의 해석에 적용하는 것은 개별 사안에서 묵과할 수 없는 부정의를 가져올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 일반적인 해석방법론으로부터 이탈하여 유언에 관한 분쟁이 발생할 때마다 주먹구구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분쟁 당사자들의 예측가능성을 해한다. 따라서 일반적 해석방법론을 전제로 유언에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이를 수정함으로써 누구나 납득할 수 있고 적용할 수 있는 유언의 해석방법론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서는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언의 해석에 관한 연혁적 고찰과 비교법적 고찰로부터 출발한다(제2장). 이러한 고찰은 현재 유언의 해석영역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 소위 「意思도그마(Dogma)」임을 보여준다. 본서는 의사도그마가 우리 민법상 유언의 해석에 있어서도 관철될 수 있으며, 또한 관철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제3장), 이를 전제로 구체적인 유언의 해석방법론을 제시한다(제4장). 유언의 해명적 해석 • 보충적 해석 및 오표시 무해의 원칙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논의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을 통해 도출된 피상속인의 의사가 유언에 전혀 드러나지 않고 있는 경우에까지 이를 관철시키는 것이 과연 유언의 요식행위로서의 성격에 부합하는 것인지 여부를 검토한다(제5장). 마지막으로 유언의 해석이 문제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안들을 놓고 위에서 제시한 유언의 해석방법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이를 해결함으로써 본서의 내용이 추상적인 논변 일변도로만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유언의 해석방법론을 보다 발전 •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유언의 해석이라는 주제를 놓고 박사학위 논문을 쓸 때 향후의 연구과제로 남겨 놓았던 영미법상 유언의 해석에 관한 논의를 본서에도 담지 못한 것은 여전한 아쉬움이다. 영미법과의 비교법적 연구를 제대로 마치고 나면 지금의 연구결과와는 전혀 다른 결론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는 의구심이 계속 마음의 짐으로 남아 있음을 자백하지 않을 수 없다. 유언의 해석에 관한 국내의 연구가 전무(全無)하다시피 한 상황에서 일반론을 새롭게 창출해내고 또한 이를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하여 과연 그 일반론이 적합한 것인지를 검토한 후 이를 수정하는 작업을 끝없이 되풀이 하는 것은 도대체 필자의 능력 밖에 있는 무모한 도전이었음을 새삼 깨닫는 과정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무지 끝나지 않을 것 같았던 논문을 끝낼 수 있었던 것은 난관에 봉착할 때마다 지혜를 빌려준 훌륭한 논문의 저자들, 길을 잃고 헤멜 때마다 명쾌함으로 이끌어 주신 스승 윤진수 교수님, 그리고 무엇보다도 언제나 내편이 되어 준 고마운 남편 덕분이다. 교정 작업은 흥익대학교 법과대학 대학원 김국진 군이 수고해 주었다. 이 분들께 감사드린다.



2010년 5월 

현소혜




< 목 차 >

 

 

1장 머리말 

1硏究意義

2硏究方法範圍 

3本書構成 

 


2意思도그마의 歷史的 展開 

1절 일반론 : 文言에서 意思로 

2意思도그마의 胎動 : 고로마 시대와 공화정 후기 시대 

  Ⅰ. 로마시대 

  Ⅱ. 共和政後期 시대(前古典期 시대) 

3意思도그마의 發展 : 원수정 시대 

  Ⅰ. 원수정 시대 유언의 방식과 내용 

  Ⅱ. 원수정 시대의 유언의 해석 

4意思도그마의 勝利 : 전주정시대 

  Ⅰ. 전주정시대 유언의 방식과 내용 

  Ⅱ. 전주정시대의 유언의 해석 

5意思도그마의 現在 

  Ⅰ. 개관 

  Ⅱ. 독일법 

  Ⅲ. 영미법 

  Ⅳ. 일본법 

 

 

3 遺言解釋目的 

1法律行爲 解釋目的意思表示 本質論 

2遺言法的 性格에 비추어 본 유언 해석의 목적 

  Ⅰ. 유언 해석의 목적에 관한 전통적 견해 

  Ⅱ. 遺言法的 性格 

  Ⅲ. 요약 

3意思表示 本質論에 비추어 본 유언 해석의 목적 

  Ⅰ. 유언 해석의 목적에 관한 새로운 견해 

  Ⅱ. 遺言者現實的 意思探究를 목적으로 보는 견해 

  Ⅲ. 遺言에 의해 表示意思의 탐구를 목적으로 보는 견해 

  Ⅳ. 요약 

4現行民法의 태도에 비추어 본 유언 해석의 목적 

  Ⅰ. 우리 민법의 개별 조문에 비추어 본 유언 해석의 목적 

  Ⅱ. 상속의 형태에 비추어 본 유언 해석의 목적 

  Ⅲ. 상속법상 개별조문에 비추어 본 유언 해석의 목적 

5小結 

 

 

4遺言解釋方法 

1遺言解明的 解釋 

  Ⅰ. 遺言解明的 解釋對象 

  Ⅱ. 遺言解明的 解釋方法 

  Ⅲ. 遺言解明的 解釋限界 

  Ⅳ. 요약 

2遺言補充的 解釋 

  Ⅰ. 유언의 보충적 해석의 許容 與否 

  Ⅱ. 유언의 보충적 해석의 方法 

  Ⅲ. 유언의 보충적 해석의 限界 

  Ⅳ. 요약 

3절 특수문제 : 誤表示 無害原則과 관련하여 

  Ⅰ. 오표시 무해의 원칙의 意義 

  Ⅱ. 오표시 무해의 원칙의 適用範圍 

  Ⅲ. 遺言解釋과 오표시 무해의 원칙 

  Ⅳ. 요약 

4小結 

 

 

5遺言解釋方式主義 

1問題所在 

  Ⅰ. 유언의 해석과 방식주의간의 관계 

  Ⅱ. 方式主義目的 

  Ⅲ. 遺言方式目的 

2절 소위 暗示理論의 소개 

  Ⅰ. 암시이론의 意義 

  Ⅱ. 암시이론의 根據 

  Ⅲ. 암시이론의 類型 

  Ⅳ. 암시이론의 修正 

3절 암시이론에 대한 批判 

  Ⅰ. 方式目的實現 측면에서 본 비판 

  Ⅱ. 法的安定性의 측면에서 본 비판 

  Ⅲ. 意思主義的 입장에서 본 비판 

  Ⅳ. 審査段階分離 측면에서 본 비판 

4小結 

 

 

6具體的 事案解決 

1절 유언 해석의 현황과 사안의 구성 

2包括的 遺贈相續人指定 

  Ⅰ. 문제의 소재 

  Ⅱ. 相續人指定 문구가 포함된 유언의 해석 

  Ⅲ. 受遺者特定되지 않은 유언의 해석 

3特定物相續 

  Ⅰ. 문제의 소재 

  Ⅱ. 特定物相續에 관한 유언의 해석 

  Ⅲ. 法定相續分超過特定物相續 유언의 해석 

4北韓地域 所在 財産에 관한 유언의 해석 

  Ⅰ. 문제의 소재 

  Ⅱ. 독일에서의 해결방안 

  Ⅲ. 北韓地域 所在 財産에 관한 유언의 補充的 解釋 

5절 기타 문제 

  Ⅰ. 先遺贈後遺贈 

  Ⅱ. 遺言 引用의 효력 

  Ⅲ. 錯誤에 의한 遺言 

 

 

7結論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28 조성국, 『독점규제법 집행론』(경인문화사, 2010) file 172
27 구본진, 『미술가의 저작인격권』(경인문화사, 2010) file 187
26 이상덕, 『營造物의 개념과 이론』(경인문화사, 2010) 183
» 현소혜, 『유언의 해석』(경인문화사, 2010) file 190
24 이철우, 『서양의 세습가산제』(경인문화사, 2010) file 176
23 정진경, 『부당해고의 구제』(경인문화사, 2009) file 177
22 정철, 『중국의 사법제도』(경인문화사, 2009) file 213
21 이재민, 『WTO 보조금 협정상 위임·지시 보조금의 법적 의미』(경인문화사, 2008) file 163
20 최준혁, 『중지미수의 이론』(경인문화사, 2008) file 176
19 채성국, 『중국의 계약책임법』(경인문화사, 2008) 193
18 김수용, 『건국과 헌법』(경인문화사, 2008) file 201
17 이재호, 『국내세법과 조세조약』(경인문화사, 2007) file 181
16 박준석, 『The Concept of Authority』(경인문화사, 2007) file 192
15 박철희, 『증권집단소송과 화해』(경인문화사, 2007) file 157
14 김영희, 『형성권 연구』(경인문화사, 2007) file 160
13 여하윤, 『채권자대위원 연구』(경인문화사, 2007) file 175
12 박성수, 『특허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액의 산정』(경인문화사, 2007) file 176
11 조지만, 『조선시대의 형사법 ― 대명률과 국전 ―』(경인문화사, 2007) file 198
10 최문희, 『이사의 손해배상책임의 제한』(경인문화사, 2007) file 172
9 김대인, 『행정계약법의 이해』(경인문화사, 2007) file 198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