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국내세법과 조세조약.jpg




 머리말


 

이 책은 올해 2월에 나온 저자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학위논문인 국내법에 의한 조세조약의 배제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그 이후에 발간된 논문을 추가하는 등 수정보완한 것입니다.

같은 주제를 채택한 것은, 조세조약과 국내세법이 충돌하는 경우 조세조약은 국내세법에 대하여 특별법관계에 있으므로 조세조약이 우선하고, 따라서, 국내세법이 조세조약에 우선할 수 없다는 생각이 타당한지에 대하여 의문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의문에 대하여, 국내세법이 조세조약에 우선하여 적용되는 상황(Treaty Override)은 미국과 같이 신법우선의 원칙을 채택하고 있는 영미법계 국가에서는 나타날 수 있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특별법우선의 원칙을 채택하고 있는 대륙법계 국가에서는 나타날 수 없다는 답변을 종종 접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답변에 의하여는 의문이 풀리지 않았습니다. 차라리, 미국은 힘이 센 나라니까 국내법으로 조약을 배제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힘이 없는 나라니까 그러한 국내법에 의한 조약배제가 현실적으로생길 수 없다는 답변이 한결 설득력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은 왜 힘으로(국내법으로) 조약을 배제할까라는 의문이 여전히 남았습니다. 적어도 미국이라는 나라가 힘이 세다는 것을 그냥 과시(誇示)’하기 위해서 조약을 배제하는 국내법을 만들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의문의 초점은 과연 미국이 국내법으로 조약을 배제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조약배제 국내법의 입법목적)에 모아졌습니다.

이에 대해 연구해 본 결과, 주된 이유는 조세조약을 이용한 국제적 조세회피행위(Treaty Shopping)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Treaty Shopping의 허용은, 국가 입장에서 보면 세수를 다른 나라에 부당히 빼앗기는 것이므로 그러한 침탈행위를 국내법으로 막자는 것은 어찌 보면 국가의 당연한 의무라는 생각마저 들었습니다. 여기서 국내법으로 규제하지 말고 조세조약을 개정하면 되지 않느냐라는 반론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조세조약은 양자조약(bilateral treaty)의 꼴로 이루어지는 까닭에 한 국가를 기준으로 보면 수 십 여개에 이르기 때문에 한꺼번에 여러 개의 조세조약을 개정하는 일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마련입니다. 그 뿐만 아니라, 상대국가가 개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Treaty Shopping 방지와 양자 간 조세조약의 꼴이 Treaty Override를 낳는 근본적인 원인이고, 이러한 상황에 처함은 우리나라나 미국이 다를 바가 없다는 생각에 이르렀습니다.

위와 같은 일련의 생각들을 논증하고자 한 것이 바로 이 책입니다. 이 책이 영미법과 대륙법, 신법우선의 원칙과 특별법우선의 원칙 등 도그마적 사고에서 벗어나 Treaty Override라는 법 현상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 책을 출간하면서 지도교수님이신 서울법대 이창희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사랑하는 아내와 곧 태어날 아기와도 이를 기념하고자 합니다.

 

2007. 9.

저자 이재호 

   





<목 차>

 

 

1서 론

1절 연구의 목적 

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장 미국의 Treaty Override 판례이론

1절 서 설 

21855Taylor v. Morton 판결: 이론적 근거 제시 

. 사실관계 및 쟁점 

. 연방대법원(내지는 원심법원)의 입장 

1. 헌법에 조약과 법률의 우선순위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는 점 

2. 국내법의 문제라는 점 

3. 조약배제 여부는 법원이 판단할 문제가 아니라는 점 

4. 조약배제권한은 의회에게 귀속된다는 점 

5. 1832년 통상조약이 비자기집행적 조약이라는 점 

. 대상판결의 검토 

1. 이론적 근거 측면 

2. 요건 측면 

31870The Cherokee Tobacco 판결: 최초의 연방대법원 판결 

. 사실관계 및 쟁점 

. 연방대법원의 입장 

1. 1쟁점 

2. 2쟁점 

. 대상판결의 검토 

1. 이론적 근거 측면 

2. 요건 측면 

41880년대 판결: Treaty Override 원칙의 확립 

. 1884Chew Heong v. United States 판결 

1. 사실관계 및 쟁점 

2. 연방대법원의 입장 

3. 대상판결의 검토 

. 1884Head Money Cases 판결 

1. 사실관계 및 쟁점 

2. 연방대법원의 입장 

3. 대상판결의 검토 

. 1888Whitney v. Robertson 판결 

1. 사실관계 및 쟁점 

2. 연방대법원의 입장 

3. 대상판결의 검토 

. 1889Botiller v. Dominguez 판결 

1. 사실관계 및 쟁점 

2. 연방대법원의 입장 

3. 대상판결의 검토 

. 1889The Chinese Exclusion Case 판결 

1. 사실관계 및 쟁점 

2. 연방대법원의 입장 

3. 대상판결의 검토 

51933Cook v. United States 판결: 요건의 명확화 

. 사실관계 및 쟁점 

. 연방대법원의 입장 

. 대상판결의 검토 

1. 대상판결의 의의 

2. 미국의회의 비판적 입장 

3. 의회 의도의 요부 

6절 소결론 

 

3장 미국세법의 Treaty Override 실제

1절 서 설 

21986년 이전의 입법연혁: Outbound 중심의 Treaty Override 

. 1962Revenue Act 

1. CFC 규정 

2. Gross-up 규정 

. 1975Tax Reduction Act 

1. 관련 규정 

2.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3. 특정외국세액공제제한 규정의 우선적 적용 여부 

. 1976Tax Reform Act 

1. 관련 규정 

2.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3. 국가별한도폐지 규정의 우선적 적용 여부 

. 1980Foreign Investment in Real Property Tax Act 

1. 관련 규정 

2.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3. 부동산주식 규정의 우선적 적용 여부 

. 1984Deficit Reduction Act 

1. 미국원천소득간주 규정 

2. 묶음주식 규정 

31986년 이후의 입법연혁: Inbound 중심의 Treaty Override 

. 1986Tax Reform Act 

1. 최저한세외국세액공제 규정 

2. 외국세액공제한도분리 규정 

3. 지점세 규정 

4. 이중거주법인 규정 

. 1989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1. 과소자본세제 규정 

2. 자료제출의무 규정 

. 1993Omnibus Budget Reconciliation Act 

1. 관련 규정 

2.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3. 다수당사자금융 규정의 우선적 적용 여부 

. 1996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1. 관련 규정 

2.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3. 국외이전조세 규정의 우선적 적용여부 

. 1997Taxpayer Relief Act 

1. 관련 규정 

2.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3. 혼합실체 규정의 우선적 적용 여부 

. 2004American Jobs Creation Act 

1. 관련 규정 

2.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3. 전도방지 규정의 우선적 적용 여부 

4절 미국의 Treaty Override 조세정책에 대한 찬반양론 

.  

. 비판론 

1. 헌법위반 

2. 국제법위반 

. 옹호론 

1. 국내세법 및 정책의 변화에 따른 조약개정의 필요성 

2. 조약의 기본목적과 조약남용에 대한 대책 관점에서의 정당성 

. 평 가 

5절 소결론 

 

4장 다른 나라에서의 Treaty Override 논의

1절 서 설 

2절 주요국의 조세조약과 국내세법의 관계에 관한 입법례 

. 영 국 

1. 조세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그 지위 

2. 조세조약과 법률의 충돌 시 해석원칙 

3. Treaty Override 입법례 

. 독 일 

1. 조세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그 지위 

2. 조세조약과 법률의 충돌 시 해석원칙 

3. Treaty Override 입법례 

. 프랑스 

1. 조세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그 지위 

2. 조세조약과 법률의 충돌 시 해석원칙 

3. Treaty Override 입법례 

. 일 본 

1. 조세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그 지위 

2. 조세조약과 법률의 충돌 시 해석원칙 

3. Treaty Override 입법례 

3절 기타 국가의 Treaty Override 사례 

. 스위스 

. 덴마크 

. 오스트리아 

. 호 주 

4절 실질과세원칙과 조세조약의 상충문제: OECD 입장과 그 비판 

. 문제의 제기 

. OECD의 입장 

. OECD 입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OECD가 제시한 직접적 논거의 문제점 

2. 미국의 Treaty Override 조세정책에 대한 OECD의 기존 반대입장과의 충돌 

3. 실질개념에 관한 국가 간 차이존재 

4. 조약상 명시적 실질규정의 예시규정화 

. 정책적 함의 

1. OECD의 상반된 입장에 대한 평가 

2. OECD와 미국의 Treaty Override 조세정책의 비교 

3. 대안으로서의 다자조약 

5절 소결론 

 

5장 우리나라: 국내세법과 조세조약의 관계

1절 서 설 

2절 국내법에 의한 조세조약의 배제 가부 

.  

. 조세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그 지위 

1. 조세조약의 국내적 효력 

2. 조세조약의 국내법적 지위 

. 조세조약과 국내세법의 충돌 시 해결방안 및 Treaty Override 가능성 

1. 종전의 논의와 그 문제점 

2. 입법부의 의도에 기초한 해석 ― 미국의 Treaty Override 원칙 원용

3. Treaty Override 원칙의 도입 반대논거에 대한 검토 

4. Treaty Override 원칙의 원용시 국회의 조약배제의도 인정방법 

.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 해석론 

3절 국내세법에 나타나는 Treaty Override 

. 검토의 범위 

1. 세법규정의 개관 

2. 검토의 범위 

. 과소자본세제 규정 

1. 관련 규정 

2.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3. 과소자본세제 규정(배당간주 규정)의 우선적 적용 여부 

. 조세피난처세제 규정 

1. 관련 규정 

2.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3. 조세피난처세제 규정의 우선적 적용 여부 

. 조약남용방지 규정 

1.  

2. 관련 규정 

3. 조세조약과의 충돌 여부 

4. 실질과세원칙의 우선적 적용 여부 

4절 소결론 

 

6장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28 조성국, 『독점규제법 집행론』(경인문화사, 2010) file 172
27 구본진, 『미술가의 저작인격권』(경인문화사, 2010) file 187
26 이상덕, 『營造物의 개념과 이론』(경인문화사, 2010) 183
25 현소혜, 『유언의 해석』(경인문화사, 2010) file 190
24 이철우, 『서양의 세습가산제』(경인문화사, 2010) file 176
23 정진경, 『부당해고의 구제』(경인문화사, 2009) file 177
22 정철, 『중국의 사법제도』(경인문화사, 2009) file 213
21 이재민, 『WTO 보조금 협정상 위임·지시 보조금의 법적 의미』(경인문화사, 2008) file 163
20 최준혁, 『중지미수의 이론』(경인문화사, 2008) file 176
19 채성국, 『중국의 계약책임법』(경인문화사, 2008) 193
18 김수용, 『건국과 헌법』(경인문화사, 2008) file 201
» 이재호, 『국내세법과 조세조약』(경인문화사, 2007) file 181
16 박준석, 『The Concept of Authority』(경인문화사, 2007) file 192
15 박철희, 『증권집단소송과 화해』(경인문화사, 2007) file 157
14 김영희, 『형성권 연구』(경인문화사, 2007) file 160
13 여하윤, 『채권자대위원 연구』(경인문화사, 2007) file 175
12 박성수, 『특허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액의 산정』(경인문화사, 2007) file 176
11 조지만, 『조선시대의 형사법 ― 대명률과 국전 ―』(경인문화사, 2007) file 198
10 최문희, 『이사의 손해배상책임의 제한』(경인문화사, 2007) file 172
9 김대인, 『행정계약법의 이해』(경인문화사, 2007) file 198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