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남북교류협력의 규범체계.jpg

 


<머리말>



남북통일이란 남한과 북한이라는 두 개의 정치적 실체를 단일한 정치체제로 통합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심리적 통합을 통하여 새로운 민족공동체를 창조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새로운 민족공동체는 나 자신과 나의 가족, 친구, 이웃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공동체이며, 규범적으로는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보장되는 사회입니다. 통일은 개념본질적으로 원래는 하나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남북한은 원래 하나의 한()민족이기 때문에 통일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때 주의하여야 할 것은 통일의 정당성과 당위성은 닫힌 민족주의가 아닌 열린 민족주의로부터 나온다는 것입니다.

분단국가에서 태어난 는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한시도 통일로부터 자유로운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통일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기가 어려웠습니다. 통일문제의 출발점은 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입니다. 내가 발을 딛고 존재하고 있는 사회가 현재 어떠한 모습인지, 어떠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미래를 지향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만 지금 당장 내가 무엇을 해야 할지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세계화와 지역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21세기에 남북한 관계도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남북한 관계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남북교류협력을 어떻게 진행하여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에 필요한 준비를 하여야 합니다.

저자는 검찰 공안부와 법무부 특수법령과에서 검사로 근무하면서 남북통일에 대하여 실천적 고민을 하게 되었으며, 통일국가인 독일베트남예멘, 분단국가인 중국대만키프로스, 체제전환국가인 러시아체코 등 동구유럽국가들, 그리고 북한 지역도 10여 차례 다녀오는 소중한 경험을 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는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보장되는 한민족공동체를 지향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남북한 관계의 현실은 평화통일을 위하여 남북교류협력을 요구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적실성 있는 규범체계는 마련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남북분단의 원인에서 알 수 있듯이 남북한 관계는 민족 내부문제이자 국제문제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남북한은 각각 규범적으로는 상대방을 인정할 수 없으면서도 현실적으로는 평화통일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대방의 실체를 인정하고 교류협력을 진행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여기에 남북한 관계를 규율하는 규범체계를 마련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 책은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규범체계를 헌법학적으로 연구한 결과물로서, 저자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학위논문인 남북한특수관계론의 헌법학적 연구를 보완정리한 것입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이념적 목표로 설정하고, 남북한 관계를 그 조망하는 관점과 규범영역에 따라서 구분하여 남북교류협력을 규율하는 규범체계를 모색하였습니다.

이 책을 출간하면서 부모님과 성낙인 교수님정종섭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사랑하는 아내와 예인, 의인이와도 함께 이를 기념하고자 합니다.

 


2006. 9

저자 李孝元





<차 례>

 

 

1장 서 론

1. 남북통일과 남북한 관계의 규범적 의의 

2.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규범체계의 부재 

3. 남북한특수관계론 

4. 남북한특수관계론의 전제 

 

 

2장 헌법상 남북한 관계의 규범적 의미

. 헌법규정의 변화 

1. 대한민국헌법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헌법 

. 헌법규범적 의미 

1. 헌법규정 변화에 대한 평가 

2. 통일의 헌법규범적 의미 

3. 북한헌법상 남북한 관계와 통일에 대한 기본원칙 

 

 

3장 남북한특수관계론의 헌법규범성

. 남북한 분단과 특수관계 

1. 남북한 관계에 대한 세 가지 관점 

2. 남한과 북한의 분단 

3. 특수관계에 대한 규범적 인식 

4. 남북연합과 연방제 

. 특수관계의 비교법적 고찰 

1. 영국의 영연방 국가와의 내부관계(inter-se Doctrine) 및 아일랜드와의 특별관계(special relationship) 

2. 통일 전 동서독의 선린관계(gutnachbarliche Beziehung) 

3. 중국대만의 양안관계 

4. 기타 사례(베트남, 예멘, 키프로스) 

. 헌법적 근거 

1. 헌법 제3조와 제4조의 규범조화적 해석 

2. 남북합의서 

. 구체적 내용 

1. 국내법적 규범 영역 

2. 국제법적 규범 영역 

3. 규범 영역에 따른 법규범의 적용 

. 규범체계상 특성 

1. 국내법적 규범체계 

2. 헌법적 규범 

3. 민족자결성(한민족의 자율의사 존중) 

4. 상호주의(대등성동등성) 

5. 통일지향의 잠정성(임시성한시성) 

6. 동태적 발전성(가변성개방성) 

 

 

4장 남북한특수관계론의 국내법적 적용

. 북한 주민의 법적 지위 

1. 북한 주민의 국내법적 지위 

2. 남북한특수관계론의 적용 

3. 북한이탈주민의 특별한 지위 

. 북한법률의 국내법적 효력 

1. 남북교류협력과 법률의 충돌 

2. 남북합의서와 관련법률 규정 

3. 남북한특수관계론의 적용 

4. 규범적 성격 

5. 적용상 한계 

. 남북한 이산가족 재결합에 따른 가족법률관계 

1. 이산가족의 법률관계 

2. 외국의 사례 

3. 남북한특수관계론의 적용 

 

 

5장 남북한특수관계론의 남북한간 적용

.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과 효력 

1. 남북합의서 체결 현황 

2.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 

3.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 

4. 남북합의서의 효력 

. 남북한 민사문제에 관한 법률충돌 

1. 남북한 민사법률의 모순충돌 

2. 외국의 사례 

3. 남북한특수관계론의 적용 

4. 구체적 해결방안 

. 남북한 형사사건에 관한 법률충돌 

1. 남북한 형사법률의 모순충돌 

2. 외국의 사례 

3. 북한 형사법체계의 문제점 

4. 준거법으로서 형사실체법의 충돌 

5. 남북한 형사사법공조와 범죄인인도 

6. 개성금강산지구 출입체류합의서상의 신변안전보장 

. 남북한 상사분쟁의 합리적 해결 

1. 남북한 상사중재제도의 필요성 

2. 외국의 사례 

3. 남북한 상사분쟁 해결에 관한 남북합의서 

 

 

6장 남북한특수관계론의 국제법적 활용방안

. 남북한 경제교역에 있어서의 민족내부거래성 인정

1. 민족내부거래성 인정의 필요성 

2. 민족내부거래성의 법적 근거 

3. 국제법적 활용방안 

4. 민족내부거래성의 국제관습법화 

. 남북한 경제협력에 있어서 전략물자수출통제체제의 합리적 운영 

1. 남북한 경제협력과 전략물자수출통제체제와의 충돌 가능성 

2. 전략물자수출통제 현황 

3. 전략물자수출통제체제의 합리적 운용방안 

 

 

7장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8 안성조, 『형법상 법률의 착오론』(경인문화사, 2006) file 196
» 이효원, 『남북교류협력의 규범체계』(경인문화사, 2006) file 167
6 이현수, 『행정소송상 예방적 구제』(경인문화사, 2006) file 182
5 홍명수, 『재벌의 경제력집중 규제』(경인문화사, 2006) file 192
4 박훈, 『부동산투자회사제도의 법적 구조와 세제』(경인문화사, 2007) file 167
3 권건보, 『개인정보보호와 자기정보통제권』(경인문화사, 2005) file 179
2 鄭在龍, 『부실채권 정리제도의 국제표준화』(경인문화사, 2005) file 175
1 閔日榮, 『住宅의 競賣와 賃借人 保護에 관한 實務硏究』(경인문화사, 2005) file 197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