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20.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jpg


<머리말>


  이 책은 졸고인 2022년도 2학기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 일부 수정된 것이다. 인용된 법령과 문헌 등은 논문의 최종 제출일인 202212월 현재를 기준으로 한다.

  저자가 회사존립파괴책임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두게 된 것은 2006년과 2007년 독일 Bonn 대학교 법과대학에서 수학하던 중 위 주제에 관한 독일 상법 학계의 열띤 논의를 접하면서부터이다. 즉 유한회사의 지배사원이 법이 정한 청산절차를 따르지 않은 채 자신 또는 제3자에게 이익이 되게 자산 희석화나 자산 교체 등을 함으로써 회사를 도산에 빠지게 한 경우, 회사채권자 보호를 위해 그 지배사원에게 어떠한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가 문제되었다. 이 논의의 배경에는 위와 같은 회사존립을 파괴하는 침해에 대해 기존의 독일 회사법 규정만으로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것이 아니냐는 불안감이 내포되어 있었다.

  이 책에서는 회사존립을 파괴하려는 침해에 대응하는 독일의 관련 회사법 규정의 내용과 한계를 분석하고, 회사법적 흠결을 메우려는 독일 법관의 법형성 작용과 그 결과물인 회사존립파괴책임을 법도그마틱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또한, 거의 모든 기업에 지배주주가 존재하는 우리 기업소유구조하에서 지배주주의 침해에 대해 우리 법제에서는 어떠한 대응을 할 수 있는지, 만약 우리에게도 회사법적 흠결이 존재한다면 이를 메우기 위해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을 수용할 필요가 있는지, 우리 법제에서 그 책임구조와 내용은 어떻게 될 것인지, 구체적으로 독일 법제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이 같은 회사존립파괴책임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어떠한 것인지에 관해 서술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미력하나마 비교법 연구의 기본원칙과 법학방법론에 기대어 논증하려고 노력하였으나, 과연 뜻대로 이루어졌는지 자신할 수 없다. 독자 여러분의 기탄없는 비판을 바랄 뿐이다.

  부족한 글임에도 책으로 출간되기까지 여러모로 가르침을 주신 지도교수이신 노혁준 교수님과 논문심사과정에서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김화진 교수님, 송옥렬 교수님, 최문희 교수님, 천경훈 교수님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스승이신 심당 송상현 선생님의 학은도 잊을 수 없다.

  법관으로 재직하면서 뒤늦게 학위논문을 쓰는 것이 쉽지만은 않았다. 이 길을 함께해준 사랑스러운 아내와 두 아들에게 마음을 가득 담아 고마움을 전한다. 어느 철학자가 말한 것처럼, 삶은 되돌아봐야만 이해할 수 있나 보다. 낳아주시고 길러주셔서 이렇게 학문하는 즐거움을 깨닫게 해주신 부모님께 이 책을 바친다.

 

 

2023년 여름

玄訓齋에서 김 동 완



<목차>


제1장 서론 

1절 연구의 목적 

2절 연구의 방법과 내용 

 

2장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의 개념과 법적 기초 

1절 개념 

2절 논의 배경 

. 독일 유한회사법의 한계 

. 사원의 처분 권한의 한계 

3절 사적(史的) 전개

. 개관 

. 실질적인 사실상 콘체른 책임에서 회사존립파괴책임으로의 긴 여정 

4절 회사존립파괴책임에 대한 학계의 대안적 이론 

. 불법행위법적 외부책임 

. 특별법률관계에 터 잡은 회사에 대한 의무위반으로 인한 내부책임 

. 사실상 이사로서의 내부책임 

. 독일 주식법 제117조 등의 유추적용 

5절 회사존립파괴책임의 이론적 근거와 그 검토 

. 내부책임으로서 회사존립파괴책임 

. 내부책임의 기초로서 회사의 불법행위법적 청구권 

. 사실상의 이사로서의 내부책임론 비판 

. 특별법률관계에 터 잡은 회사에 대한 의무위반론 비판 

. 독일 주식법 제117조 등의 유추적용론 비판 

. 소결론 

 

3장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의 요건과 효과 

1절 책임의 발생 요건 

. 양속위반의 침해 

. 도산유발로 인한 손해 

. 인과성 

. 과책 

. 주장책임과 증명책임 

2절 책임의 주체 

. 일반론 

. 소수사원 

. 간접 사원(사원의 사원)  

. 이사 

3절 책임의 내용 

. 책임의 범위 

. 행사 

. 소멸시효 

. 청구권 경합   

4절 소수사원의 보호 문제 

. 문제 제기 및 학설에 대한 검토 

. 회사존립을 파괴하는 침해의 경우 소수사원 보호의 특수성 

 

4장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의 주식회사에 대한 적용 

1절 논의의 현황 

2절 독일 주식법상 채권자 보호의 흠결 

. 독일 주식법상 채권자 보호 메커니즘 

. 채권자 보호의 흠결 

3절 주식회사의 회사존립파괴책임 수용 

. 법률 흠결의 입법계획위반 

. 주식회사의 특수성으로 인한 회사존립파괴책임의 적용 배제 여부 

. 실무상의 중요성(1인 회사의 증가

 

5장 영국과 프랑스의 법제 비교 

1절 영국 

. 자본금 유지와 채권자 보호 

. 사기적 거래 

. 부당거래 

. West Mercia 원칙 

. 소결론 

2절 프랑스 

. 자본금 유지와 채권자 보호 

. 적극재산 부족으로 인한 책임 

. 도산절차의 확장 

. 소결론 

 

6장 우리 회사법제의 회사존립파괴책임 수용 

1절 도산이 임박한 상황에서 회사채권자 보호 문제 

2절 회사존립을 파괴하는 침해에 대한 우리 법의 대응책과 한 

. 서설 

. 우리 법의 대응책 검토 

. 입법자가 의도하지 않은 흠결의 존재 

. 소결론 

3절 우리 회사법제의 수용 

. 회사존립파괴책임의 법적 구조 

. 회사존립파괴책임의 발생 요건 

. 회사존립파괴책임의 주체 

. 회사존립파괴책임의 내용 318

4절 소결론 

 

7장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128 조경준, 『유동화신탁 소득의 과세에 관한 제도 설계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26
127 백숙종,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74
126 송영진, 『역외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과 대안』(경인문화사, 2024) file 79
125 이나래, 『스타트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적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58
124 김영석, 『국제도산에서 도산절차와 도산관련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42
123 김신영, 『기업집단의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24) file 248
122 노미리,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바라본 Pillar 1 비판』(경인문화사, 2023) file 250
121 박진영, 『탈석탄의 법정책학: 삼부의 권한배분과 전환적 에너지법에 대한 법적 함의』(경인문화사, 2023) file 251
» 김동완,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경인문화사, 2023) file 274
119 김정현, 『부작위범의 인과관계』(경인문화사, 2023) file 296
118 유제민, 『독립규제위원회의 처분과 사법심사』(경인문화사, 2023) file 249
117 이명신,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경인문화사, 2023) file 284
116 김환권, 『임의제출물 압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3) file 399
115 정주미,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 부당성 판단 기준과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 –』(경인문화사, 2023) file 537
114 이진희, 『의약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경인문화사, 2023) file 274
113 박건우, 『토지보상법과 건축물-건축물 수용과 보상의 법적 쟁점-』(경인문화사, 2023) file 323
112 이철진, 『프랑스의 공무원 파업권』(경인문화사, 2023) file 327
111 박지혜, 『기후위기 시대의 기후・에너지법 - 공공선택이론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실패 사례 분석과 법・정책 대안의 모색 -』(경인문화사, 2022) file 430
110 손호영,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법원의 심사 기준 및 방법』(경인문화사, 2022) file 272
109 차정현, 『가상자산사업자의 실제소유자 확인제도』(경인문화사, 2022) file 331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