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피고들은 가상자산을 발행하여 자신이 운영하는 거래소에 상장하여 유통하였다. 원고들은 당해 가상자산에 투자하였으나 손실을 입자, 동 가상자산이 자본시장법상 투자계약증권에 해당하여 자본시장법상 발행공시규제가 적용됨에도, 피고들이 이러한 규제를 준수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을 제기하였다. 이에 대해 법원은 당해 가상자산과 관련하여 거래로 발생하는 시세차익 취득이 원고들 매수의 가장 큰 동기라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동 가상자산은 자본시장법상 투자계약증권이라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들의 청구를 기각하였다.
이 사건 판결은 가상자산의 증권성 판단, 특히 투자계약증권의 판단에 있어 최초의 판결이라는 점, 자본시장법상 투자계약증권이 되기 위해서는 전매차익 외 이익분배의 요소를 필요로 하여, 미국의 투자계약(investment contract)에 관한 Howey test와는 요건을 달리하는 것을 전제하였다는 점, 판결의 반대해석상 일정한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자본시장법의 적용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 등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그러나 투자계약증권의 해석과 그 적용에 있어 사실관계와 법리를 구체적으로 설시하지 않고 있고, 특히 “사업손익을 분배받을 계약상의 권리가 표시된 것”의 요건에 대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아니한 점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우리나라에서는 2021년 이후 본격적으로 가상자산에 대한 규제입법을 준비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가상자산법(가칭) 제정을 통한 규제이다. 2020년에 선고된 이 사건 판결은 그와 같은 입법방향을 암시하고 있기도 하다. 이 사건 판결은 1심이 확정되어 상급심의 판단을 받지 못하였으나 유사한 사건에 대해 항소심이 계속 중이고, 루나코인에 대한 형사사건에서도 가상자산의 증권성 판단이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다. 법원은 개별사건을 해결하는 역할도 하지만 추상적인 법령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통해 향후의 행위지침을 제공하기도 한다. 자본시장법상 투자계약증권에 대한 해석과 적용이 바로 그와 같은 법원의 역할이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한다. 이 사건 판례평석이 관련 사건의 향후 법원 판단에 있어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I. 들어가며

II. 자본시장법상 투자계약증권의 의의

  1. 자본시장법의 규율체계

  2.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개념

  3. 투자계약증권의 의의와 자본시장법의 적용

III. 자본시장법상 투자계약증권과 미국의 투자계약의 비교

  1. 투자계약증권에 관한 자본시장법의 입법경위

  2. 미국의 증권법상 투자계약

  3. 자본시장법상 투자계약증권의 비교

  4. 사례

  5. 이 사건의 경우

IV. 가상자산 규제에 관한 입법논의

  1. 2020년까지의 경과

  2. 2021년 이후 가상자산 규제 입법논의

  3. 향후의 입법로드맵

V. 이 사건 판결의 의의와 한계



외국어초록


The Defendants issued a virtual asset and listed it on the exchange they operated and distributed it. The Plaintiffs invested in the virtual asset, but suffered losses, and filed a compensation for damages on the grounds that the Defendants did not comply with the Capital Markets Act, given that the issuance disclosure regulations were applied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In response, the court dismissed the Plaintiffs' claims on the grounds that the virtual asset cannot be regarded as an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considering that the acquisition of capital gains arising from transactions in relation to the virtual asset is the biggest motivation for the Plaintiffs' purchase.
The judgment in this case is the first judgment in determining the securities of virtual assets, especially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requires elements of profit distribution other than resale gains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it does not specify facts and legal principles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and in particular, it does not provide clear standards for the requirements of "marking contractual rights to distribute business gains and losses." 
Since 2021, Korea has been preparing for regulatory legislation on virtual assets in earnest, and one of them is regulation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Virtual Asset Act. The ruling in this case, sentenced in 2020, also implies such a legislative direction. The judgment in this case was not judged by the higher court after the first trial was confirmed, but an appeal is still pending for similar cases, and the judgment of the securitability of virtual assets will be an important issue in criminal cases against Luna Coin. Courts play a role in solving individual cases, but they also provide future guidelines for behavior through specific interpretations of abstract laws. I think that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is a part that requires such a role of the court. It is expected that the case review in this case can be a reference for future court judgment of related cases.













가상자산의 증권성 판단기준.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222 조동은, "헌법제정권력: 갱신(更新) 중의 개념", 『헌법학연구』 제29권2호(한국헌법학회, 2023.6) file
221 전종익, "낙태와 재생산권의 보장", 『법과 사회』 제73호(법과사회이론학회, 2023.6) file
» 이정수, "가상자산의 증권성 판단기준 - 서울남부지방법원 2020.3.25. 선고 2019가단225099 판결 - ", 『상사판례연구』 제36권 제2호(한국상사판례학회, 2023.6) file
219 이종혁, "주월한국군 피해 베트남인의 국가배상소송과 저촉법 - 체계제법, 시제법, 국제사법 - ", 『국제사법연구』 제29권 제1호(한국국제사법학회, 2023.6) file
218 전상현, "정교분리원칙의 의미와 위헌심사", 『법학논집』 제27권제4호(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6) file
217 김도균, "법의 근거 이론과 법률해석 - 헌법합치적 해석과 헌법정향적 해석의 법이론적 함의", 『법철학연구』 제26권 제1호(한국법철학회, 2023) file
216 이정수,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정의 입법론적 재검토", 『증권법연구』 제24권 제1호(한국증권법학회, 2023.4) file
215 이동진,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은 무면허의료행위인가? - 대법원 2022.12.22. 선고 2016도21314 전원합의체 판결 - ", 『의료법학』 제24권제1호(대한의료법학회, 2023.4) file
214 이동진, "간접강제: 비교법·실질법·국제사법적 고찰", 『저스티스』 제195호(한국법학원, 2023.4) file
213 최준규, "국제도산에서 도산해지조항의 준거법 결정 - 도산전형적 법률효과? -", 『서울대학교 법학』 제64권 제1호(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3)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