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11 기후위기 시대의 기후 에너지법.jpg


<서문>

  ‘탄소중립이라는 생소한 슬로건이 빠르게 일상에 침투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반가운 일이지만 기후에너지 문제를 걱정하고 같이 고민해온 동료들마저도 때로는 걱정스러운 눈으로 묻습니다. ‘탄소중립, 그게 정말 가능한 일이야?’ 지난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축목표를 1억 톤이나 초과하였고, 코로나 사태의 긴 터널을 지나면서 감소했던 배출량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음을 알고 있기에 더욱 불안한 마음이 드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빠르게 가시화되고 있는 기후위기의 현실을 감안할 때 지금 우리가 제기해야 마땅한 질문은 우리는 어떻게 그 길을 갈 수 있을까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 책은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할 길에 대한 법률가의 고민을 담은 첫 번째 결과물입니다. 20218월 발표한 박사학위 논문인 기후위기시대의 에너지 법정책 공공선택이론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실패 사례 분석과 법정책 대안의 모색을 수정보완하였습니다. 1990년대 이후 유엔 기후변화협약의 탄생으로 촉발된 한국의 기후에너지 법정책 형성 과정을 짚어 보았으며, 공공선택이론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분석틀을 활용해 그간 한국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실패 사례를 분석하여 앞으로 기후에너지 법정책의 발전을 위해 참고할만한 의견을 제시해보고자 하였습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기후정책의 목표에 맞게 주요 배출 부문인 에너지 부문의 정책이 조정되어야 할 것입니다. 많은 국가에서 탄소중립 정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에너지전환 정책이라는 것은 바로 이러한 조율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할 것입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최근까지도 대규모 석탄발전설비가 건설되고 있고, 국가 단위 배출권거래제가 도입되었으나, 전환부문에 대한 영향력이 전혀 발휘되지 못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감축계획의 도출에 있어 지속적인 어려움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한국에서 그간의 온실가스 감축 실패를 초래한 기후 정책과 에너지 정책간 조율 실패의 근원에는 산업계의 지대추구 행위가 상당히 노골적으로 진행되어 온 가운데, 관련 정책 결정 과정에서 느슨한 환경 규제를 희망하는 부처 관료의 재량 극대화 행동이 관료 실패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부 실패를 견제할 수 있는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정책에 대한 대중의 희망, 환경단체의 요구 등이 조직적으로 정책 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절차의 미비 등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이러한 현실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든든한 버팀목이 필요합니다. 이 책은 기후에너지법이 그러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수행할 수 있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20219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이에 따라 새로운 기후에너지 법정책 체계를 실효성있게 현실에서 구현해야 하는 과제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과거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체제하에서 이루어진 온실가스 감축실패의 원인을 찾고자 기획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과 아이디어들이 새로운 기후에너지법을 고안해 내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도대체 왜 우리나라는 온실가스를 감축하지 못하는 것일까? 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법제화한 국가에서 지금 이 시점에 대규모 석탄발전소의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것일까? 현장에서 실무를 하면서 느꼈던 안타까움을 학문적 연구의 성과물로 담아낼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신 허성욱 지도교수님, 논문심사과정에서 냉철한 비판과 함께 따뜻한 격려 역시 잊지 않으셨던 조홍식 교수님, 이재협 교수님, 소병천 교수님, 황형준 박사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지난 수년간 바쁜 시간을 쪼개가며 함께 환경법, 에너지법 공부를 함께 해온 공법 교실 선후배님들, 짧지 않은 시간 서로 의지해가며 같은 길을 걸어가고 있는 활동가님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오랜기간 함께 활동할 수 있는 든든한 동료가 되겠습니다.

  특히 새로운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용기를 불어넣어 주고 힘을 보태주는 인생의 벗 응진과 이 세상 하나뿐인 우주에게도 사랑하고 또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묵묵히 지켜보면서 아낌없이 응원하고 배려해주신 부모님께도 평소 많이 하지 못했던 사랑한다는 말씀을 건네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지금 이 순간에도 맹방해변을 지키며 삼척화력 건설중단을 온몸으로 외치고 계신 삼척의 주민들께 연대의 마음을 전합니다.

 

2022년 가을

아차산 아랫동네에서

박지혜


<목차>


1장 서론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절 연구의 대상 

  3 절 연구의 방법 

  4 절 연구의 구성 

 

 

2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분석


  1 절 서 론 


  2 절 공공선택이론의 의의 

    1 항 공공선택이론의 기본 가정 

    1. 방법론적 개인주의(Methodological Individualism) 

    2.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 

    2 항 공공선택이론의 전개 

  3 항 공공선택이론의 채택 

   

3 절 정부 실패와 공공선택이론 

1 항 정부 실패의 원인 

1. 정치인의 득표극대화 추구 

2. 정부 관료의 예산재량극대화 추구 

3. 이익집단의 지대추구 

4. 일반 시민의 합리적 무지 

2 항 온실가스 감축과 정부 실패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4 절 분석틀(Analysis Framework)의 도출 

 

 

3장 해외 사례 연구

 

1 절 사례 연구의 개요 


2 절 독일 

1 항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전개 

1. 기후 정책의 태동(1990년대까지

2.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본격적인 도입(2000년대

3. 에너지 전환 정책(Energiewende)의 추진(2010년대

4.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 

2 항 기후에너지 정책 조율 실패와 극복 

1. 실패 사례 

2. 정책 시장 참여자들의 견해 대립 

3. 실패의 극복 

3 항 기후에너지 정책 조율 현황 및 전망 

 

3 절 영국 

1 항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전개 

1. 기후 정책의 태동(1990년대

2. 최초의 기후 정책계획 수립 및 법제화(2000년대

3. 에너지 정책과의 조율 시도(2010년대

4. 탄소중립 목표의 법제화 

2 항 기후에너지 정책 조율 실패와 극복 

1. 실패 사례 

2. 정책 시장 참여자들의 견해 대립 

3. 실패의 극복 

3 항 기후에너지 정책 조율 현황 및 전망 


4 절 프랑스 

1 항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전개 

1. 기후 정책의 태동(1990년대

2. 기후 정책의 수립(2000년대 중반

3. 기후에너지 정책의 통합적 추진(2000년대 후반

4. 탄소중립 목표의 수립 

2 항 기후에너지 정책 조율 실패와 극복 

1. 실패 사례 

2. 정책 시장 참여자들의 견해 대립 

3. 실패의 극복 

3 항 기후에너지 정책 조율 현황 및 전망 138

 

5 절 소결 

1 항 기후에너지 정책 조율의 성과 

1. 독일 : 원자력, 석탄에서 재생에너지로 

2. 영국 : 석탄에서 재생에너지로 

3. 프랑스 : 원자력에서 재생에너지로 

2 항 분석 결과의 시사점 

 

 

4장 한국의 기후에너지 법정책과 정부 실패

 

1 절 한국의 기후 법정책 형성 과정 

1 항 기후변화협약과 기후 법정책의 발전 

1. 기후변화협약 가입(1993

2. 교토의정서 비준(2002

3.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담의 준비 

4. 파리협정 비준(2016

2 항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채택 

1. 202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2.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3. 205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4.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과정에 대한 평가 


2 절 한국의 에너지 법정책 변동 

1 항 에너지 법정책 여건 

2 항 에너지 법정책의 변화 

3 항 에너지법과 기후법의 조우 

1. 기후변화협약 대응 초기(90년대 초반

2. 에너지절약 중심 대응(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3. 기후에너지 정책 조율의 시작(2000년대 후반

4 항 기후에너지 법정책 체계의 형성 

1. 주요 기후 정책의 검토 

2. 주요 에너지 정책의 검토 

3. 기후에너지 정책의 조율 경과 


3 절 기에너지 정책의 조율 실패 사례 연구 

1 항 분석 대상의 개요 

2 항 석탄발전 설비 확대 결정(2010~2013

1. 실패 사례 개요 

2. 정부 실패의 유형과 내용 

3. 참여자의 주요한 행동과 견해 표명 내용 분석 

4. 사례의 요약 및 분석 

3 항 배출권거래제의 설계(2010~2012

1. 실패 사례 개요 

2. 정부 실패의 유형과 내용 

3. 참여자의 주요한 행동과 견해 표명 내용 분석 

4. 사례의 요약 및 분석 

4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2018

1. 실패 사례 개요 

2. 정부 실패의 유형과 내용 

3. 참여자의 주요한 행동과 견해 표명 내용 분석 

4. 사례의 요약 및 분석 244

 

4 절 소결 

1 항 기후에너지 정책 조율 실패의 원인 

2 항 조율 실패의 의미와 입법적 해결의 필요성 

 

 

5장 한국의 기후에너지 법정책 규율 방안

 

1 절 해결 방향의 도출 


2 절 기후에너지 법정책의 새로운 규율 방안 

1 항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법적 규율 향상 

2 항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이행 체계 구축 

3 항 기후에너지 정책 결정과 시민 참여 확대 


3 절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제언 

1 항 기후위기 대응법제의 개선 

2 항 온실가스 감축정책의 추진 방향 


4 절 공공선택이론의 함의 

 

 

6장 결 론

 

1 절 연구의 결과 요약 

2 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128 조경준, 『유동화신탁 소득의 과세에 관한 제도 설계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26
127 백숙종,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74
126 송영진, 『역외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과 대안』(경인문화사, 2024) file 79
125 이나래, 『스타트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적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58
124 김영석, 『국제도산에서 도산절차와 도산관련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42
123 김신영, 『기업집단의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24) file 248
122 노미리,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바라본 Pillar 1 비판』(경인문화사, 2023) file 250
121 박진영, 『탈석탄의 법정책학: 삼부의 권한배분과 전환적 에너지법에 대한 법적 함의』(경인문화사, 2023) file 251
120 김동완,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경인문화사, 2023) file 274
119 김정현, 『부작위범의 인과관계』(경인문화사, 2023) file 296
118 유제민, 『독립규제위원회의 처분과 사법심사』(경인문화사, 2023) file 249
117 이명신,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경인문화사, 2023) file 284
116 김환권, 『임의제출물 압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3) file 399
115 정주미,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 부당성 판단 기준과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 –』(경인문화사, 2023) file 537
114 이진희, 『의약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경인문화사, 2023) file 274
113 박건우, 『토지보상법과 건축물-건축물 수용과 보상의 법적 쟁점-』(경인문화사, 2023) file 323
112 이철진, 『프랑스의 공무원 파업권』(경인문화사, 2023) file 327
» 박지혜, 『기후위기 시대의 기후・에너지법 - 공공선택이론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실패 사례 분석과 법・정책 대안의 모색 -』(경인문화사, 2022) file 430
110 손호영,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법원의 심사 기준 및 방법』(경인문화사, 2022) file 272
109 차정현, 『가상자산사업자의 실제소유자 확인제도』(경인문화사, 2022) file 331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