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국문초록


동학은 기본적인 교리로서 인간의 본질적 평등을 주장하였고, 이를 구체화하여 조선의 신분제도와 적서차별, 어린이와 부인에 대한 차별을 부정하는 가르침을 교인들에게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당시의 신분제 질서가 그대로 유지되지 않으며 미래에는 극복될 수 있음을 주장하여 민중들에게 희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동학은 신분에 상관없이 동학교인이라는 지위만으로 차별없이 교류와 사귐을 실천하고 서로 도우며 존중하는 종교공동체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의 탄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교조신원운동을 통해 탐관오리의 불법적인 공권력작용에 맞선 사회운동으로 나아갈 수 있었고 교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동학교도로 몰려 수탈의 대상이 된 사람들까지 이에 호응함으로써 민중들은 동학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결집하였고, 이는 잠재되어 있던 서양과 일본 등 외세에 대한 대항의식과 결합하여 이후 동학농민혁명으로 이어지는 토대가 되었다. 동학농민혁명에 의하여 이루어진 집강소 통치는 이러한 동학의 기본교리와 교조신원운동을 통하여 발전한 평등론을 실제 사회에 구현하기 위한 좋은 기회가 되었다.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된 상황에서 동학농민혁명은 신분질서는 물론 기존의 권력집단에 의하여 유지되던 모든 질서가 한꺼번에 파괴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명의 경험은 관련자들에게 차별이 없는 사회가 어떤 모습인지 실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던 점에서 큰 의미를 가졌다. 이때 해결되지 못한 평등의 요구들은 잠재되어 이후에도 중요한 평등실현을 위한 과제들로 다시 등장할 것이다.



목차


Ⅰ. 서


Ⅱ. 동학의 평등사상


Ⅲ. 동학 공동체의 성장과 교조신원운동


Ⅳ. 동학농민혁명과 조선사회의 변화


Ⅴ. 결



외국어초록


Donghak had the essential equality of human beings as a basic doctrine, and by embodying this, it presented teaching that denies the system of discrimination based on legitimacy, age and sex. Above all, it offered hope to the people by arguing that the class system at that time was not maintained and that it could be overcome in the future. Donghak formed a religious community that practices exchanges and friendships without discrimination. Through the movement to vindicate the founder’s innocence, and to solve the problem of oppression of the government, it was able to move forward as a social movement against the illegal action of public power. People was extensively gathered around Donghak and it became the foundation that l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bined with the latent consciousness against foreign powers, such as the West and Japan. The rule of people achieved by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a good opportunity to realize the basic doctrine of Donghak and the theory of equality in actual society. The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had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he relevant people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what a society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status would look like.













KCI_FI002780328_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162 이창희, "납세자의 금반언과 부과제척시간", 『조세법연구』 제26권 제3호(한국세법학회, 2020.11) file
161 전상현,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헌법학연구』 제27권 제4호(한국헌법학회, 2021.12) file
160 송옥렬, "신주발행 무효사유의 재검토 -합병무효의 소에 관한 논의를 포함하여", 『증권법연구』 제22권 제3호(한국증권법학회, 2021.12) file
159 이원우, "규제국가의 전개와 공법학의 과제 - 과학기술혁신에 따른 공법적 대응을 중심으로", 『경제규제와 법』 제14권 제2호(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21.11) file
158 이원우, "원고적격 확대를 위한 방법론의 전환: 독점적 지위의 배제를 구하는 소송을 중심으로", 『행정법연구』 제66호(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1.11) file
157 천경훈, "회사의 신주인수인 간의 투자자보호약정의 효력 -주주평등원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상사법연구』 제40권 제3호(한국상사법학회, 2021.11) file
» 전종익, "동학의 평등과 조선의 변화", 『법사학연구』, 제64호,(한국법사학회, 2021.11) file
155 정긍식, "문성공 율곡 이이의 종손권 분쟁에 대한 고찰-(조선)고등법원 1921.5.20. 선고 대정10년민상제5호 및 1922.6.20. 선고 대정11년민상제184호 판결을 대상으로-", 『법사학연구』, 제64호,(한국법사학회, 2021.11) file
154 정선주, "확정된 인도판결과 기판력", 『민사소송』, 제25권 제3호,(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21.10) file
153 권영준, "법의 개인화 단상", 『법조』, 제70권 제5호,(법조협회, 2021.10.28) file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