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16. 임의제출물 압수에 관한 연구.jpg 


<국문초록>

 

  임의제출물 압수는 실무상 빈번하게 이루어지는데 그 동안 관련 논의가 확장 및 성숙되지 않은 면이 있다. 이 책에서는 한국의 임의제출의 현실과 나아갈 길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임의제출은 그 임의성(자발성)이라는 특수성 상 영장주의 예외 제도로 규정되어 있기에, 제출자나 피의자, 피고인의 임의성과 예측가능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해석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임의제출은 애초에 임의성에 근거하여 영장 없는 압수가 가능했던 것이기에, 전자정보 임의제출 시 범죄사실, 압수할 물건, 압수수색검증을 요하는 사유 등이 기재되어 수사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영장에 의한 전자정보의 압수보다 더 엄격하게 해당 범죄와의 관련성 등을 따져야 한다.

  현행 형사소송법 제218조에 의하면 임의제출의 효력은 법문상 명백한 압수이며, 즉 강제수사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임의제출에 압수의 효과를 부여하지 않으면 그 존재 가치가 퇴색되므로 일단은 압수의 효과가 부여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후영장 발부를 요구받지 않는다. 이는 임의성이라는 특수성에 있다. 결국 사후영장의 통제도 받지 않는 임의제출에서 임의성이 인정되려면 수사기관에 의한 엄격한 임의성 증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영장주의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영장주의의 예외는 엄격하게 인정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수사기관이 임의제출을 받을 때 임의제출 거부권 고지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며, 이 점을 법문에도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본문에 개정안 제시).

  한편 최근 많이 문제시 되는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 임의제출 시 그 정보 탐색 가능 범위와 관련하여, 제출 시 문제된 범죄사실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은 적법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지만, 위 범죄사실과는 다른 내용의 혐의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압수수색, 복원, 분석이 불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즉 제출자가 자발적으로 동의한 범위 내에서 압수수색 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인 2022. 5. 9. 법률 제18862호로 신설된 형사소송법 제198조 제4항은 합리적 근거 없는 별개 사건 부당 수사와, 무관 사건에 대한 진술 강요를 금지하고 있기도 하다.

  대법원은 2021. 11. 18. 선고 2016348 전원합의체 판결로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 임의제출 시 그 정보 탐색 가능 범위에 대하여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그 후속 판례들에 비추어 보면, 대법원은 제출 시 문제된 범죄사실과 관련된 정보(관련성)를 너무 넓게 인정하여 그에 대한 압수수색을 적법하다고 보고 있고, 참여권 및 전자정보 압수목록 교부의 보장도 약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대법원의 태도는 영장주의 원칙, 법적안정성, 예측가능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대법원과 같이 판단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고,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의 관련성은 원칙적으로 당해 사건에 한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당해 사건과 밀접한 시간 내의 행위는 관련성을 부여하자는 논의도 있을 수 있으나 그 밀접한 시간의 판단은 어렵다. 다만 피해자가 있는 범죄의 경우, 같은 피해자에 대한 증거라면 피해자 보호의 측면에서 압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확성과 예측가능성을 위하여 이러한 관련 입법이 가능하다면 하여도 좋을 것이다(본문에 개정안 제시). 또한 참여권 및 전자정보 압수목록 교부도 높은 수준으로 보장하여야 한다.

  또한 대법원은 적법한 전자정보 탐색 과정에서 별도의 범죄혐의와 관련된 전자정보를 우연히 발견한 경우라면, 법원으로부터 별도의 범죄혐의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으면 별도의 범죄혐의와 관련된 정보에 대하여도 압수수색을 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때 우연히 발견한 경우에 대하여는 엄격하게 판단하여야 하고, 수사기관이 우연히 발견한 경우였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현행법상으로는 인정하기 어렵지만, 개정을 통하여 임의제출 후 탐색 중단폐기권 내지 회수권(철회권)도 일정 범위에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본문에 개정안 제시).

  이상과 같이 한국 임의제출 제도의 운용현실과 나아갈 길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인권 존중에 뿌리를 둔 영장주의와 적법절차의 이념을 공고히 지킴과 아울러, 법 자체와 법 해석(판례)을 정비하여 임의제출의 임의성을 보장하고, 전자정보에 대한 임의제출 및 압수의 범위를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목 차>

 

1장 서론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절 논문의 서술 범위 및 전개 

 

2장 임의제출에 대한 일반적 논의 

1절 임의제출물 압수 제도의 개관 및 연원 

2절 임의제출의 본질 

1. 들어가며 

2. 영장주의의 의미 

3. 영장주의의 본질 

4. 임의제출의 본질 

5. 임의제출과 동의에 의한 압수 

3절 임의제출자 

1. 소유자, 소지자, 보관자의 기본적 개념 

2. 소지자라는 용어로의 대체가능성 

3. 임의제출자에게 적법한 권원이 필요한지 여부 

4. 소유자의 동의가 필요한지 여부 

5. 제출자 외의 권리자 보호에 대한 문제 

6. 수 명의 정당한 제출권자가 있는 경우의 문제 

7. 디지털 증거와 임의제출자 

4절 임의제출 대상 

1. 논의의 소재 

2. 학설 

3. 판례 

4. 소결 및 논의의 실익 

5절 임의성 

1. 임의란 무엇인가 

2. 임의성의 판단기준 

3. 수사기관의 임의제출 거부권 고지 필요 여부 

4. 수사기관의 임의제출 요구가 있을 때의 제출의 임의성 

5. 제출 내지 그에 대한 동의의 방법 

6절 임의제출물 압수의 효과 

7절 위법한 압수물의 임의제출 문제 

1. 위법수집증거 일반론 및 논의의 원인 

2. 법한 압수 후 제출물 미환부 상태에서 임의제출을 받은 경우 

3. 위법하게 압수된 압수물을 환부한 후 임의제출 받은 경우 

 

3장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의 임의제출 

1절 논의의 소재 

1. 장을 바꾸어 서술하는 이유 

2.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의 임의제출에 대한 논의 개관 

3. 외국의 논의 상황 개관 

2절 외국의 경향(영장주의 확대 추세) 

1. Riley v. California 사건(2014) 

2. Carpenter v. US 사건(2018) 

3. 미국 판례 사례들이 주는 시사점과 관련 헌법재판소 결정 

3절 임의제출의 허부 

4절 탐색 가능 범위 

1.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 자체가 유체물로서 증거물인 경우 

2.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의 정보가 증거가치가 있는 경우 

3. 임의제출자의 탐색 범위 제한의사를 반영할 것인지 여부 

4. 제출자로부터 임의제출 범위를 확인해야 하는지 여부 

5절 피의자 아닌 제3자의 임의제출 

1. 논의의 소재 및 판례 

2. 관련 논의 

3. 검토 및 소결 

4. 개정안 제시 

6절 임의제출의 관련성 

1. 논의의 소재 

2. 관련성 요건의 도입 및 도입이유 

3. 련성의 적용과 관련된 논의 및 판례(전자정보를 중심으) 

4. 관련 실무규정 

5. 임의제출의 경우에도 관련성 요건이 필요한지 

6. 관련성의 기준에 대한 논의 

7. 임의제출에 있어서 관련성을 엄격 해석하여야 하는 이유 

7절 참여권 보장 

1. 논의의 소재(일반적인 물체의 경우와 전자정보의 경우) 

2. 참여권의 필요와 관련한 논의 검토 

3. 비교법적 논의 

4. 판례에 대한 분석과 비판 

5. 검토 및 소결(제출자피의자피고인의 참여권 보장 필요) 

6. 참여권 보장을 위한 제언 

8절 압수목록 교부 보장 

1. 논의의 소재 

2. 압수목록 교부에 대한 판례 분석 

3. 압수목록 교부 보장 약화에 대한 비판 

4. 압수목록 교부 보장을 위한 제언 

9절 무관정보 발견시 필요한 조치 

1. 논의의 소재 

2. 우연히 발견한 경우에 대한 일반론 

3. 우연히 발견한 경우에 영장 압수 허용 필요성 

4. 우연성 요건의 유지 여부에 대한 논의 

5. 우연히 발견한 경우에 대한 본격적구체적인 논의 

6. 우연성 요건 실질화를 위한 제언(엄격해석과 강한 증명책임) 

10절 관련 실무 제도 개선의 필요성 

11절 혐의(범죄사실) 고지 필요(개정안 제시 포함) 

1. 논의의 소재 

2. 현행법의 해석상 가능한지 

3. 관련 논의 

4. 소결 및 개정안 제시 

12절 탐색 중단폐기권 내지 회수권(철회권) 인정 필요 

1. 논의의 소재 

2. 비교법적 논의 

3. 가능한 논의 

4. 통신비밀보호법 제12조의2 신설 경위 

5. 폐기와 관련된 실무규정 

6. 검토 

7. 검토에 이은 개정안 제시 

13절 체포현장에서의 임의제출 

1. 논의의 소재 

2. 학설 

3. 판례 

4. 검토 및 소결

5. 련문제체포현장 긴급압수시 대용량 정보 저장장치 압수 가 

 

4장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128 조경준, 『유동화신탁 소득의 과세에 관한 제도 설계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26
127 백숙종, 『법인 대표자의 대표권 제한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74
126 송영진, 『역외 디지털증거 수집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과 대안』(경인문화사, 2024) file 79
125 이나래, 『스타트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적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58
124 김영석, 『국제도산에서 도산절차와 도산관련재판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4) file 42
123 김신영, 『기업집단의 주주 보호』(경인문화사, 2024) file 248
122 노미리, 『공식배분법의 입장에서 바라본 Pillar 1 비판』(경인문화사, 2023) file 250
121 박진영, 『탈석탄의 법정책학: 삼부의 권한배분과 전환적 에너지법에 대한 법적 함의』(경인문화사, 2023) file 251
120 김동완, 『독일의 회사존립파괴책임』(경인문화사, 2023) file 274
119 김정현, 『부작위범의 인과관계』(경인문화사, 2023) file 296
118 유제민, 『독립규제위원회의 처분과 사법심사』(경인문화사, 2023) file 249
117 이명신,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경인문화사, 2023) file 284
» 김환권, 『임의제출물 압수에 관한 연구』(경인문화사, 2023) file 399
115 정주미, 『공정거래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 부당성 판단 기준과 위법성 판단을 위한 이익형량 –』(경인문화사, 2023) file 537
114 이진희, 『의약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및 진보성』(경인문화사, 2023) file 274
113 박건우, 『토지보상법과 건축물-건축물 수용과 보상의 법적 쟁점-』(경인문화사, 2023) file 323
112 이철진, 『프랑스의 공무원 파업권』(경인문화사, 2023) file 327
111 박지혜, 『기후위기 시대의 기후・에너지법 - 공공선택이론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실패 사례 분석과 법・정책 대안의 모색 -』(경인문화사, 2022) file 430
110 손호영,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법원의 심사 기준 및 방법』(경인문화사, 2022) file 272
109 차정현, 『가상자산사업자의 실제소유자 확인제도』(경인문화사, 2022) file 331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