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학술총서

1. 로마법상 사무관리_표지.jpg





<머리말>

 

  이 소책자는 로마법상의 사무관리에 관한 <학설휘찬>의 제3권 제5장에 대한 번역과 주석으로서, 필자가 몇 년 전부터 계속해 온 로마법사료에 대한 역주 작업의 일환이다. 로마법사료는 양도 방대하거니와 무엇보다도 개소 하나하나가 적지 않은 시간을 요하는 해석작업이 없이는 충분히 이해될 수 없다는 점에서 단순한 번역만으로는 그 뜻이 제대로 전달되기 힘들다는 특성이 있다. 늘 단순한 번역만이라도 먼저 신속하게 소개하기로 마음먹고 작업에 들어가지만 이런 이유로 항상 간단하지만 유용한 주석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번역의 양은 당초 예상했던 범위를 훨씬 밑도는 적은 분량에 그치기 일쑤였다. 이번에도 예외가 아니어서, 배보다 배꼽이 큰 기형적 형태의 글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가능한 한 이차문헌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면서 주석을 붙이는 과정에서 애초에 미흡했던 해당 개소에 대한 이해가 더욱 명료해진 성과가 있었기에 나름으로는 의미 있는 과정이었다고 생각된다.

  이번에도 본의 아니게 번역된 개소보다 번역되지 못한 원문의 소개가 압도적으로 많은 글이 되고 말았다. 원사료를 접하기 힘든 일반독자들에게 적어도 원사료에의 접근 노력을 가능한 한 덜어 주려는 의도에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라면 단순히 개소의 표시만으로 충분했을 경우에도 가급적 모두 원문을 소개하였기 때문이다. 아직 우리 나라의 사정으로는 적어도 당분간은 이러한 서비스가 결코 무의미하지 않다고 믿는데다가, 원사료를 직접 접하게 함으로써 특히 젊은 세대의 로마법과 라틴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싶은 마음이 여전히 간절한 탓도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필자의 글을 읽어 본 독자라면 이미 체험했으리라고 믿지만, 빈번히 사용된 라틴어 등으로 인하여 내용의 실질을 파악하는 데 크게 지장을 받지는 않도록 배려하였다. 물론 라틴어를 비롯한 외국어에 대한 지식이 있는 독자라면 우리글로만 된 부분을 읽을 때보다는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자유공모과제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서 집필되었다. 번역과 역주의 상당부분은 이 연구비의 도움을 받아서 국내에서 집필되었다. 그러나 2000학년도 여름방학 중 독일 괴팅겐 대학교의 로마법 및 보통법연구소(Institut für Römisches und Gemeines Recht der Universität Göttingen)에서 다양한 이차문헌을 참고할 수 없었다면 현재보다 꽤 미흡한 작품이 되고 말았을 것이다. 늘 가족적인 분위기에서 즐거운 마음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동 연구소의 소장 오코 베렌츠 교수님(Professor Dr. Okko Behrends)께 깊이 감사드린다. 연구를 위한 독일 체재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김유성 전 학장님과 독일의 알렉산더 폰 훔볼트 재단(Alexander von Humboldt-Stiftung)의 지원을 받아서 이루어졌다. 이 자리를 빌려 연구를 지원해 준 기관 모두에 깊은 감사의 뜻을 표하고자 한다.

  필자는 지난 여름의 독일 체류기간 중 틈나는 대로 독일의 대표적인 대학들의 로마법 연구상황을 직접 방문을 통하여 확인할 기회를 가졌는데, 나름으로 얻은 결론은 우리도 좀더 노력하면 결코 서양에 뒤지지 않는 연구성과를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었다. 물론 이것은 이 학문분야에 대한 다소간의 체계적인 지원과 꾸준한 학문후속세대의 공급을 전제했을 때의 이야기이다. 이 소책자가 이런 방향으로의 조그마한 기여가 된다면 望外의 기쁨일 것이다.

  이 책은 영광스럽게도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새로 기획하여 출판하는 법학학술총서의 첫 권으로 받아들여졌다. 집필을 독려하고 기꺼이 총서에 참여시켜 주신 법학연구소 최대권 소장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인터넷과 위성을 통한 텔레커뮤니케이션이 全地球的으로 일상화하고 11휴대폰의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 오늘날 법제도로서의 사무관리(우리 민법 제734-740)는 어쩌면 그 기능의 상당부분을 이미 상실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철저히 로마적 법제도인 사무관리를 통하여 고대 로마의 사회와 그 사회를 배경으로 한 문명법으로서의 로마법의 원리와 정신의 한 단면을 읽어 볼 수 있고, 그것을 통하여 우리의 법문화에 대한 하나의 화두를 얻을 수 있다면 이미 그것으로 <학설휘찬>의 역주작업은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소책자의 집필과정 중에도 마음의 성원을 아끼지 않은 오랜 벗 Kes에게 사무관리의 바탕에 깔린 인간에 대한 友誼·敬親思想(amicitia, pietas)의 이름으로 부족하나마 이 책을 바치고자 한다.

 

서기 2001년 봄 

관악산 연구실에서

저자

 






<차 례>

 

. 로마법상의 사무관리


1. 사무관리의 개념과 발전과정

2. 사무관리의 요건

3. 사무관리의 효과

4. 사무관리와 다른 제도들

5. 고전기 후의 법발전

 


. D.3.5 De negotiis gestis 사무관리에 대하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3 정경희, 『中道의 정치: 미국 헌법 제정사』(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file 220
2 石光現, 『國際裁判管轄에 관한 硏究 ― 民事 및 商事事件에서의 國際裁判管轄의 基礎理論과 一般管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file 211
» 崔秉祚 譯註, 『로마法上의 事務管理 ― 學說彙纂 제3권 제5장 譯註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file 289

『서울대학교 법학』 정기구독 관련 개인정보처리방침

시행일 2020. 12.   5.
최종변경일 2023. 10. 25.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및 권익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이용자의 고충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처리방침을 두고 있습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목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정기구독 관리 및 학술지 배송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및 방법)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가 정기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해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및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신청인 성명, 담당자 성명, 연락처, 주소

나. 수집 방법

이메일

제3조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 기간)

수집한 개인정보는 정기구독자가 구독을 지속하는 동안 보유․이용되며, 정기구독이 종료하는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제4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기구독자의 사전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나래DM’社에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공 목적 및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 받는 기관 제공 목적 제공 정보 항목 보유 및 이용 기간
나래DM
(배송전문업체)
학술지 배송 성명, 주소 정기구독 기간

제5조 (개인정보처리 위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원칙적으로 정기구독자의 동의 없이 해당 개인정보의 처리를 타인에게 위탁하지 않습니다.

제6조 (정보주체의 권리)

법학연구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파일에 대하여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5조, 제36조, 제37조에 따라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 요청. 단, 법 제35조 5항에 따라 열람제한이 될 수 있습니다.

2. 개인정보 오류에 대한 정정 및 삭제 요청

3. 개인정보 처리정지 요청. 단, 법 제37조 2항에 따라 처리정지 요구가 거절될 수 있습니다.

제7조 (개인정보의 파기)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정기구독이 종료된 경우 지체없이 정기구독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제8조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9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취급 직원 최소화

2. 주기적인 자체점검 실시

3. 해킹 등에 대비한 보안프로그램 설치․갱신 등

4. 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교육

5. 개인정보 중 비밀번호의 암호화 관리

제9조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개인정보와 관련한 불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실무담당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법학연구소 홈페이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행정실
  • 성명: 송윤화
  • 전화번호: 880-5471
  • 이메일: song9010@snu.ac.kr
  • 담당부서: 법학연구소 간행부
  • 성명: 김준현
  • 전화번호: 880-5473
  • 이메일: lrinst@snu.ac.kr

제10조 (개인정보 처리방침의 적용 및 변경)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시행일로부터 적용됩니다.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는 개인정보처리방침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 후 10일 이내에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제11조 (권익침해 구제방법)

정기구독자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침해의 신고 및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국번없이) 118

2. 개인분쟁조정위원회: 1833-6972 (www.kopico.go.kr)

3.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4.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국번없이) 182 (cyberbureau.police.go.kr)

XE Login